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블레이블루 크로스 태그 배틀/등장 캐릭터)] == 개요 == 격투게임 [[블레이블루 크로스 태그 배틀]]에 등장하는 [[아이언 테이거]]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과학자 "코코노에"의 손에 의해 부활한 사이보그. 주위에서 겉모습을 보고 "붉은 귀신(아카오니)"라 부르며 두려워하고 있지만, 본인은 매우 온화하고 올곧은 성격이다. >고위력의 타격과 커맨드 잡기를 가진 파워 캐릭터. 움직임이 둔하지만, 자기력으로 상대를 끌어당겨 공격할 수 있다. 승부를 내라, [제네식 에메랄드 테이거 버스터]! >- BBTAG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문 || '''이름''' || 아이언 테이거[br](アイアン=テイガー / Iron Tager) || || '''담당 성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노무라 켄지]][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제이미슨 프라이스]] || || '''출신작''' || 블레이블루: 센트럴픽션 || || '''배포 형태''' || 기본 캐릭터 || ||<-2> [[파일:BBTag_Tager.png|height=400]] || || '''체력''' || 20000 (매우 많은 편) || || '''이동 타입''' || 기본 걷기[br]공중 점프 불가[br]공중 대시 불가 || || '''고유 게이지''' || 없음 || || '''크러시 어설트''' || 발동 빠름 || * 테마곡 * MOTOR HEAD == 기술표 및 게임 내 설명 == || ||[br] * 앉아 A는 머리 속성에 무적인 대공기다. * 서서 B는 최대까지 모으면 이동 거리가 늘어난다. 모으기 중에는 머리와 몸통 및 장풍 속성에 무적이 되며, 돌진 중에는 장풍 속성에 무적이다. * (볼텍 배틀러) : 테이거의 공격에는 동작 중 상대를 끌어당기는 것이 있다. || ||<-2>스마트 콤보 || ||스마트 콤보 1 ||A・A・A・A・A (2단째 모으기 가능) || ||스마트 콤보 2 ||← + A・A・A || ||스마트 콤보 3 ||B・B・B (1단째 모으기 가능) || ||스마트 콤보 4 ||앉아서 C・C || ||스마트 콤보 5 ||공중에서 A・A || ||<-2>특수기 || ||특수기1 ||← + A || ||<-2>리버설 액션 || ||차지 라이트닝 ||A + D ---- * 동작 개시부터 상대의 공격을 막을 수 있다. 공중 가드가 불가능하다. || ||<-2>스킬 || ||아토믹 콜라이더 ||↓↘→ + A or B (B만 모으기 가능) ---- * "아토믹 콜라이더"는 공중의 상대만 잡을 수 있으며 머리 속성에 무적이다. * A판은 잡기 성공 후에 "가젯 핑거"로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B판은 공중의 상대를 끌어당길 수 있고 잡은 뒤엔 서서 A로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기간틱 테이거 드라이브 ||↓↙← + A ---- * "기간틱 테이거 드라이버"는 지상의 상대를 잡을 수 있으며 잡기 성공 후엔 "가젯 핑거"로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동작 개시부터 잡기 속성에 대하여 무적이다. || ||웨지 캐터펄트 ||↓↙← + B ---- * "웨지 캐터펄트"는 지상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공격은 느리지만 동작 중 무적이며 상대를 끌어당길 수 있다. 잡기 성공 후에는 크게 벽에 바운드하여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에어 드라이버 ||공중에서 ↓↙← + A or B (B만 모으기 가능) ---- * "에어 드라이버"는 공중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잡기 성공 후에는 "가젯 핑거"로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가젯 핑거 ||특정 기술 중에 A or B or C || ||<-2>EX 스킬 || ||스파크 볼트 ||↓↘→ + C || ||기간틱 테이거 드라이브 ||↓↙← + C (모으기 가능) ---- * "기간틱 테이거 드라이버"는 지상의 상대를 잡을 수 있으며 잡기 성공 후엔 "가젯 핑거"로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EX판은 지상의 상대를 끌어당길 수 있고, 경직 상태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 동작 개시부터 잡기 속성에 대하여 무적이다. || ||에어 드라이버 ||공중에서 ↓↙← + C (모으기 가능) ---- * "에어 드라이버"는 공중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잡기 성공 후에는 "가젯 핑거"로 추가 공격이 가능하다. * EX 판은 상대를 끌어당길 수 있고 경직 상태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 ||<-2>디스토션 스킬 || ||마그나텍 휠 ||↓↘→ + B + C ---- * 동작 개시부터 상대의 공격을 막을 수 있다. || ||제네식 에메랄드 테이거 버스터 ||↓↙← + B + C (모으기 가능) (공중 가능) ---- * 지상판 "제네식 에메랄드 테이거 버스터"는 지상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 공중판 "제네식 에메랄드 테이거 버스터"는 공중의 상대를 잡을 수 있다. * 모으기 중을 포함한 동작 중에는 상대를 끌어당긴다.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 ||<-2>디스토션 스킬 듀오 || ||테라 브레이크 ||메인 캐릭터의 디스토션 스킬 중 P ----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 ||<-2>아스트랄 히트 || ||킹 오브 테이거 ||↓↓↓ + B + C ----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 잡기 판정. 지상과 공중을 모두 잡을 수 있으며, 경직 상태의 상대도 잡을 수 있다. || ||<-2>파트너 스킬 || ||<-2>중립 + 파트너 스킬 (스마트 콤보 B의 첫 모션. 원작의 슬레지해머 1타) || ||<-2>→ + 파트너 스킬 (스파크 볼트) || ||<-2>← + 파트너 스킬 (원작의 대공 스파크 볼트) || == 성능 == 근거리 성향의 잡기 캐릭터. 몸집이 큰 만큼 왈렌슈타인, 전광전차와 더불어 작품 내 가장 체력이 많으며 화력도 높다. 일부 능력이 자동으로 상대를 끌어당기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콤보가 단조로운 편이지만 이 게임은 파트너 스킬로 연계를 이어갈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커버된다. 콤보 데미지도 꽤 높은 편. 전작의 레버 회전을 요구하던 커맨드들은 모두 간소화되었다. 웨지 캐터펄트의 긴 무적시간과 GETB의 빠른 발동 속도는 건재하기 때문에 처음 상대하게 될 경우엔 커맨드 간소화 버프를 받은 웨지 캐터펄트와 GETB에 모르고 당할 가능성이 크다. 리버설 액션의 범위도 넓은 것이 강점. 적중 시 후속 콤보가 가능한 EX스킬인 고속 장풍 스파크 볼트의 성능이 매우 뛰어나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게이지가 없을 때엔 원거리 캐릭터를 상대하기가 매우 괴롭다. 따라서 테이거는 게이지 소모가 많은 캐릭터에 속하며, 게이지 소모가 많은 다른 캐릭터와의 조합은 비추천. 대시가 아예 없어서[* 왈렌슈타인은 공중 대시가 존재하며 지상에서도 짧긴 하지만 스텝 형태의 대시가 가능하고, 전광전차는 전방에 공격 판정이 달린 전방 대시가 가능하다.] 기동성이 최하 수준이며, 큰 몸집으로 인해 남들이 안 맞을 콤보를 죄다 얻어맞는다는 단점이 크다. 각종 잡기 기술들도 점프 공격으로 파훼할 수 있다. B 공격이 원작의 필살기인 슬레지해머라서 슈퍼아머를 이용한 진입용으론 쓸만하지만 그만큼 콤보용으로 막 쓰기엔 애매한 점도 있다. ARCREVO 2018 공식 대회로 지정된 SEAM 2018에선 kojiKOG가 테이거/왈렌슈타인 태그로 당시 국민 조합인 고르도/루비를 사용한 EVO 2018 우승자인 '헤이호'[* 해당 대회에선 Nameless라는 이름으로 엔트리했다.]를 꺾고 우승했다. 메타가 여러 번 바뀐 와중에도 우직하게 이 조합을 밀어붙이는 중. 잘 알려지지 않은 특이사항으로 제네식 에메랄드 테이거 버스터를 원작 커맨드인 2회전 커맨드로 사용할 시 데미지가 500 정도 올라간다. 9월에 진행된 밸런스 패치 이후엔 왈렌슈타인에게도 적용된 상태. [[분류:블레이블루 크로스 태그 배틀/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