[include(틀:빌드 엔진 제작 게임)] ||<-2>
{{{#ffffff '''{{{+1 아이언 퓨리}}}[br]ION FUR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on_fury_header.jpg|width=100%]]}}} || || '''개발''' ||[[파일:보이드포인트 로고.jpg|width=70]] || || '''유통''' ||[[어포지#s-3|[[파일:3D 렐름즈 로고.png|width=70]]]]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 '''ESD'''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GOG.com|[[파일:GOG.com 로고.svg|height=16]]]] | [[험블 번들|[[파일:험블 번들 로고.svg|height=16]]]] |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 '''장르''' ||[[고전 FPS]], [[사이버펑크]] || || '''출시''' ||'''앞서 해보기'''[br][[2018년]] [[2월 28일]][br]'''PC'''[br][[2019년]] [[8월 15일]][br]'''PS4 / XBO / NS'''[br][[2020년]] [[5월 14일]] || || '''엔진''' ||[[빌드 엔진]] || ||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해외 등급''' ||[[ESRB|[[파일:ESRB Mature.svg|width=16]] '''{{{#000000 ESRB M}}}''']][br][[PEGI|[[파일:PEGI 18.svg|width=16]] '''{{{#000000 PEGI 18}}}''']][br][[소프트웨어 심의 등급 기관|[[파일:USK 16 로고.svg|width=16]]]] '''{{{#000000 USK 16}}}''' || || '''관련 페이지''' ||[[http://www.ionfur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https://store.steampowered.com/app/562860/Ion_Fury|[[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5]]]] [[https://www.gog.com/game/ion_fury|[[파일:GOG.com 로고.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ncC9jrCqgG8)] 보이드포인트가 개발하고 3D 렐름이 유통한 [[고전 FPS|레트로 FPS]] 게임. 3D 렐름이 2016년에 출시한 액션 RPG 게임 [[https://3drealms.com/catalog/bombshell_53|밤쉘]](Bombshell)[* 인터셉터 엔터테인먼트 제작. 원래 듀크 뉴켐 외전 게임 '듀크 뉴켐: 매스 디스트럭션'으로 기획되었으나 듀크 뉴켐 IP를 보유한 기어박스가 지적재산권 침해로 고소하자, 주인공을 듀크 뉴켐 포에버 개발 중 버려진 여성 캐릭터 밤쉘로 교체해 출시했다. 밤쉘은 메타크리틱 40점대로 평가가 매우 나빴다.]의 프리퀄이다. == 특징 == [[파일:ionfury.jpg]] 이 게임의 특징은 다른 레트로 복고열풍에 편승해 요즘 게임엔진들로 만들어진 뉴트로 FPS들과 다르게 '''[[빌드 엔진|진짜배기 그 시절 게임엔진]]을 100% 사용해 개발된''' 게임이라는 것이다. 빌드 엔진 게임 중에서는 [[사이버펑크]] 분위기를 매우 잘 살려낸 [[레벨 디자인]]이 일품이다.[* 빌드 엔진 게임중에 이미 테크워라는 동명의 소설과 미국 드라마로 나온 사이버펑크물을 게임화한 것이 존재하지만, B급인데다 어설퍼서...] BGM은 [[모듈 음악]] 방식으로 작곡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90년대 [[일렉트로니카]]의 색채가 강하다. BGM은 디지털 포맷 음원으로 되어있기에 세련된 퀄리티를 보여준다. == 배경 == 설정상으로는 밤쉘의 프리퀄이다. 플레이어는 밤쉘이라고 불리는 GDF의 대원인 [[셸리 해리슨#s-3.3|셸리 해리슨]]이 되어서 [[사이버펑크]]풍의 근미래 Neo D.C 도시에서 [[트랜스휴머니즘]] 사이보그 테러리스트들과 그 수괴 [[자두스 헤스켈]] 박사를 응징하기 위해 나선다. == 게임 관련 정보 == 레벨은 챕터당 'Zone'이라고 하는 허브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확히는 [[퀘이크 2]] 싱글 캠페인의 '유닛'개념에 가깝다. 총 7개의 지역이 있다. 이외에도 Queen of the Hills라고 무한탄창 체인건으로 15웨이브를 버티는[* 맵은 네오DC광장 보스전 맵을 우려먹었다.] 서바이벌모드도 있다. 그리고 얼리 액세스판에서 즐길 수 있었던 데모 맵은 정식 출시 후 일부 맵 디자인이 바뀌었다.[* 가령 안쪽에 쇼핑몰이 생겼다든가.] 얼리 액세스판에서의 맵은 보너스 미션으로 다시 재분류되었다. === 챕터 === * Zone 1: Night on the Town * Act 1: The All-Seeing Eye * Act 2: Trouble in Paradise * Act 3: Fan Service * Act 4: Cultural Divide * Act 5: Reformation Plaza * Zone 2: Downtown Disaster Relief * Act 1: Abandonment Issues * Act 2: Alphabet Soup * Act 3: Defense Farce * Act 4: D.C. Meltdown * Act 5: Nukage Nightmare * Zone 3: Institutionalized * Act 1: The Washington Institute * Act 2: Corporate Chaos * Act 3: Subhuman Resources * Act 4: Executive Disorder * Act 5: Grand Slam * Zone 4: The Six Underground * Act 1: Off The Rails * Act 2: Casual Casualties * Act 3: Tunnel Disturbance * Act 4: Power Up! * Act 5: Twist of Freight * Zone 5: Countryside Carnage * Act 1: Inhospitable Hospitality * Act 2: Knee Deep * Act 3: Heskel's House of Horrors * Zone 6: Ordinary Laboratory * Act 1: Hellmouth * Act 2: Hazard Disposal * Act 3: Parting Procedure * Zone 7: Subterranean Climax * Act 1: Destructive Desires * Act 2: Epicenter * Bonus mission: Crisis in Columbia * Act 1: Defense Farce * Act 2: Washington Wasteland * Act 3: Blast Processing * Act 4: Disrupted Service * Act 5: Nukage Nightmare * Act 6: Heskel's House of Horrors === 무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언 퓨리/무기)] === 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언 퓨리/적)] === 패러디 및 이스터 에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언 퓨리/패러디 및 이스터 에그)]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 '''플랫폼'''}}} || {{{#FFF '''메타스코어'''}}} || {{{#fff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ion-fury, g=, score=7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ion-fury/user-reviews, y=, score=7.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ion-fury, g=, score=7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ion-fury/user-reviews, y=, score=6.8)]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ion-fury, y=, score=7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ion-fury/user-reviews, y=, score=6.7)]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ion-fury, g=, score=7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ion-fury/user-reviews, y=, score=7.4)]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8117, title=ion-fury, rating=strong, average=77, recommend=78)] 이외에도 인디DB에서 2019년 '''올해의 인디 게임 1위'''에 수상되었다. [[https://www.indiedb.com/groups/2019-indie-of-the-year-awards/features/players-choice-indie-of-the-year-2019|#]] == 혐오 표현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언 퓨리 불근신 논란)] == 여담 == * 원래 개발 중의 제목은 Ion Maiden이었는데, 이름이 유사한 [[아이언 메이든(밴드)|그 유명한 록밴드]]가 상표권 침해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경고하자, 제목을 지금의 Ion Fury로 변경했다고 한다. 이 흔적 중 하나가 맵에 있는 시계 그래픽인데, 시계침이 가리키는 위치는 그 밴드의 명곡중 하나인 <2 Minutes to Midnight>에 대한 리퍼런스라는 해석이 있다. * 타이틀 메뉴의 배경삽화에서 엄폐하고 있는 밤쉘이 코너 옆으로 다가오는 사이보그를 노리는 구도는 [[울펜슈타인 3D]] 타이틀 화면의 오마주. * 흥미롭게도 메인 악역인 닥터 헤스켈의 성우는 듀크 뉴켐의 성우로 유명한 [[존 세인트 존]]이 맡았다.[* 게임 정식 출시 얼마전, 존 세인트 존의 트위터에서 '나의 빌런 연기를 기대해달라'라는 투의 트윗을 남겼다.] 생김새도 듀크 뉴켐의 숙적 프로톤 박사와 비슷하다. * 2020년 연말 확장팩 출시 발표와 함께 대량의 버그픽스와 최적화 패치를 하였다. 이후 확장팩의 이름은 '''"[[아이언 퓨리 애프터쇼크|Aftershock]]"'''로 정해졌으며, 호밍 드렁크 플라즈마 미사일 등의 발사기 무기 추가모듈과 탑승물(호버바이크) 추가. 확장팩의 컨텐츠를 본편에 일부 적용해서 본편을 다시 즐길 수 있는 어레인지 모드가 추가된다고 한다. * 확장팩은 코로나 때문인지 계속 연기가 되고 있다. 그런데 2022년 렐름즈 딥에서 속편인 <팬텀 퓨리>가 발표되었다. 이번에는 풀폴리곤으로 제작되지만, 뉴트로 FPS라는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인지 텍스쳐 퀄리티는 낮다. 속편의 그래픽은 대략 2000년대 초반에 나온 FPS와 비슷한 감각이다. == 관련 문서 == * [[아이언 퓨리 애프터쇼크]] * [[빌드 엔진]] [각주] [[분류:2019년 게임]][[분류:아이언 퓨리 시리즈]][[분류:Windows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분류:Xbox One X Enha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