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cci2020_eisnerlogo.png]] '''Will Eisner Comic Industry Awards''' '''윌 아이스너 만화산업상''' 아이스너상은 [[1988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만화상으로, [[미국 만화]]계의 거장인 [[윌 아이스너]]의 이름을 따왔다. 미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만화상 중 하나로 만화계의 [[아카데미상]]이라 불리기도 한다. 매년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 시상식을 개최한다.[* 하지만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세계적인 유행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시상식을 진행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SUgRvQPdj0&feature=youtu.be|보러가기]]] 심사 위원은 만화가, 평론가, 만화 소매업자, 사서, 학자 및 코믹콘 조직위원회 위원 등에서 선발된 매년 다른 다섯에서 여섯 명의 인원들로 구성된다. 모든 후보작들은 컨벤션 센터의 Sails Pavilion에 있는 아트쇼에서 전시한다. == 역사 == 아이스너상이 시작되기 이전인 1985년 미국의 출판사 판타그래픽스 북스(Fantagraphics Books)에서 뛰어난 만화와 작가들을 기리기 위해 [[커비상]][* 미국의 만화가 [[잭 커비]]의 이름을 따왔다.]을 제정했다. 커비상은 판타그래픽스 북스의 직원이었던 데이브 올브리히(Dave Olbrich)가 관리했는데, 1987년 올브리히가 판타그래픽스 북스를 떠나면서 커비상의 소유권 분쟁이 일어났고 결국 커비상은 폐지되었다. 커비상의 폐지 이후 양측은 새로운 상을 만들었다. 판타그래픽스 북스는 [[하비상]][* 미국의 만화가 하비 커츠만(Harvey Kurtzman)의 이름을 따왔다.]을, 데이브 올브리히는 '''아이스너상'''을 만들었다. 올브리히는 아이스너상을 운영하기 위한 비영리 단체를 설립했고 1988년 첫 수상이 진행되었다. 1990년 투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수상이 진행되지 않았다. 책임자였던 데이브 올브리히가 내려왔고, 아이스너상은 코믹콘에서 인수했으며 재키 에스트라다(Jackie Estrada)가 새로운 책임자가 되었다. == 수상 부문 == * 최우수 단편(Best Short Story) 이슈나 단행본 등에 수록된 각각의 단일한 단편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싱글 이슈/원샷(Best Single Issue/One-Shot) 각각의 단일한 [[이슈#s-5]]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원샷은 한 이슈로 이야기가 시작하고 끝나는 작품들을 말한다. * [[아이스너상/최우수 온고잉 시리즈|최우수 온고잉 시리즈]](Best Continuing Series) 끝을 정해 놓지 않고 (인기가 있는 한) 계속 연재할 계획으로 시작하는 온고잉 시리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아이스너상/최우수 리미티드 시리즈|최우수 리미티드 시리즈]](Best Limited Series) 3~6이슈, 간혹 많게는 12이슈까지 길이를 정해 놓고 연재하는 리미티드 시리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신작 시리즈(Best New Series) 새로이 연재되는 만화 시리즈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유아용 출판물(Best Publication for Early Readers) 8세 이하의 독자들을 위한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아동용 출판물(Best Publication for Kids) 9살에서 12살 사이의 독자들을 위한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청소년용 출판물(Best Publication for Teens) 13살에서 17살 사이의 독자들을 위한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유머 출판물(Best Humor Publication) 유머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앤솔러지(Best Anthology) 어떤 주제를 정해두고 여러 작가들이 쓴 작품들을 모아놓은 [[앤솔러지]]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아이스너상/최우수 현실기반 작품|최우수 현실기반 작품]](Best Reality-Based Work) 실제로 벌어진 일들을 바탕으로 하는 [[논픽션]]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아이스너상/최우수 그래픽 앨범|최우수 그래픽 앨범]](Best Graphic Album) 흔히 [[그래픽 노블]]이라 불리는 만화 단행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1991년부터는 처음부터 단행본으로 출간되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신간 부문, 이슈 등으로 연제된 내용들을 다시 출간하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간 부문으로 분리되었다. * [[아이스너상/최우수 타 미디어 각색|최우수 타 미디어 각색]](Best Adaptation from Another Medium) 소설이나 영화 등의 타 미디어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아이스너상/최우수 북미판 국제작품|최우수 북미판 국제작품]](Best U.S. Edition of International Material) 미국 내에 정발된 해외(미국 기준)의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2007년에는 [[일본 만화]] 부분이 따로 분리되었고, 2010년에는 일본 만화에서 아시아 만화로 범위가 확장되었다. * 최우수 아카이브 컬렉션/프로젝트(Best Archival Collection/Project) 과거에 연제된 만화들을 모아서 발간한 단행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신문만화]](스트립) 부문과 코믹북 부문이 있다. * [[아이스너상/최우수 작가|최우수 작가]](Best Writer) 글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아이스너상/최우수 작가/아티스트|최우수 작가/아티스트]](Best Writer/Artist) 글 작가 겸 그림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미국 만화는 분업 체계가 일반적이지만, 글 그림 모두 한 작가가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유머 부문, 드라마 부문, 논픽션 부문으로 분리했던 적이 있지만 현재는 다시 하나로 통합되었다. * 최우수 펜슬러/잉커 및 펜슬러/잉커 팀(Best Penciller/Inker or Penciller/Inker Team) 펜슬러, 잉커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펜슬러는 작가에게서 대본이나 콘티를 받으면 그걸 연필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말하고, 잉커는 펜슬러의 그림에 잉크 작업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두 작업을 한 사람이 하는 경우도 많다. * 최우수 페인터/디지털 아티스트(Best Painter/Digital Artist) 그림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디지털 아티스트는 그림 작업을 디지털로 하는 사람이다. * 최우수 커버 아티스트(Best Cover Artist) 겉표지(커버)를 그린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컬러리스트(Best Coloring) 컬러리스트(채색 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레터러(Best Lettering) 레터러(글자, 말풍선 담당)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코믹스 관련 간행물/저널(Best Comics-Related Periodical/Journalism) 만화에 대해 다루는 간행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코믹스 관련 도서(Best Comics-Related Book) 만화에 대해 다루는 도서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학술/학문 작품(Best Academic/Scholarly Work) 만화에 대한 연구 작업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출판 디자인(Best Publication Design) 만화책의 디자인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최우수 디지털 코믹스(Best Digital Comic) 디지털로 제공되는 만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일반적인 스타일의 만화를 디지털로 제공하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 [[아이스너상/최우수 웹코믹|최우수 웹코믹]](Best Webcomic) [[웹코믹]]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문. == 명예의 전당 == [include(틀:윌 아이즈너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참조 == * [[https://www.comic-con.org/awards/eisner-awards-current-info|샌디에이고 코믹콘 사이트의 아이스너상 페이지]] * [[https://en.wikipedia.org/wiki/Eisner_Award|위키백과의 아이스너상 페이지]] [[분류:아이스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