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바이에른 왕국의 루이트폴트 왕자비[br]{{{+1 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br]Arciduchessa Augusta Ferdinanda d'Austria'''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osef_Bernhardt_-_Prinzessin_Auguste_Ferdinande_von_Bayern,_Erzherzogin_von_Österreich-Toskana_1845.jpg|width=100%]]}}} || ||<|2> '''이름''' || 이탈리아어 ||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 루이사 마리아 조반나 주세파[br](Augusta Ferdinanda Luisa Maria Giovanna Giuseppa) || || 독일어 ||아우구스테 페르디난데 루이제 마리아 요하나 요제파[br](Auguste Ferdinande Luise Maria Johanna Josepha) || || '''출생''' ||<-2>[[1825년]] [[4월 1일]][br][[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 || || '''사망''' ||<-2>[[1864년]] [[4월 26일]] (향년 39세)[br][[바이에른 왕국]] [[뮌헨]] || || '''배우자''' ||<-2>[[루이트폴트 폰 바이에른|바이에른의 루이트폴트 왕자]] ,,(1844년 결혼),, || || '''자녀''' ||<-2>[[루트비히 3세]],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레오폴트]], 테레제, 아르눌프 || || '''아버지''' ||<-2>[[레오폴도 2세|토스카나 대공 레오폴도 2세]] || || '''어머니''' ||<-2>[[작센 왕국|작센]]의 마리아 안나 공주 || || '''형제''' ||<-2>카롤리나, 마리아 마시밀리아나|| || '''종교''' ||<-2>[[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토스카나 대공국]]의 [[레오폴도 2세]]의 차녀. [[바이에른 왕국]]의 [[루이트폴트 폰 바이에른|루이트폴트 왕자]]와 결혼해 [[루트비히 3세]]를 낳았다. == 생애 == 레오폴도 2세가 그의 첫번째 부인 [[작센 왕국]]의 마리아 안나 공주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들 중 유일하게 성인으로 성장한 자식이다. 키가 크고 아름답다고 알려진 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는 1844년 4월 15일에 [[피렌체]]에서 바이에른의 루이트폴트와 결혼했다. 루이트폴트의 아버지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1세(바이에른)|루트비히 1세]]는 두 사람의 결혼을 반대했는데, 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가 일찍이 [[폐결핵]]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사람이 결혼한 뒤 루트비히 1세는 며느리가 미인이라고 좋아하며 자신의 미인 초상화 컬렉션에 며느리의 초상화[* 프로필의 초상화]를 추가했다. 부부는 금슬이 좋았다. 춥고 습한 [[뮌헨]]의 기후가 몸이 약한 아우구스타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까 걱정된 루이트폴트는 따뜻한 [[린다우]]에 별장을 지었다. 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는 조용한 성격이었지만, 남편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 정치적으로 도움이 주었다. 바이에른의 군주제를 옹호하려고 노력했으며, 특히 군주제의 위신을 크게 실추시킨 시아버지의 정부 롤라 몬테즈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1864년 4월 26일 폐결핵으로 이른 나이에 숨을 거두었다. 유해는 뮌헨의 테아티너 교회에 안장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오스트리아의[br]아우구스타 페르디난다 여대공[br]{{{-2 (Archduchess Auguste Ferdinande of Austria)}}} ||<|6> [[레오폴도 2세|토스카나 대공 레오폴도 2세]][br]{{{-2 (Leopold II, Grand Duke of Tuscany)}}} ||<|3> [[페르디난도 3세|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3세]][br]{{{-2 (Ferdinand III, Grand Duke of Tuscany)}}} || || [[레오폴트 2세]][br]{{{-2 (Leopold II)}}} || ||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 공주[br]{{{-2 (Infanta Maria Louisa of Spain)}}} || ||<#FFFFE4><|3>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루이사 공주[br]{{{-2 (Princess Luisa of Naples and Sicily)}}} || || [[페르디난도 1세]][br]{{{-2 Ferdinand I)}}} || || [[마리아 카롤리나|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br]{{{-2 (Archduchess Maria Carolina of Austria)}}} || ||<|7> 작센의 마리아 안나 공주[br]{{{-2 (Princess Maria Anna of Saxony)}}} || ||<|3> 작센의 왕세자 막시밀리안[br]{{{-2 (Maximilian, Hereditary Prince of Saxony)}}} ||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br]{{{-2 (Frederick Christian, Elector of Saxony)}}} ||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토니아 여공작[br]{{{-2 (Duchess Maria Antonia of Bavaria)}}} || ||<|3> 파르마의 카롤리나 공녀[br]{{{-2 (Princess Carolina of Parma)}}} || || [[페르디난도 1세(파르마)|파르마 공작 페르디난도 1세]][br]{{{-2 (Ferdinand, Duke of Parma)}}} || || [[마리아 아말리아|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여대공]][br]{{{-2 (Archduchess Maria Amalia of Austria)}}}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루트비히 3세]][br]{{{-2 (Ludwig III)}}} || [[1845년]] [[1월 7일]] || [[1921년]] [[10월 18일]] ||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 테레제[br]슬하 4남 9녀 || || '''2남''' || [[레오폴트 폰 바이에른|레오폴트 왕자]][br]{{{-2 (Prince Leopold)}}} || [[1846년]] [[2월 9일]] || [[1930년]] [[9월 28일]] || [[기젤라 루이제 마리|오스트리아의 기젤라]][br]슬하 2남 2녀 || || '''1녀''' || 테레제 공주[br]{{{-2 (Princess Therese)}}} || [[1850년]] [[11월 12일]] || [[1925년]] [[12월 19일]] || || || '''3남''' || 아르눌프 왕자[br]{{{-2 (Prince Arnulf)}}} || [[1852년]] [[7월 6일]] || [[1907년]] [[11월 12일]] || 리히텐슈타인의 테레제[br]슬하 1남 || [[분류:오스트리아의 공주]][[분류:왕자비]][[분류: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분류:비텔스바흐 가문]][[분류:1825년 출생]][[분류:1864년 사망]][[분류:피렌체 출신 인물]][[분류:결핵으로 죽은 인물]][[분류:테아티너 교회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