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명일방주의 오퍼레이터, rd1=아오스타(명일방주))] [include(틀:이탈리아의 행정 구역)] ||<-4> [[파일:800px-Blason_ville_It_Aoste.svg.png|height=100]]{{{#dd1627 {{{+2 '''아오스타'''}}}}}} || ||<-4> [include(틀:지도, 장소=이탈리아 아오스타, 너비=100%, 높이=100%)] || ||<-4> '''{{{#dd1627 행정}}}''' || ||<-3> '''{{{#dd1627 국가}}}'''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 ||<-3> '''{{{#dd1627 지역}}}''' || [[발레다오스타]] || ||<-3> '''{{{#dd1627 시간대}}}''' || UTC+1 || [목차] == 개요 == * [[이탈리아어]]: Aosta * [[프랑스어]]: Aoste (아오스트) [[발레다오스타]]의 중심 도시, 인구는 2013년 기준 34,800명이었다.[* 출처는 [[https://en.wikipedia.org/wiki/Aosta|영어 위키백과]]] == 상세 == 1032년 초대 [[사보이아 백국|사보이아 백작]] [[움베르토 1세(사보이아)|움베르토 1세]]가 발레다오스타를 손에 넣으면서 자연스럽게 [[사보이아 가문]]의 영토가 되었다. 1189년 사보이아 백작 [[움베르토 2세(사보이아)|움베르토 2세]]로부터 신분제 의회를 개최할 권리를 부여받아 고도의 자치권을 누렸다. 1536년부터는 신분제 의회에서 행정까지 도맡았고 이러한 자치는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가 폐지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빈 회의]]로 [[사르데냐 왕국]]에게 반환되었고 사르데냐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가 둘째 손자인 [[아마데오 1세|아메데오 왕자]]가 태어난 것을 기념하여 아오스타 공작 작위를 창설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작위는 아메데오 왕자의 후손들에게 세습되어 왕정이 폐지된 오늘날에도 사보이아아오스타 가문의 사람들은 아오스타 공작 작위를 내세우고 있다.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많고[* 다만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는 [[프랑코프로방스어]]라는 지역 방언으로 표준 프랑스어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래도 최근에는 미디어 등의 영향과 표준어 교육 등으로 대부분 표준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로마 제국]] 시대의 유물이 많이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분류:이탈리아의 도시]][[분류:발레다오스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