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I:Pマスカレーナ.jpg|width=100%]]||[[파일:IPMasquerena-CHIM-EN-UR-1E.png|width=98%]]|| || 내수판 || 수출판 || ||<-2> 1st 일러스트[br]부스터 팩 [[카오스 임팩트]] || ||[[파일:I:Pマスカレーナ(PAC1).jpg|width=100%]]|| || 2nd 일러스트[br]PRISMATIC ART COLLECTION[* 머리띠처럼 위로 올릴 수 있는 고양이를 형상화한 고글, 고양이 꼬리, 오토바이 등이 영화 [[다크나이트 라이즈]]의 캣우먼을 연상시킨다. 또한 밑에 설정화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1st 일러스트에서 꼬리처럼 보이는 관이 사실 등에 달려있는거지만, 이쪽은 제대로 엉덩이 쪽에 달려있다.]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아이:피 마스카레나, 일어판명칭=I(アイ):P(ピー)マスカレーナ, 영어판명칭=I:P Masquerena,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800, 종족=사이버스족, link1=, link3 =, 소재=링크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링크 소재로서 링크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링크 소재로 한 링크 몬스터는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조용하게 밤을 달려 나가는 운반책의 다른 일면이 그려진 아이콘.''' >'''때로 상황에 따라, 기분에 따라 바뀌는 다양한 스타일에 매료된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2nd 일러스트 아이콘 설명 링크 소재로는 링크 몬스터 이외라서 꽤 느슨하다. [[링크 스파이더]] 등을 소재로 쓸 수는 없지만, 속성 / 종족 / 레벨 등이 하나도 제약이 없는 덕분에 웬만한 덱에서 [[링크 소환]]이 가능하다. 링크 마커도 하단 좌우라 링크 앞을 확보하는 요원으로서의 범용성도 높다고 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액셀 싱크로 소환|액셀 싱크로]]를 연상하게 하는, 상대 메인 페이즈에 자신을 포함한 소재로 [[링크 소환]]을 실행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즉시 효과|유발 즉시 효과]]. 편의상 '''액셀 링크'''로도 불린다. 링크 소재 지정에서 2장째 같은 이름의 카드를 쓸 수는 없으니, 기본적으로는 다른 몬스터와 조합하여 링크 3 이상을 노리게 될 것이다. 기본적인 흐름으로는 [[성유물(유희왕)|성유물로부터의 자각]]과 마찬가지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나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의 효과를 노리게 된다. 이 카드는 몬스터 카드라서 원하는 타이밍에 꺼내기 쉬우며, 소생 등 재활용 수단도 풍부하다. 또한 ②의 효과에 의해 내성도 얻을 수 있느니 [[번개(유희왕)|번개]] 등의 전체 제거에도 강하다. 링크 몬스터의 특성상 링크 앞에 전개하여 전체 제거는 천적이 되기 쉬우니, 한데 모아 링크 소재로 손실을 회피할 수 있다는 점은 유용하다.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같이 소환 제약이 걸리는 카드와 궁합이 좋다. 자기 턴에 소환 제약 때문에 하지 못한 전개를 상대 턴에 마칠 수 있기 때문. 다만 메인 페이즈에밖에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상대가 적당한 몬스터를 소환하고 메인 종료를 선언하면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는 약점이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을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에게 효과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룰 효과]]. 전투 파괴나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에 내성을 가진 몬스터와 조합하면 견고한 내성을 얻을 수 있다. 효과 파괴 내성이란 지속 효과를 부여하는 게 아니라 내성 자체를 부여하기 때문에, 해당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해도 효과 파괴 내성은 그대로다.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은 링크 소재의 제약에 만족하면서 높은 전투 능력과 대상 내성을 가졌으니 꽤나 상성이 좋다.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등의 링크 소재로 삼아 더 강고한 견제판을 까는 것도 좋다. [[언체인드(유희왕)|언체인드]]에서는 상대가 꺼낸 이 카드를 잡아먹고 내성을 가진 고위 링크를 꺼낼 수 있다. 반대로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를 소환한다면 상대 효과 몬스터 하나 릴리스 + 몬스터 효과 무효화+묘지 소생 퍼미션이기에 거의 모든 전개를 막을 수 있다.[* 효과 텍스트에 '자신의 필드 위 몬스터' 라고 쓰여 있어 착각할 수 있으나, 사로스 에레스를 꺼낼 경우 상대의 몬스터도 정상적으로 소재로 삼을 수 있다.] 이전부터 잘 쓰여왔던 카드이지만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에스:피 리틀나이트]]가 발매된 이후로는 리틀나이트를 상대 턴에 뽑을 수 있어 채용이 더욱 늘어났다.[* 다만 리틀나이트 1번 효과가 그냥 융/싱/엑/링을 써도 되는지라, 엑덱 공간이 부족하면 마스카레나까지는 안 넣을 수도 있다.] 영문판에선 우수수 쏟아지는지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가 한화 13000원 가량에 발매하는 등, 되려 영문판이 한국판('''슈퍼 레어''' 16000원)보다 매우 싸졌다. 카드명의 모티브는 [[Linux|리눅스]]에 탑재된 네트워크 기능 중 하나인 'IP 마스커레이드'. 여기에 일러스트의 표정을 반영한 :P [[이모티콘]]이 말장난으로 들어가 있다. [[아이돌 카드(유희왕)|귀여운 일러스트]]와 상당히 쓸만한 성능이 잘 어울러진 덕분에, 발매되자마자 굉장히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중. 근데 대원은 이모티콘 말장난을 몰랐는지 아이:피로 번역해 버렸다... 첫 수록 팩 발매와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 이벤트에서 특성 프로텍터 일러스트를 통해 유출되었다. 때문에 카드 상세 정보가 밝혀지기 수개월 전 시점에서 일러스트만 판명된 상태였는데, 당시에는 [[롤러스케이트]]를 타고 있는 모습과 의상 때문에 [[U.A.]] 카드군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첫 번째 일러스트의 경우 해외 수출판은 디자인 자체는 별다른 수정점이 없지만,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oardgame&no=2011362|서혜부 라인이 지워져 있는]] 변화가 존재한다. 다만 가슴과 배꼽 부분은 드물게 수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두 번째 일러스트 버전은 발매된 지 겨우 1주일이 지난 2021년 2월 둘째 주 기준, '''무려 149,000엔을 돌파'''할 만큼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다. [[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이 원래부터 소량 생산에다 레어도까지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인데, 이것도 모자라 고퀄리티의 일러스트까지 시너지를 이루면서 그 가치가 한없이 올라가고 있다. 심지어 [[구울즈|가짜 카드]]를 매장에 판매하려다 발각된 사건까지 나왔을 정도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다크 쿠로다]]가 [[스트롱 쥬큐]]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링크 소환 직후 [[암흑룡 코라프서펜트]]와 함께 [[쓰리버스트샷 드래곤]]의 링크 소재가 되었다. 이후 [[사이킥 텐도]]도 [[스트롱 쥬큐]]와의 듀얼 중 사용. 역시 선공 첫 턴에 링크 소환된 후 쥬큐의 턴에 자신의 효과로 [[스프라이트 엘프]],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캐롯|스프라이트 캐롯]]과 함께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의 링크 소재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귀여운 마스카레나 눈나 소환 연출.gif|width=100%]]}}}|| || '''[[유희왕 마스터 듀얼|{{{#000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피 마스카레나 {{{#000 소환 연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섹시한 마스카레나 눈나 소환 연출.gif|width=100%]]}}}|| || '''[[유희왕 마스터 듀얼|{{{#000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피 마스카레나 Ver.2 {{{#000 소환 연출}}}''' ||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3년 8월 10일 [[코나미|573]]0만 다운로드 기념으로, 소환연출과 동시에 어나더 일러스트가 추가되었다. === 설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5_M7BEUcAYysyS.png|width=100%]]}}} || || 설정화[* 유희왕 OCG 공식 유튜브 계정의 방송 패널로 참여한 코스플레이어 '[[에나코]](えなこ)'의 코스프레용 자료로 제공되었다고 한다.] || '마스터 가이드 6'에서 공개된 설정에 따르면, 모든 데이터를 훔쳐서 제공하는 운반책이라고 한다. 전자의 빛으로 치장하여 밤의 세계를 돌아다니는 어둠 데이터 전문 '운반책'으로, 확인된 것만 해도 100개 이상의 얼굴을 가졌으며, 그 진짜 모습을 알아낸 자는 없다고. 다만 [[S-Force#S-Force 체이스|S-Force 체이스]]의 일러스트를 보건대 저러다가 [[S-Force]]에게 꼬리를 밟힌 모양이다. 이후 [[리틀 오포지션]]을 통해 나이트체이서에게 발각당해 위기에 처하지만, 누군가의 도움 덕분에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나는데, 마스카레나를 도운 제3자의 정체는 다름 아닌 모종의 사유로 S-Force를 탈퇴한 난파소야환이다. 이후 [[에스:피 리틀나이트]]로써 마스카레나의 동료가 되는데, 세계관의 주인공 포지션인 난파소야환이 조직을 탈퇴하고 마스카레나의 동료가 된 걸로 보아 마스카레나가 단순한 범죄자가 아님을 암시하고 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19-07-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HIM-JP049 | '''[[카오스 임팩트|CHAOS IMPAC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20th SE)] || ||<(> 2021-02-0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AC1-JP034 | [[PRISMATIC ART COLLECTION]][*2nd일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19-10-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HIM-KR049 | '''[[카오스 임팩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05-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AC1-KR034 | [[PRISMATIC ART COLLECTION|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2nd일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19-10-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HIM-EN049 | '''[[카오스 임팩트|CHAOS IMPAC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AR)] || ||<(> 2020-08-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20-EN178 | 2020 TIN OF LOST MEMO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1-11-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GED-EN035 | [[골드 시리즈|MAXIMUM GOLD: EL DORADO]][*2nd일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GR)] || ||<(> 2023-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LMR-EN085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관련 카드 == === [[이엠:피 그레냐드]] === === [[에스:피 리틀나이트]] === === [[Vivid Ta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