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탈슬러그 시리즈/보스/메탈슬러그 6)] ||<-3> '''미사일 장갑전차 아이언 센티넬[br]ミサイル装甲戦車 アイアンセンチネル[br]Missile Panzer Tank Iron Sentinel'''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MS6-2.gif|width=100%]]}}} || ||<-3> 설정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Slider.gif|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ron_Sentinel_Missile_Launcher.png|width=100%]]}}} || || 로켓 주포 ||<-2> 미사일 발사대 || ||<-3> 게임상에서의 모습 || || 난도 ||<-2> ★★★☆☆ || || 체력 || 1인 || 2인 || || 레벨 1 || 600 || 750 || || 레벨 4 || 750 || 900 || || 레벨 8 || 950 || 1100 || || 폭주 조건 ||<-2> 일정량의 대미지 || || 레벨 1 || 250 || 350 || || 레벨 4 || 300 || 400 || || 레벨 8 || 400 || 5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탈슬러그 6]] 미션 2의 보스. 메탈슬러그 6 발매 당시 실린 [[월간 아르카디아]]의 공략집에서는 이름이 '[[http://6th-divisions-den.com/archives/ms6/Monthly%20Arcadia%204.2006/Scans/MA%204.2006%20Page%2074-75.jpg|미사일 장갑전차]]'로 쓰여있지만 팬들 사이에서 '''아이언 슬라이더'''라는 가칭으로 불려 왔다. [[메탈슬러그 디펜스]]에서도 [[http://blog.naver.com/yjl1845/220700512584|아이언 슬라이더]]라는 명칭으로 [[더미 데이터]]가 있으나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다 [[메탈슬러그 어택]]에 '아이언 센티넬'이라는 이름으로 참전하면서 정식 명칭이 확정되었다. == 외형 및 특징 == 메탈슬러그 어택의 설정에 따르면 이 전차는 '''[[모덴군]]과 [[마즈피플]]과의 공동 개발로 탄생한 전차'''라는 설정이다. [[메탈슬러그 시리즈]]에서 가장 거대한 [[초중전차]]이다. [[열차포]]를 연상케 하는 외형에 4개의 [[무한궤도]]를 가졌으며 비슷한 크기를 지닌 전차로는 최대 높이가 12m인 [[드래곤 노스케]]가 있지만, 덩치에서 밀린다. [[빅 셰이]]는 전차가 아니라 수륙양용 [[전함]]이니 제외. [[모덴 원수]]가 직접 탑승했으며 무장은 거대한 주포와 미사일 발사대, 6개의 로켓 발사구, 2개의 측면포로 양쪽 탑재를 가정한다면 2배의 개수를 보유하고 있다. 형태는 [[600mm 자주박격포 칼]]을, 차체와 상부 관측창은 [[A7V]]를 닮았다. 전통적으로 메탈슬러그 시리즈의 미션 2의 보스는 그야말로 인외마경을 방불케 하는 공격으로 상당한 위압감을 자랑한다. 아이언 센티넬 또한 포대가 파괴되었을 때 잠시 보스전 BGM이 작아지면서 끝난 것처럼 연출하다가 다시 BGM이 커지면서 미사일 발사대가 나타나는 반전을 보여준다. 거기에 미사일 발사 공격 자체가 전 미션에서 나오는 아이언 캡 다음으로 메탈슬러그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 줌 아웃 연출이기 때문에 인상적인 보스. 폭주 시의 미사일 연사는 꽤 껄끄럽다. 문제는 다음 미션의 보스가 매우 까다로운 '''[[브레인 로봇|]]'''이라 [[1라운드 보스]]의 타이틀을 빼앗겼다. == 패턴 == 플레이어가 서 있는 나무 발판을 부수며 경사진 산길 위에서 나타난다. 이동 가능한 범위는 보스의 캐터필러뿐이라서 바깥쪽으로 점프 및 추락사를 할 수 없다. 공격 패턴은 페이즈 1과 2로 나뉜다. === 로켓 주포 === 피탄 판정이 주포에만 존재한다. * 중형 로켓 주포에서 [[순항 미사일]]을 발사한다. 로켓은 S자를 그리며 이동하며, 플레이어의 상단에 날아온 뒤 아래로 착탄하며 공격한다. 내구력이 상당하니 피하는 것이 좋다. * 부포 전차의 측면에 파괴 가능한 부포 2개가 나와서 주변을 공격한다. * 소형 로켓 전차의 측면에서 작은 로켓을 여러 개 발사한다. [[씨 데빌]]처럼 측면과 좌우에서 무작위로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확률적으로, 무기 아이템을 주는 푸른 로켓이 나온다. === 미사일 발사대 === 주포가 파괴되면 덮개가 열리고, '''거대한 미사일 발사대'''가 나타나며 페이즈 2가 진행된다. * 거대 미사일 미사일이 발사되기 전에 20개 이상의 파괴 가능한 불똥이 미사일 발사대 주변에서 떨어진다. 이후 발사대에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며 동시에 화면이 줌 아웃된다. 이후 미사일이 지상으로 추락하면서 좌우로 불기둥을 남기며 파괴되며, 확률적으로 아이템이 나온다.[* 발사대를 때려서 블래스터 게이지를 꽉 채우고 산길에서 얻어온 [[잔테츠 소드]]를 불기둥에 때리면 동전이 마구잡이로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먹자가 가능.] 이 외에도 빅 [[플레임 샷]]과 [[레이저 건]] 400발, 폭탄 30개만 유지해서 끌고 와서 쏟아부으면 빨리 끝난다. 탄을 적절하게 쓰면 레이저 건 400발을 다 쓰지 않고 깰 수 있을 정도. * 폭주 어느 정도 공격당하면 미사일의 발사 주기가 2배 정도 빨라진다. 이때부터는 쭉 줌 아웃 상태로 고정돼서 피하기 어렵고, 위의 패턴 1과 겹쳐 나오기에 불똥을 어느 정도 파괴를 하면서 진행을 하는 것이 좋다. == 줄거리 == 정규군은 아이언 센티넬이 파괴되어 잔해만 남은 현장에서 승리를 만끽하지만, 순간이동으로 나타난 [[마즈피플]]이 사슬광선으로 플레이어를 제압하고 해치 밖으로 나온 [[모덴 원수]]가 웃는다. 하지만 윙드 [[인베이더(메탈슬러그 시리즈)|인베이더]]가 등장하면서 마즈피플이 갑자기 공황 상태에 돌입하고, 이내 붙잡혀 해파리냉채가 된다. 또 다른 윙드 인베이더로 인해 밑으로 떨어진 모덴은 정규군에게 상황을 설명한다. 지구상에 떨어진 운석에서는 새로운 외계종족이 나타났고, 모덴군은 마즈피플과 합세하여 그들을 막기 위해 미션 4 [[금문교]]의 해저에 있는 [[루츠 마즈]]를 건져 올리려 한다. 하지만 외계종족의 화력 앞에서 실패로 끝났다. 이후 마즈피플만 잡아먹던 인베이더들은 이제 모덴군을 포함한 인간을 적으로 간주하고, 이로써 미션 3부터는 모덴군과 마즈인은 동맹 세력으로 전환된다. == [[메탈슬러그 어택]] == 메탈슬러그 디펜스에서는 이 녀석이 [[더미 데이터]]로 등장해 많은 유저들의 기대를 샀으나, 하필이면 이때가 딱 슨크가 디펜스의 업데이트를 중단하고 어택을 지원하기 시작한 타이밍이었던지라, 결국 더미 데이터로 남았다. 이후 메탈슬러그 어택에서 제대로 등장하였는데, 마즈 포인트라는 정신 나간 획득방법으로 등장하여 많은 이들의 실망을 샀으며, 더구나 성능도 영 시원찮아 출시 초기부터 대전판에서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후 능력치가 대폭 상향되기도 했지만, 파워 인플레가 심한 현재로썬 여전히 쓰레기 취급받고 있는 비운의 유닛. 그럼에도 SNK는 이 녀석을 버리진 않았는지 지속해서 버프했다. 버프 이전엔 색놀이로 나온 '''아이언 버밀리온'''에게 털렸지만, 현재는 반대되었다.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Iron_Vermilion_MSA_idle.png]] 이후 슨크답게 색놀이 버전으로 등장. 설정상 보급형으로 [[다운그레이드|경량화]]한 기종이라고 하며, 원본과는 달리 마즈피플의 기술은 없는 듯하다. [[분류:메탈슬러그 시리즈/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