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총사령관[br]{{{+1 아야드 푸타이프 칼리파 알 라위}}}[br]إياد فتيح خليفة الراوي'''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yad_Fatih_al-Rawi.jpg|width=100%]]}}}|| || '''성명''' ||아야드 푸타이프 칼리파 알 라위[br]إياد فتيح خليفة الراوي[br]Ayad Futayyih Khalifa al-Rawi || ||<|2> '''출생''' ||[[1942년]] || ||[[이라크 왕국|[[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width=28]] 이라크 왕국]] 라와 || ||<|2> '''사망''' ||[[2018년]] [[5월 18일]] (향년 76세) || ||[[이라크|[[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8]] 이라크]] [[바그다드]] || || '''사망 원인''' ||[[뇌졸중]]에 의한 사망 || || '''묘소''' ||알 카르크 이슬람 묘지 || || '''직업''' ||[[군인]] || || '''종교''' ||[[수니파]] [[이슬람]] || || '''정당''' ||[include(틀:바트당)] {{{-2 ([[바트당#s-3|이라크]])}}} || || '''약력''' ||[[이라크]] [[바그다드]] 주지사[br]이라크 [[키르쿠크]] 주지사[br]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총사령관[br]알 쿠즈 의용군 총사령관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라크군|[[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width=34]]]]}}}||}}}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2px -8px" [[이라크군|{{{#fff,#000 '''이라크 보안군'''}}}]] {{{#!wiki style="margin: -3px 0px" '''{{{#fff,#000 군사 경력}}}'''}}}}}} ||}}}}}} || ||<|4> '''복무''' ||[[이라크군|이라크 육군]] || ||[[1965년]] - [[2003년]] [[4월 9일]] || ||알 쿠즈 의용군 || ||[[2001년]] - [[2003년]] [[5월 23일]]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주요 참전''' ||[[이란-이라크 전쟁]][br][[걸프 전쟁]][br][[이라크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5201819115446751.jpg|width=100%]]}}}|| || {{{#FFF '''노년의 모습'''}}} || Ayad Futayyih Khalifa al-Rawi 아랍어 : إياد فتيح خليفة الراوي [[이라크]]의 군인.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장군으로 알쿠드스 총사령관을 지냈다. 소속 정당은 [[바트당#s-3]].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육군 장교로 활약했고 많은 메달을 얻었다. 이러한 행적들로 당시 이라크 대통령 [[사담 후세인]]에게 큰 신뢰를 받았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 당시 전쟁 범죄자로 지목되어 [[미국]] 행정부에 의해 수배되었고, 결국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 일생 == === 군 복무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dgT5EEWkAA0krw.jpg|width=2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460e.jpg|width=250]]}}}|| ||<-2> 군 복무 시절[* 오른쪽의 인물. 왼쪽은 [[사담 후세인]].] || [[1942년]], [[이라크 왕국]] 라와 마을에서 태어났다. [[1965년]]부터 육군 장교로 이라크군에서 복무하기 시작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에는 이라크 수비대의 사령관을 지내며 [[이란]]의 공세에 대항해 [[이라크]]의 반격을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메달(총 27개)을 받으며 주목받았으나 심각한 머리 부상을 당했다고 한다. [[https://archive.org/details/saddamsgeneralsp00alex|이라크 관점 프로젝트와의 한 인터뷰]]에서 알 라위는 당시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장군, 라아드 알 함다니에 의해 몇 안 되는 일류 지휘관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후세인 카멜]]이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 수비대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한 이유 중 하나가 그의 조언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성공했다고 평가받았다. 이후 [[바그다드]] 주지사와 [[키르쿠크]] 주지사를 재임했다. 그는 [[제2차 인티파다]][* [[이스라엘]]에 대항한 [[팔레스타인]]의 봉기. [[2000년]] 시작되어 [[2005년]] 종결되었다.]의 초창기에 대응하여 2001년 초 창설된 준군사조직인 알 쿠즈 의용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이 부대의 목표는 이스라엘을 물리치고 팔레스타인과 예루살렘을 해방시키는 것이었으며, 21개 사단과 700만 명의 이라크인으로 구성되었다고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팔레스타인인들을 지지하기 위한 선전용이었으며, 효과도 미미했다.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전쟁]] 이전 [[미국]]에 의해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uri=CELEX:32003R1210|제재 대상]]에 올랐고,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 행정부에 의해 수배되었다. 그는 알 쿠즈 의용군을 이용해 반격에 나서고자 했으나 알 쿠즈 의용군은 별 다른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고, 결국 [[2003년]] [[6월 4일]], 미군에게 체포되었다. === 재판과 최후 === 몇년 후, [[1991년]] 그가 이라크에서 일어난 봉기를 진압하며 저지른 전쟁 범죄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 그리고 [[2008년]] 이러한 혐의들로 [[무기징역]]을 [[http://www.kuna.net.kw/ArticlePrintPage.aspx?id=1957931&language=en|선고받고]] 복역하다 [[2018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향년 76세. == 같이 보기 == [include(틀:Iraq Most wanted playing cards)] [각주] [[분류:이라크의 군인]][[분류:이라크의 무슬림]][[분류:1942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안바르 주 출신 인물]][[분류:뇌혈관질환으로 죽은 인물]][[분류:옥사한 인물]][[분류:이라크 바트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