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아와레! 메이사쿠 군}}}''' (2016~2022)[br]あはれ!名作くん}}}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isakukun_.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코미디]], [[학원물|학원]] || || '''{{{#373a3c,#dddddd 원작}}}''' ||<|2>[[Pie in the sky]]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 || '''{{{#373a3c,#dddddd 감독}}}''' ||신카이 타케토(新海岳人)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JUN OSON || || '''{{{#373a3c,#dddddd 편집}}}''' ||오오야마 마히로(大山真絋) || || '''{{{#373a3c,#dddddd 제작}}}''' ||아와레! 메이사쿠 군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6년 4월|2016. 04. 08.]] ~ 2022. 03. 25.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NHK 교육 텔레비전]]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5분 || || '''{{{#373a3c,#dddddd 화수}}}''' ||230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meisakuku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ware_meisaku, 크기=25)] | [[https://www.youtube.com/c/Awaremeisakuku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NHK 교육]]의 프로그램 비트 월드의 코너로 방영한 애니메이션. 회당 5분 분량. 2016년 4월 8일부터 방송을 시작했으며, 비트 월드의 개편으로 2022년 3월 25일에 TV 방송을 종료한다.[[https://twitter.com/aware_meisaku/status/1492091291823316993|#]] 2022년 4월 1일 신 시리즈 제작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을 발표하였다.[[https://youtu.be/L2opyr3XUkI|#]] 펀딩은 4월 8일 20시부터 시작해서 30분만에 100%를 달성하였다.[[https://twitter.com/aware_meisaku/status/1512392139216662530|#]] == 줄거리 == >むかしむかしあるところに数々の名作キャラを輩出する学校がありました。 ある日「松田名作」というフツーの男の子が入学。 >超バカでハイテンションの「スウィーツ」、おにぎりと言われるとキレる「むすび」、ナルシストで自称ロボの「ノキオ」、ブッとんだ亀の「ボルト」など、 >濃いクラスメイトに囲まれた名作くんは、立派な名作キャラとして卒業できるのでしょうか。 > >옛날 옛날 어느 곳에 수많은 명작 캐릭터를 배출하는 학교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마츠다 메이사쿠'라는 평범한 남자아이가 입학. >왕바보에 하이텐션인 '스위츠', '[[주먹밥]]'이라고 하면 화내는 '무스비', 나르시스트에 자칭 로봇 '노키오', 4차원 거북이 '볼트' 등, >개성 강한 반 친구들에 둘러싸인 메이사쿠 군은, 훌륭한 명작 캐릭터로 졸업할 수 있을까요? >---- >''― 공식 웹사이트" == 특징 == 교육용 애니메이션에 나올 법한 단순한 그림체에 비해 요괴워치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요괴워치보다 약간 더 한 패러디[* 버추얼 유튜버 [[키즈나 아이]]의 패러디 캐릭터도 있다.], 말장난, 알몸 넥타이가 언급되는 등의 섹드립 등의 요소가 섞여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또한 작품 특성상 동화나 소설의 캐릭터들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많은 편이다.[* 만화의 캐릭터를 모티브로 삼은 캐릭터도 있긴 하다.] == 등장인물 == === 주역[* 주역들 중 메이사쿠와 노키오, 무스비와 스위츠는 전문 성우가 아닌 개그맨들이 맡았다. 이름 옆의 괄호는 각각의 오와라이 콤비명.] === * '''[[마츠다 메이사쿠]](松田名作)''' {{{-1 - 성우: 나스 아키유키(나스나카니시)}}} * '''[[윈도우즈 노키오]](ウインドウズノキオ)''' {{{-1 - 성우: 아스와 타이기(우시로시티)}}} * '''[[돈구리바야시 무스비]](団栗林むすび)''' {{{-1 - 성우: 카네코 마나부(우시로시티)}}} * '''[[오시리카와 스위츠]](御尻川スウィーツ)''' {{{-1 - 성우: 나카니시 시게키(나스나카니시)}}} * '''[[F・볼트]](F・ボルト)''' {{{-1 - 성우: [[오노 켄쇼]]}}} * 우에이[* 아와레! 메이사쿠Q&A코너① 에서 직접 언급[[https://www.youtube.com/watch?v=IafsQgNRxiw|#]] 일본에서 날라리 하면 대표적으로 나오는 ウェイー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츠루코(つる公) {{{-1 - 성우: [[에구치 타쿠야]]}}} [[은혜갚은 학]]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다른 주역보다 키가 작으며 귀여운 외형 덕분에 인기가 많다. 하지만 말투와 행동은 전형적인 인싸 날라리. 대부분 사진에선 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 점프샷 처럼 뛰었을때 찍힌 것이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_SqFfOJvlNo|그래도 날 수는 있는것 같다]]. 여담으로 하쿠코라는 형이 있다. * 마츠다 메이(松田メイ) {{{-1 - 성우: [[사토 마사키(모닝구 무스메)|사토 마사키]]}}} 메이사쿠의 여동생. 친동생은 아니고 [[카구야 공주]] 이야기처럼 메이사쿠의 아버지가 대나무숲에 갔다가 멋대로(...) 주워 온 아기. 이름도 메이사쿠에서 '메이'를 따서 임시로 지은 것이다. 주워오자마자 스스로 엉금엉금 기기 시작하더니 '''[[공중부양]]'''을 하고 '''[[염력]]'''을 사용하는 등 초능력까지 사용하여 모두를 경악시켰다. 심지어 어쩌다 울음을 터뜨리기라도 하면 지구멸망 직전 레벨의 천둥번개를 동반한 폭풍우가 치기도 한다.[* 덕분에 이후 걸음마를 때었을 때에는 모두가 "공중에 뜨고 초능력도 쓰는데 이제와서 걸음마 정도는.."이라며 그다지 놀라지 않기도.] 간단한 언어 정도는 아무렇지도 않게 구사하며 머리도 상당히 똑똑하다. 메이사쿠는 메이가 등장한 이후로 [[시스콘]]수준으로 메이를 귀여워하여, 메이와 놀 때면 캐릭터조차 잊고 해벌레하곤 한다. 사실 그 정체는 달에서 온 공주. * 하루사메 치에네츠(春雨知恵熱) {{{-1 - 성우: [[하나에 나츠키]]}}} [[장화신은 고양이]]의 패러디 캐릭터이자 용궁초의 학생회장. 초반부터 학교를 공개적으로 지배한답시고 학교선생님들과 교장을 가두는 [[독재자]] 행보를 보였다. [[바보|보케도 츳코미도 아닌 쪽이다]].~~느아니↗??~~ 원래는 꽤나 온순한 성격이었지만 장화를 신으면서 성격이 사나워졌다. 때문에 장화를 안 신으면 순진해진다. 다만 예전이나 지금이나 독재자스러운 사상은 변하지 않았다. === 조역 === * 시시오우 랏시[* 성(姓)은 '시시오우(獅子王)'라고 한다. 아와레!메이사쿠Q&A코너⑨ 에서 직접 ~~매우 자신있게~~ 언급[[https://www.youtube.com/watch?v=G94av13VUIo|#]] '개'임에도 불구하고 성이 사자나 왕이느냐고 의외라는 반응을 보여줬다.](ラッスィー[* 이름은 [[명견 래시]]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1 - 성우: 카네코 마나부(우시로시티)}}} 40화 첫 등장. 현재까지 츠루코와 메이를 제외한 주연 5명의 담임선생님이다. * 로쿠노세 츤데렐라(六ノ瀬ツンデレラ) {{{-1 - 성우: [[사쿠라 아야네]]}}} 메이사쿠의 동급생으로 [[신데렐라]]를 동경하는 학생. 다짜고짜 메이사쿠에게 맹렬하게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고 메이사쿠도 처음에는 종잡을 수 없는 츤데레 스타일에 당황스러워했지만 지금은 서로 좋아하여 시도때도 없이 꽁냥꽁냥한 분위기가 되곤 한다. 하지만 아직 사귀지는 않는 듯. 당연히 둘이 그런 분위기를 연출할 때마다 나머지 맴버들은 극대노한다. 이름처럼 [[츤데레]] 캐릭터로, 낮에는 화려한 머리와 화장을 한 [[갸루]] 스타일이며 [[폭언]]에 가까운 강도 높은 츤을 뱉다가 아주 가끔 데레를 보여주지만 '''낮 12시'''[* 2기에서는 츤데렐라가 교내 댄스 파티에 메이사쿠를 파트너로 지명해서 특훈을 시켰고 "저녁시간대면 츤데렐라도 데레모드일테니 다행이다"라며 안심했지만, 어째서인지 댄스파티는 '''새벽 5시'''에 개최되었기 때문에(...) 츤 모드의 츤데렐라와 춤을 추게 되었다.] 가 지나면 얼굴의 메이크업이 지워지고 굉장히 성실하고 조신한 데레 100%의 성격이 된다. 여담으로 신데렐라처럼 어머니와 두 언니들이 있는데, 츤데렐라에게 혹독하게 청소를 시키는 듯 하면서도 굉장히 상냥한 말을 건내기도 하는 등 이들도 츤데레 속성. * [[메츠다 다사쿠]](滅田駄作) {{{-1 - 성우: [[오노 다이스케]]}}} * 이누자나이(イヌジャナイ) [[키즈나 아이]]를 모티브로 한 듯한 캐릭터. ||[[파일:샤다이치 호스케.png|width=100%]]|| * 샤다이치 호우스케(シャー田一ホー助) {{{-1 - 성우: [[야마구치 캇페이]]}}} 47화 및 3개의 에피소드에 등장한 탐정. 이름은 [[셜록 홈즈]]와 [[킨다이치 코스케]]를 섞은 것이고, 본인도 탐정 관련 명작을 좋아하는 듯 하다.--목구멍은 [[쿠도 신이치|고교생 천재 명탐정]]--. 사건을 추리하고 해결하는 것에 희열을 느끼는지라 어떨 때에는 자신이 사건을 벌여놓고 그에 휘말리는 인물들을 보며 흥분하기도 하는 위험한 녀석. 1인칭은 와타시(私)[* 어떨 때는 보쿠(僕)]. * 로쿠넨 네타로(六年寝太郎) {{{-1 - 성우: [[사쿠라이 타카히로]]}}} 51화에 등장하는 일본 민담 [[산넨네타로]]의 패러디 캐릭터. 산넨네타로를 동경한다는 설정으로[* 이름대로 무려 6년을 잤다고 한다.], 잠을 자면서도 할 건 다 하는 여러모로 비범한 캐릭터. 그에 걸맞게 이 녀석이 처음 등장한 에피소드는 위의 설화 원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오시리카와 스위츠의 실수로 급식통이 엎어져서 그 날 메뉴인 카레를 못 먹게 되자 주역들이 로쿠넨 네타로에게 도움을 청하는데, 그 말을 들은 로쿠넨 네타로가 난데없이 운동장으로 나가더니 엄청난 [[사자후]]를 내질러서 '''운동장에 강물을 끌어오는(!)''' 기적 아닌 기적을 이뤄냈다. --이 강물 때문에 도리어 마을에 [[혼파망|대혼란]]을 초래했다는 게 함정--[* 결국 강물을 끌어오느라 힘을 너무 소모하는 통에 또다시 6년 동안 잠들어 버렸다. 이외에도 자면서 돌아다니거나 말을 하는 것은 기본이고, '''뱀에 물린 와중에도 주구장창 자는가 하면''' 심지어 '''자면서 [[뜀틀]]을 넘는''' 비범한 재주를 선보이기도 했다.] 온통 [[잠자는 숲속의 미녀|가시나무로 뒤덮인]] 아방가르드한 집에서 사는데, 실외기에 가시나무가 걸려서 [[에어컨]]을 못 쓰는 게 가장 난점이라고. 게다가 집 안쪽에는 어째선지 [[규동]]집이 4곳이나 있다고 한다(!). 잠에서 깬 상태에서도 기본적으로 눈을 감고 있지만 아주 드물게 눈을 뜨는 때가 있기는 한데, 그나마도 게슴츠레한 눈이라 사실상 자고 있는 상태와 구별이 안 된다. 여담으로 옷에 z가 도배 되어있다. * 닛큐상(二っ休さん) {{{-1 -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 22화에 등장하는 잇큐상의 패러디 캐릭터. 원본과 달리 재치는 쥐뿔도 없다. 여담으로 발렌타인데이때 초콜릿을 3개 받았다고 한다. * 아메온나(雨女先生) {{{-1 - 성우:[[하나자와 카나]]}}} [[설녀]]가 모티브인 캐릭터. * 오니교사(鬼教師) [* 풀네임은 오니교사 타카모리(鬼教師たかもり). 오니교사가 성이다.] {{{-1 - 성우:[[오노 켄쇼]]}}} [* 볼트와 동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산넨네타로, version=17)] === 1회성 캐릭터 === * 3센티 법사(3セン法師) {{{-1 - 성우: [[오노 켄쇼]]}}} * 키리시타(きりした) {{{-1 성우: 킨타로}}} [* 일본의 희극인.] 일본의 설화 시타키리 스즈메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캐릭터. 여담으로 181화 초반에 등장하였는데 말은 안 하고 구워지고 있었다. * 가리 걸리버(ガリガリバー) {{{-1 - 성우:나카니시 시게키 (나스 나카니시)}}}[* 스위츠와 동일하다.] 이름과 같이 걸리버 여행기의 걸리버가 모티브인 캐릭터.이지만 말하는걸로 지칠정도의 저질 체력 소유자이다. 여담으로 여행을 좋아하는지 자주다닌다--어떨땐 노키오네 집으로 여행간적도 있다--. * 타가미(田上) {{{-1 - 성우: [[사쿠라이 타카히로]]}}}[* 네타로와 동일하다.] 49화에만 나온 캐릭터. 백설공주의 마법거울을 좋아해서 거울을 들고 다닌다. 거울은 말할때 마다 반짝인다.--왜?-- ||[[파일:주게오.png|width=100%]]|| * 카이쟈리스료 주게오(ジュゲ夫) {{{-1 - 성우: [[세키 토모카즈]]}}} 34화[* 현재 유튜브엔 비공개로 설정 되어있다.]에만 등장하는 만담을 좋아하는 캐릭터. 메이사쿠와는 달리 기모노 계열의 복장을 입었고 안경, 헤어스타일 때문에 조금 메이사쿠의 대선배같은 느낌이 난다. 초반에 [[주게무]]를 존경한다며 모두 읊으면서 등장. 작중에서 만쥬를 매우 싫어하는데 "무서워!"라고 말할 정도이다. 여담으로 부채를 자신의 머리로 갖다 대는 습관이 있다--데헷--. * 피해자(被害者) {{{-1 - 성우: 쿠로바 마리오[* 일본의 배우.]}}} * [[하츠네 미쿠(아와레! 메이사쿠 군)|하츠네 미쿠(初音ミク)]] * 피터 빵(ピーター・パン) {{{-1 성우: [[우치다 유우마]]}}} * ATAMA {{{-1 성우: DOTAMA}}} * 마법사 도우(ウィザー・ドー) {{{-1 성우: [[오노 켄쇼]]}}} * 별의 왕녀님(星の王女さま ) {{{-1 성우: [[사쿠라 아야네]]}}} 184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모티브는 [[어린왕자]]로 이름이 안 나왔다. * 쇼키(書記)[* 본명은 아니라고 한다. 본명은 오시카라와 라이토(御尻川ライト).] {{{-1 성우: [[에구치 타쿠야]]}}} 188화에 등장한 캐릭터. 학생회 일원이다. * 하얀 망토(白ずきん) {{{-1 성우: 킨타로}}} [* 키리시타와 동일.] 12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모티브는 [[빨간 망토]] == 인기 == 미정발 작품이고 동화를 소재로 한 어린이(?) 대상 애니메이션인 점, 그다지 모에하다고 여기기 어려운 단순한 그림체 때문인지 국내에서는 인기가 거의 없지만[* 심지어 하츠네 미쿠가 작품 내에 직접 출연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컬로이드 관련 커뮤니티에서 언급이 거의 없다.] 일본에서의 인기는 엄청나다. [[음MAD]], 팬 영상들이 유튜브, 트위터, 니코동에서 많이 보이며 픽시브에서도 많은 팬아트들을 자랑한다. == 사건사고 == * 6월 18일, 휴방으로 유튜브로 쇼트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하지만 거기에 부적절한 표현[* 장애인 비하]이 들어가 있어 삭제 되었다. [[https://meisakukun.com/news/|사과문]]. * 6월 21일, 총감독인 신카이 타케토가 오랜 기간동안 여성 팬들을 상대로 라인을 주고 받으며 폭언과 비난을 일삼았다는 제보가 트위터에 올라오고 있다. 하지만 정작 감독은 사과를 안하고 [[https://twitter.com/taketoshinkai/status/1406818190622007296|앞으로 좋은 작품을 만들겠다.]] 라고만 하여 논란이 되고있다. == 기타 == * 181화에서 일본의 퀴즈 채널인 [[QuizKnock]]와 콜라보를 하였다. * 2020년 10월 31일 할로윈을 맞이하여 비공개 에피인 64화를 공개하였다.[[https://youtu.be/Z2xmb_-Ckgs|#]] * 시즌2의 엔딩 가수가 [[하츠네 미쿠]]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dp6lpjY3lFg|#]]. 작곡가는 [[하치오지P]] * 현재 문서가 존재하는 에피소드는 [[도키메키♡용궁초]]뿐이다. * 2021년 3월 1일부터 회사 오아시스와의 콜라보 빵이 나왔다. 다만 전국 판매가 아니라 서일본 쪽에서만 판매한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초단편 애니메이션]][[분류:코미디 애니메이션]][[분류:일상 애니메이션]][[분류:일본 학원 애니메이션]][[분류:아동용 TV 프로그램]][[분류:2016년 애니메이션]][[분류:2017년 애니메이션]][[분류:2018년 애니메이션]][[분류:2019년 애니메이션]][[분류:2020년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애니메이션]][[분류:2022년 애니메이션]][[분류:NHK 방영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