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나라의 황족]][[분류:청나라의 황자]][[분류:1840년 출생]][[분류:1891년 사망]] [include(틀:청의 황자)] ||<-2> {{{#fecd21 '''愛新覺羅 奕譞''' [br]{{{+1 '''애신각라 혁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ad4b31c8701a18b8f582d3f9c2f07082838fe0a.jpg|width=100%]]}}} || || '''{{{#fecd21 시호}}}''' ||화석순현친왕(和碩醇賢親王) || || '''{{{#fecd21 별호}}}''' ||자(字) 박암(樸菴) [br]아호(雅號) 구사당주인(九思堂主人)·퇴잠주인(退潛主人) || || '''{{{#fecd21 지위}}}''' ||다라순군왕(多羅醇郡王) ⇒ 화석순친왕(和碩醇親王) / 칠왕야(七王爺)|| || '''{{{#fecd21 생몰년도}}}''' ||<(> 1840년 10월 16일 ~ 1891년 1월 1일(50세) || || '''{{{#fecd21 부친}}}''' ||청 선종 [[도광제]] || || '''{{{#fecd21 모친}}}''' ||[[장순황귀비 오아씨|장순황귀비]] 오아씨|| || '''{{{#fecd21 자녀}}}''' ||[[광서제]],순친왕 재풍 등 7남 3녀|| [목차] [clearfix] == 개요 == 청나라 황제 [[도광제]]의 서자이며,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고 11대 황제 [[광서제]]의 친아버지, 마지막 황제 [[선통제]]의 친할아버지이다. == 생애 ==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와 [[공친왕]]의 이복동생, [[광서제]]의 아버지, [[선통제]]의 할아버지이다. 생모는 장순황귀비 오아씨. 현(賢)이라는 시호를 붙여 순현친왕(醇賢親王)이라고도 한다. 도광제가 사망할 때엔 아직 어려서 대권구도에서는 배제되었지만, 함풍제가 사망할 때엔 20대의 나이로 [[서태후]]와 공친왕이 [[기상정변]]으로 숙순 등 보정대신들을 제거할 때 보군통령으로 임명되어 북경의 치안과 군권을 확보하며 보정대신들의 체포를 주도했다. 이때의 선택으로 혁현은 서태후의 마음을 얻게 된다. 서태후는 여동생을 혁현에게 시집보내 황실과 [[겹사돈]] 관계를 형성하여 조카 재첨을 얻었는데, 동치제가 후사 없이 요절하자 자신에게는 조카인 4살짜리 어린아이인 재첨을 양자로 뺏어와 [[광서제]]로 즉위시킨다. 이게 종법상으로도, 인정상으로도 '''자신의 외아들이 죽었으니 동생의 외아들을 뺏어오는'''[* 혁현의 첫 아들은 요절했고, 재첨을 양자로 뺏긴 뒤 낳은 3, 4남도 요절했다. 그렇게 겨우겨우 잘 키워낸 5남이 바로 재풍. 오히려 이렇게 입양이 불가피한 상황에 놓인 서태후에게 아주 적당한 양자감은 따로 있었다. 바로 서태후의 라이벌 공친왕의 둘째아들 재형(載瀅)이었다.(...) 재형은 3살 위의 형 재징(載澂)이 무탈하게 잘 컸기 때문에 공친왕가를 계승할 종법상의 후계구도에 여유가 있었고 마침 10대 중반이었기 때문에 즉위하면 딱 친정을 시작할 나이였다. 그런데도 서태후가 굳이 자신의 어린 조카를 데려온 속내가 무엇이었겠는가?] 무례한 행동이어서 말이 좀 많았는데, 혁현은 이를 통보받고 형수 겸 처형인 서태후의 권력욕을 체감하며 몹시 통곡하다 실신을 할 정도였다. 그 후 하나뿐인 아들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혁현은 서태후의 [[예스맨]]이 된다. [[동태후]]가 석연치 않은 이유로 죽자 광서제가 친정을 시작할 나이가 되었음에도 앞장서서 처형에게 섭정 노릇을 계속해달라 부탁하여 서태후가 마지못한 척 권력을 유지했을 정도. [[청불전쟁]]에서 복건함대가 전멸하며 혁흔이 총리아문과 군기처 직책에서 물러나자 서태후의 충실한(?) 예스맨으로서 혁흔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사후 순친왕 작위는 재풍(載灃)이 이어받는다. == 가족 관계 == 그는 청나라 제11대 황제 [[광서제]]와 황족 순친왕(醇親王) 재펑의 아버지이며 청나라 제10대 황제 [[동치제]]에게는 이복 숙부이자 이모부가 되고 청나라 제12대 황제이자 최후의 황제인 [[선통제]] 푸이의 친할아버지이기도 하다. 둘째아들 [[광서제]]의 황후인 [[효정경황후]]는 그의 처조카딸이자 차자부이다. === 부인 === *대복진 엽혁나랍씨(大福晉 葉赫那拉氏 1842~1896): 이름 완정(婉貞) / 서태후의 여동생 *측복진 안찰씨(顔扎氏 1857~1881): 내복(來福)의 딸 수녀 출신으로 서태후의 명령으로 혁현에게 시집왔으며 3년만에 병사했다. 사후 측복진에 추봉되었다. *측복진 연가씨(年佳氏) *측복진 유가씨(劉佳氏 1863~1926): 이름 취연(翠姸) / 5품전위 덕경(德慶)의 딸 *측복진 이가씨(李佳氏 ?~1929): 덕순(德純)의 딸 === 자녀들 === *서1녀(1861~1866): 대복진 엽혁나랍씨 生 / 측복진 안찰씨 소생이라고도 함 / 찰살극박다륵갈태친왕 과이심 박이제길특 나이소(那爾蘇 ?~1891 =승격림심의 손자)와 약혼 / 요절 *적1남 재한(載瀚 1865~1866): 대복진 협혁나랍씨 生 / 요절 *'''적2남 덕종 [[광서제]] 재첨(德宗景皇帝 載湉 1871~1908): 대복진 엽혁나랍씨 生''' *적3남(1875~1875): 대복진 엽혁나랍씨 生 / 요절 *적4남 재황(載洸 1880~1884): 대복진 엽혁나랍씨 生 / 요절 *'''서5남 [[순친왕|화석순현친왕]] 재풍(和碩醇賢親王 載灃 1883~1951): 측복진 유가씨 生 / [[선통제]] 부의의 아버지''' *서6남 다라서군왕 재순(多羅瑞郡王 載洵 1885~1949): 측복진 유가씨 生 / 다라서민군왕 혁지(多羅瑞敏郡王 奕誌 1827~1850)에게 출계 *서2녀(1885~1887): 측복진 유가씨 生 / 요절 *서7자 다라종군왕 재도(多羅鐘郡王 載濤 1887~1970): 측복진 유가씨 生 / 다라종단군왕 혁합(多羅鐘端郡王 奕詥 1843~1869)에게 출계 *서3녀 군군(郡君1887~1914): 측복진 이가씨 生 / 부찰 송춘(富察 松椿)에게 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