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아시아소프트)] [목차] == 개요 == [[아시아소프트]]가 제작한 [[폰트]]를 정리한 문서이다. == 폰트 목록 == || '''{{{#black 폰트명}}}''' || '''{{{#black 연도}}}''' || '''{{{#black 종류}}}''' || '''{{{#black 폰트 설명}}}''' || || 가시고기 || 2011년 || 3종 || 가로 획과 세로 획의 통일된 세리프를 사용하여 통일감을 주었으며[br]완전한 박스꼴의 제목용 서체로 얇은 획으로 가독성을 높인 폰트이다. || || 가위손 || 2011년 || 1종 || 강렬한 세리프로 디자인된 가위손은 날렵하며 도시적인 느낌의 서체이다.[br]글자의 무게 중심을 상단에 두어 가독성에 중심을 두어 제작되었다. || || 각헤드[* 윤디자인의 윤체와 비슷하다.] || 1996년 || 3종[* L, M, B] || 불필요한 사선을 최대한 자제하여 간결하며 단순하게 표현하였으며[br]ㄱ, ㅅ, ㅈ에서의 곡선을 직선으로 표현하여 고딕의 강한 인상을 살려 제작되었다. || || 갈매기의꿈[* 세종폰트의 SJ소주체, 윤디자인의 Cre쿨재즈와 비슷하다.] || 2011년 || 1종 || 손글씨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기둥 굵기의 강약을 통일성 있게 제작하였으며,[br]손글씨의 속도감과 부드러움을 훌륭하게 표현하였다. || || 결혼 || 2003년 || 1종 || 획일적인 스타일에서 벗어나 획의 굵기를 자유롭게 표현하였으며[br]서로 다른 자유분방한 굵기의 변화의 조합된 요소들이[br]한층 더 글꼴의 특징을 살려 정서적인 느낌을 연출하였다. || || 굴림헤드 || 1996년 || 3종[* L, M, B] || 가독성을 최우선시하여 제작하였으며 꺾임 부분에 곡선을 살려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는[br]담백하고 모던한 느낌의 간견한 서체이다.[br]자소 크기의 균형과 두께의 조화를 이루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 || 공간 || 1998년 || 3종[* L, M, B] || 획의 첫 돌기 부분을 포인트로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써내려간 듯한 느낌을 살려 제작된 서체로[br]여성스러움과 발랄함이 동시에 느껴지는 폰트이다. || || 궁서체 || 1996년 || 3종[* 해서체(Light), 궁서체(Medium), 견궁서(Bold) 3가지가 있는데 굵기가 다르다.] || 한글의 옛스러움과 고전미를 가장 살린 궁서체는[br]붓의 질감을 표현함으로써 고결하며 고풍스러운 느낌을 연출하였다. || || 그래픽[* 휴먼그래픽, 휴먼각진그래픽, HY그래픽과 비슷하다.] || 1996년 || 2종 || 간절하며 절제된 직선에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br]균형미를 살렸으며 뛰어난 가독성을 갖고 있다. || || 나무[* 윤디자인의 햇살체와 비슷하다.] || 1998년 || 3종 || 중성 획의 첫 부분은 두꺼우면서 내려오면서 얇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br]곡선을 최소화하고 직선으로서 단순함과 심플함을 표현한 서체라 할 수 있다. || || 낙서 || 1999년 || 1종 || 한 글자에 여러 번 반복하여 한 자 한 자 고쳐 쓴 느낌을 살려 재미난 느낌을 표현하였다.[br]글줄의 중심을 아래쪽에 두어 너무 가볍지 않게 안정감을 줄 수 있게 연출하였다. || || 남북통일 || 2003년 || 1종 || 자연스러우면서 힘있게 사선으로 흘려 쓴 손글씨에서 정감이 느껴지며 멋스럽다.[br]남북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감성적인 폰트이다. || || 뉴고딕 || 2011년 || 4종 || 총 4종의 굵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고딕체에서[br]ㅅ, ㅈ 빗침에서 특징을 주어 차별화하였으며[br]요소요소에 미적인 부분을 첨가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체이다. || || 대한늬우스 || 2011년 || 2종 || 아마추어가 페인팅 붓으로 직접 쓴 듯한 손글씨 느낌을 표현한[br]7, 80년대풍 복고풍을 느끼게 하는 서체이다.[br]부조화속의 균형미와 조화를 찾아 만든 서체이다. || || 동화 || 1996년 || 3종 || 타자로 쓰여진 듯한 타이핑 서체를 가독성이 좋게 다듬어[br]아날로그적 감성을 장점으로 부각해 만든 정감 가는 서체이다. || || 두리둥실 || 2010년 || 1종 || 모든 획에 곡선을 주어 부드럽고 둥근 느낌이 나는 귀엽고 깔끔한 서체이다.[br]오동통한 마시멜로가 생각나는 형태이며[br]글줄을 중상단에 배치하여 가독성에도 뛰어나다. || || 둥근헤드 || 1996년 || 1종 ||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치로 굵게 제작되었으며,[br]전체적으로 굴려 둥글고 부드러운 느낌을 살린 서체이다. || || 디나루 || 1996년 || 3종 || 명조체의 여성미의 부드러운 곡선을 최대 절제하고, 남성적인 직선을 사용하여[br]간결하며 강직한 느낌을 살린 중성적인 명조체이다. || || 땅콩 || 1999년 || 3종 || 특별한 세리프 없이 첫 획의 부분을 둥글게 표현함으로서[br]귀여우며 아기자기한 느낌을 표현한 서체이다.[br]곡선과 직선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산뜻한 느낌이 든다. || || 로망스[* 윤디자인의 파랑새체와 비슷하다.] || 2001년 || 3종[* L, M, B] || 딱딱한 느낌을 부드럽고 완곡한 표현으로 제작한 것이 특징이며[br]본문용 서체로서 가독성에 중점을 두었다.[br]간결한 세리프에서 세련미가 느껴지는 서체이다. || || 로미오 || 2000년 || 3종 || 절제된 세리프를 사용하여 심플하며 간결한 느낌을 살렸다.[br]글줄을 상단에 두어 시선 이동에 안정적이다.[br]모던하고 편리한 실용면이 있는 폰트이다. || || 맵시B || 2002년 || 1종 || 직사각형 꼴의 구조로 제작된 맵시체는 초성의 적절한 크기로 조합되어 있으며[br]명조체의 느낌을 살린 맺음 부분 돌기와 곁줄기로 우아함을 느낄 수 있다. || || 먹물고딕 || 1998년 || 3종 || 기존 고딕에 초·중·종성의 맞닿는 연결 부분과 꺾임 부분에[br]먹지는 것을 표현하여 부드러운 블러 효과를 맛볼 수 있다.[br]딱딱함이 아닌 부드러움과 감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먹물명조 || 1998년 || 3종 || 먹물고딕체와 마찬가지로 명조꼴의 초·중·종성의 맞닿는[br]연결 부분과 꺾임 부분에 먹지는 것을 표현하여 부드러운 블러 효과를 맛볼 수 있다.[br]기존 명확성보다 좀 더 부드러운 느낌을 살려냈다. || || 명동 || 2000년 || 2종 || 고딕 스타일에 뭉글어진 아날로그적 시도와 불규칙한 겹침표현으로 감수성을 자극하며[br]낭만이 그려지는 폰트로 신촌체와 한 세트로 기획된 폰트이다. || || 물레방아 || 1999년 || 3종 || 직사각형의 탈네모꼴 형태의 서체로서 몸체가 날씬하여[br]한정된 공간에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br]적절한 곡선과 직선이 심플한 균형미를 느낄 수 있다. || || 미래 || 1999년 || 3종 || || || 밀레니엄 || 2000년 || 2종 || 시원하며 안정감이 느껴지는 구조로 간결한 세리프로[br]명조체와 고딕체의 이중적 느낌이 묻어나는 서체이다.[br]가로 획과 세로 획의 두께를 균형에 맞추어 작업하였다. || || 반달곰 || 2014년 || 1종 || 대표적으로 종성의 곡선을 살려 서체 전체에 부드러움을 나타내었다.[br]또한 초성의 개성있는 요소들을 통해 지루함을 탈피하여 차별화를 이끌어 냈으며[br]꽉 찬 모듈로 이루어져 주목성과 가독성을 높였다. || || 번개 || 1999년 || 1종 || 고딕 스타일의 직선적인 느낌의 세리프를 적용하였으며,[br]번개에 맞아 불탄 느낌의 질감을 표현하였다.[br]또한 민글자의 무게중심을 가운데 두어 안정감이 느껴진다. || || 베이비베어 || 2011년 || 1종 || 획의 굵기 차이로 활동적이며 역동적으로 느껴지며 세로 획의 굵기와[br]점선 포인트로 표현한 재미지면서 개성있는 폰트이다. || || 별난소년 || 1999년 || 3종 || 글자의 무게 중심을 중간에 두어 리듬감이 느껴지며[br]민글자와 받침 글자의 격차가 커서 활동적이며 발랄한 느낌을 살린 귀여운 폰트이다. || || 별빛 || 1996년 || 3종[* L, M, B] || 조각한 듯한 느낌을 살려 제작된 윗줄 맞춤의 서체이다.[br]단순한 디자인에 질감 표현을 함으로서 매력적이고 톡톡 튀는 느낌을 연출하였다. || || 본문고딕[* 윤디자인의 [[윤고딕]]과 비슷하다.] || 1996년 || 6종 ||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본문용 고딕은 총 6종의 굵기로 구성되어 있으며,[br]확장 한글과 한자가 지원된다.[br]가독성과 안정감 있는 균형과 조화를 중점으로 작업되었다. || || 본문명조[* 윤디자인의 [[윤명조]]와 비슷하다.] || 1996년 || 6종 || 글자의 무게중심을 상단에 두어 가독성을 높이었고 눈의 피로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br]총 6종의 굵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확장 한글과 한자가 지원되는 본문용 명조이다. || || 블랙 || 2014년 || 2종 || 자로 잰 듯이 박스꼴에 맞춰 제작된 네모꼴의 제목용 서체이다.[br]복잡한 글자에서 굵기 폭을 달리 조정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br]'ㅇ'을 꽉 찬 네모 틀에 가깝도록 디자인되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느껴진다. || || 비밀의정원 || 2011년 || 1종 || 마법에 걸린 공주를 구하기 위해 뛰어놀던 비밀의 정원 같은 느낌의 판타스틱한 폰트이다.[br]동화적이며 환상적인 느낌이 특징이다. || || 빅체 || 1996년 || 2종[* 빅체, 둥근빅체] || 글꼴의 네임처럼 크고 두껍게 제작된 제목용 서체이다.[br]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최대한 두껍게 표현하였으며[br]먹지는 부분은 읽힘에 어려움 없게 떨어지게 표현하였다. || || 산울림[* 윤디자인의 맹꽁이체와 비슷하다.] || 2002년 || 3종 || 가볍고 싱그러움이 느껴지는 손글씨 폰트로, 흘려 쓴 듯한 자연스러움을 표현하였다.[br]손글씨 서체임에도 글줄에서의 안정감과 편안함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 || 상처 || 1998년 || 1종 || 날카로운 것에 상처가 난 듯, 그리고 영문에서 피가 흐르는 듯[br]공포스러운 시각적인 느낌을 표현한 개성 있고 독특한 성격의 서체이다. || || 새김 || 2008년 || 1종 || 글줄이 상단에 배치된 탈네모꼴의 글꼴로 초성을 부각해 가독성이 중점을 두었으며,[br]상대적으로 복잡한 세리프에서도 규칙적이며 미적인 요소를 더한 효과를 주고 있는 폰트이다. || || 센스각고딕 || 2002년 || 2종[* L, M] || 윗줄 맞춤의 기본적인 세리프로 심플함을 살렸으며 받침 글자에서 중성의 길이를[br]길게 뻗침으로 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글줄에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 || || 센스고딕 || 2001년 || 2종[* L, M] || 탈 네모꼴 서체로 민글자의 크기를 받침 글자의 종성이 빠진 듯한 구조로 제작되어,[br]글줄의 무게 중심이 상단에 있음에도 가볍고 귀여운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 || || 센스명조 || 2001년 || 2종[* L, M] || 센스장식체의 명조꼴로 우아함과 여성미를 부각하는 방향으로 제작되었다.[br]받침글자에서 중성의 길이를 길게 뻗침으로 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글줄에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 || || 센스장식 || 2001년 || 2종[* L, M] || 윗줄 맞춤의 기본적인 세리프로 심플함을 살렸으며 받침 글자에서 중성의 길이를[br]길게 뻗침으로 미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글줄에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다. || || 소꼽친구[* 디지영이체와 비슷하다.] || 2008년 || 1종 || 맑은 하늘 아래 언덕 위에서 두 손 꼭 잡고 걸어가던 너와 나.[br]함께 소꿉놀이하며 영원히 함께 하자던 옛추억과[br]어린 아이의 순수한 마음을 살려 표현한 아기자기한 폰트이다. || || 소설 || 1999년 || 3종[* L, M, B] || 수동 타자기로 한 칸씩 오른쪽으로 따박따박 이동하며[br]소중한 추억을 써나가는 듯한 느낌을 살려 제작하였다.[br]복고적인 느낌이 드는 감성적인 폰트이다. || || 수정[* 윤디자인의 사파이어체와 비슷하다.] || 1996년 || 3종 || 깊은 동굴속에 수정처럼 날카롭고 반짝이는 느낌을 표현한 세리프로 사선으로 뻗는 것이 특징이다.[br]가로 획과 세로 획의 두께 차이를 많이 두어 수정 느낌의 날렵함을 더 살려냈다. || || 수채화 || 2021년 || 2종 || 속도감이 느껴지는 시원스러운 획과 필기구의 필압조절로 표현된 서체로[br]틀에 제약없이 자유롭게 표현한 어른스러운 느낌의 손글씨이다.[br]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글자의 적절한 배열배치와 글줄을 맞춰 제작하였다. || || 순명조 || 1996년 || 1종 || 명조체의 여성미의 부드러운 곡선을 최대 절제하고, 남성적인 직선을 사용하여[br]간결하며 강직한 느낌을 살린 중성적인 명조체이다. || || 숯불 || 1999년 || 1종 || 전체적으로 굵은 모듈로 중간 줄맞춤으로 리듬감이 느껴지는 이 서체는[br]일정한 두께의 숯에 불이 그을려 숯이 되어버린 느낌의 질감을 살렸다. || || 시골 || 1998년 || 3종[* L, M, B] || 손글씨 폰트로 자연스러움이 느껴지며,[br]ㅇ, ㅎ에서 동그라미가 연결된 것이 아닌 끊어서 표현한 특징을 갖고 있다. || || 신디나루 || 2002년 || 2종[* M, B] || 전통적인 굴림체 느낌에 세련미를 더해 리듬감과[br]동글동글 쿠키같은 귀여운 느낌이 묻어나는 글꼴이다.[br]가장 기본 모듈이 되는 서체로서 사용 용도가 다양하며 한자가 지원된다. || || 신문체 || 1996년 || 2종 || || || 신신명조[* 산돌 제비와 비슷하다.] || 1998년 || 3종[* L, M, B] || 명조체의 들쭉날쭉한 불필요한 요소들을 생략하였으며, 곡선으로 연결될 부분을[br]단순하게 처리함으로 간결하며 명확한 느낌을 살렸다. || || 신촌 || 2000년 || 2종[* L, B] || 비 내리는 신촌역 카페에서 달달한 코코아 한 잔 마시며[br]창에 흐르는 빗물을 보는 것만 같은 감성적인 느낌의 이 폰트는 명조형의 블러 서체이다.[br]초, 중, 종성의 겹침 표현으로 감수성을 살린 글꼴이다. || || 신헤드 || 1998년 || 1종 || 제목용 서체로 고딕 구조에 적절한 곡선이 가미되어 부드러운 느낌이 살아나며[br]직선의 간결함이 묻어나는 서체이다. 한자 지원 가능한 서체이다. || || 아시아고딕 || 1999년 || 4종 || || || 아시아명조 || 1999년 || 4종 || || || 아시아실록 || 2001년 || 1종 || 붓의 질감에 비백을 살려 고전적이고 옛스러움의 특징을 살려 만든 아시아실록체는[br]고서적, 고풍적 이미지로 옛선조들의 정신을 느껴보게 된다. || || 아이스께끼 || 2010년 || 1종 || 시원한 아이스크림처럼 큼직하게 초, 중성을 표현하였으며,[br]맛있는 점심을 먹고 가벼운 디저트로 아이스크림 한 입 베어 물었을 때의[br]행복함이 느껴지는 디자인 폰트이다. || || 어린이날 || 2014년 || 3종[* L, M, B] || 어린이날 서체는 귀엽고 아기자기한 폰트이면서,[br]글줄의 맞춤을 중앙 배열로 하여 가독성 또한 잘 살린 폰트이다.[br]민글자와 종성 있는 글자간의 크기 변화를 두어 경쾌하면서 신나는 느낌을 더했다. || || 엄마의편지[* 윤디자인의 러브레터체와 비슷하다.] || 2013년 || 3종 || 엄마의 손편지에서 따뜻한 엄마의 사랑이 느껴지는 감성적 폰트이다.[br]한 글자씩 또박또박 정성스럽게 적어 내려간 듯 정렬을 맞춰 제작하였으며,[br]부드러움과 섬세함을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 || 엑스포 || 1996년 || 3종 || 군더더기 없이 최대한 단순한 구조로 간결함을 살렸으며,[br]ㅇ꼴은 정 동그라미로 나타내어 세련미 없이 한층 더 높여 표현하였다. || || 여우비 || 2000년 || 1종 || 잉크의 뭉침과 번짐의 효과를 글자에 적용하여 자유스러우면서 독특한 느낌을 연출하였다.[br]뭉침과 번짐도 질서 안에 잘 배열하여 정돈된 느낌이 잘 살아난다. || || 열정 || 2002년 || 1종 || 뜨겁고 불안정한 열정이 느껴지는 듯하게 두께의 두꺼움과 얇음의[br]격차를 크게 두어 역동적이며 활동적인 느낌을 살려 개성적인 특징을 표현하였다. || || 예서체 || 1996년 || 2종 || || || 옛날목욕탕 || 2011년 || 3종 || 새마을 운동이 한창이던 과거 포스터에서나 보았음직한 복고풍의 디자인 서체이다.[br]꽉 찬 박스꼴에 촌스러운 듯한 느낌을 살려 구제의 참맛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 || 옛날이발관 || 2011년 || 2종 || 옛날목욕탕체의 느낌에서 좀 더 낡고 닳은듯한 구제 느낌을 강조한 서체이다.[br]삭막한 디지털 문명에서 인정 넘치며 옛향수가 느껴지는 정감 가는 글꼴을 표현했다. || || 옛추억 || 2001년 || 2종 || 수동 타자기로 쓰여진 타이본에 지워지고 뭉개진 효과를 살려 이미지화하여 제작하였다.[br]기본 모듈에서 위치 배열을 달리하여 좀 더 자유분방한 느낌이[br]느껴지게 만든 개성 있는 폰트이다. || || 유성 || 1998년 || 3종[* L, M, B] || 날렵하고 자유스러운 붓획의 터치감이 빠르게 사선으로 쓰여진 듯하게 표현하여[br]방향성과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서체이다. || || 유치원 || 1999년 || 3종[* L, M, B] || 들쑥날쑥 삐뚤빼뚤 자유스럽게 쓰여진 유치원체는[br]어린 아이가 정성들여 써 내려가는 순수한 느낌을 살린 폰트이다.[br]일정한 법칙 없이 자유롭고 재미난 것이 특징이다. || || 인사동 || 1999년 || 1종 || 나무 활자에서 오는 거친 느낌과 자연스러운 질감 표현을 살렸으며[br]획의 뻗침이 시원시원하며 정직스럽다.[br]옛스러움이 묻어나 정겨움이 느껴지는 폰트이다. || || 인장체 || 1998년 || 1종 || || 입술[* 윤디자인의 가을체와 비슷하다.] || 1998년 || 3종 || 자연스럽게 써내려가는 느낌의 손글씨 서체로서 두께의 자유스러움이 느껴지며,[br]획의 연결 부분이나 맺음 부분에서 흘리는 효과를 주어 질감 표현을 살려 만들었다. || || 자막체 || 2008년 || 1종 || 영화 볼 때 자막으로 쓰여지는 글꼴로 딱딱하지 않게 부드러우며 손으로 쓴 듯한 느낌의 폰트이다.[br]민글자와 받침글자의 크기 격차가 작아 가독성이 좋으며 시원스럽게 표현되었다. || || 장미다방 || 2013년 || 1종 || 옛스러움과 여성미로 지난 세월을 느낄 수 있는 복고미를 절묘하게 조합하여[br]너무 옛스럽지도, 현대적이지도 않은 복고풍 폰트이다.[br]획의 각도와 곡선의 표현으로 자연스러운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제목용 서체이다. || || 저녁노을 || 1999년 || 3종[* L, M, B] || 두꺼운 붓펜으로 쓴 듯한 느낌으로 블러 효과를 살려낸 것이 자연스럽고[br]부드러움이 묻어나는 것이 이 서체의 특징이다. || || 정헤드 || 1996년 || 3종[* L, M, B] || 가독성을 최우선적으로 높이는 설계와 세련됨이 돋보이도록 디자인되었다.[br]자소 크기의 균형과 두께의 조화를 이루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서체이다. || || 조합고딕 ||<|2> 1998년 ||<|2> 3종[* L, M, B] || 각진 세리프로 개성을 가미한 조합고딕체는[br]명조체와 고딕체의 중간의 느낌이 나타나는 중성적인 퓨전 폰트이다.[br]글자 중심을 윗줄에 맞춰 읽어 나갈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 || 조합명조 || 조합 모듈의 공식에 맞춰 작업한 서체이다.[br]민글자에 맞춰 글자중심을 윗선에 맞춤으로[br]편안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며 기존 명조체보다 경쾌한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 || 줄리엣 || 2000년 || 3종[* L, M, B] || 몸체가 날씬하게 직사각형꼴의 글꼴로 한정된 공간에[br]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글꼴이다.[br]"ㅇ" 부분에 뾰적하게 처리하여 세련미를 한 층 극대화시켰다. || || 중봉체 || 1998년 || 1종 || 한자가 지원 가능한 서체로 자연스럽고 힘있게 써내려간[br]손글씨 폰트로 획의 두께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 || 컴퓨터 || 1999년 || 3종[* A, B, C가 있는데 디자인이 각각 다르다.] || 획의 두께와 모양을 달리 줌으로써 기계적이며 회로판 느낌을 살렸다.[br]기하학적인 느낌이 묻어나며 자칫 산만할 수 있는 폰트를 획일적으로 정돈한 폰트이다. || || 키즈 || 2014년 || 1종 || 처음 시작이 두껍고, 갈수록 얇아짐을 표현하여 부드러움과 자연스러움을 표현했다.[br]전체적으로 둥근 곡선이 귀엽고 아기자기한 멋이 있으며,[br]글줄을 상단에 배열시킴으로써, 산만함을 줄이고 가독성을 살렸다. || || 타자 || 1996년 || 3종[* L, M, B] || 수동 타자기로 쓰여진 타이본을 이미지화하여 제작하였다.[br]거친 질감을 부드럽게 다듬어 깔끔함이 돋보인다. || || 펜글씨 || 1998년 || 2종[* L, B] || 공책에 또박또박 반듯하게 써내려간 정렬된 폰트이다.[br]또한 감성적인 필체로 아날로그적 손맛을 느낄 수 있으며 친근한 정서를 느낄 수 있다.[br]펜글씨체는 한자가 지원 가능하다. || || 편봉체 || 1998년 || 1종 || 첫 글자가 쓰여질 때 펜의 잉크가 과다하게 나와 번지는 느낌을 살려 작업된 손글씨 서체이다.[br]날렵하고 획의 흘림이 있어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 || || 포인트 || 1999년 || 3종 || 모직면에 점이 인쇄된 듯한 느낌의 질감을 표현한 서체로서[br]먹짐과 번짐, 그리고 흐릿한 부분을 조화롭게 잘 살려냈다.[br]가독성보다는 디자인적인 면에 충실한 폰트라 할 수 있다. || || 포트폴리오 || 2002년[* M, B는 2002년에 나왔고 L은 2003년에 나왔다.] || 3종[* L, M, B] || 글줄의 무게 중심을 상단에 두어 시선의 이동, 글줄의 흐름을 편안하게 정렬 구성하였다.[br]기본 고딕 모듈로 주목성과 판독성이 향상되어 심플하며 현대적인 고딕 스타일을 느낄 수 있다. || || 하늘 || 1998년 || 3종[* L, M, B] || || 하얀민들레 || 2003년 || 2종[* L, M] || 기존 명조의 이미지를 자유스러운 모듈을 적용하여 디자인되었다.[br]초성과 중성, 종성의 크기와 모양, 위치와 굵기에 변화를 주어[br]구성과 느낌이 색다름을 느낄 수 있는 감성적 폰트이다. || || 한글나라A ||<|2> 2003년 ||<|2> 3종[* L, M, B] || 한자가 지원되는 한글나라 서체는 기본 모듈에 간결하고 모던한 세리프로 고전미와 우아함,[br]부드러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폰트로 탈 네모꼴의 한글나라B와 함께 기획된 폰트이다. || || 한글나라B || 탈 네모꼴의 형태로 무게 중심을 상단에 두어 글줄의 가독성을 염두에 두었으며,[br]중성 획의 맺음 부분을 곡선으로 처리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돋보이도록 제작된 서체이다. || || 한글사랑 || 2001년 || 3종[* L, M, B] || 심플하고 세련된 세리프로 제작된 한글사랑은 직사각형꼴로[br]글자 폭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br]글자에 무게중심을 상단에 두어 가독성을 최우선을 두었습니다. || || 한글세상 || 2002년[* M, B는 2002년에 나왔고 L은 2003년에 나왔다.] || 3종[* L, M, B] || 간결하며 심플함이 느껴지는 이 서체는 남성의 강직함과[br]여성의 부드러움이 동시에 느껴지게 연출하였다.[br]글줄의 무게중심을 상단에 두어 시선이동이 편안하며 가독성이 우수하다. || || 해탈 || 2000년 || 1종 || 붓의 터치감에 아무런 제한 없이 제작된 서체 같아 보이지만[br]그 안에 발상의 전환을 통해 창작과 해탈의 의지가 보이는 서체이다.[br]무질서속의 감성이라 볼 수 있다. || || 햇빛 || 1996년 || 3종[* L, M, B] || 압축된 듯 안쪽으로 몰려 곡선이 표현된 특징을 갖고 있는 독특한 형태의 개성있는 서체이다.[br]들쑥날쑥한 모양에 재미나고 장난스러움을 느낄 수 있다. || || 행서체 || 1998년 || 1종 || || 향수 || 1999년 || 3종[* L, M, B] || 명조 구조에 먹이 지는 것과 사라지는 부분을 적절하게 작업하여 시간의 흐름이 느껴지며[br]아련한 추억을 느껴지게 표현한 감성이 풍부한 서체이다. || || 허상고딕 || 1998년 || 3종[* L, M, B] || 고딕 구조에 지워지고 뭉글어진 아날로그적 감성을 부각한 질감 표현을 하여[br]고딕체의 딱딱함에서 벗어나 감성적인 느낌을 살린 쓰임새가 다양한 폰트이다. || || 허상명조 || 1998년 || 3종[* L, M, B] || 명조 구조에 지워지고 뭉글어진 아날로그적 감성을 부각한 질감 표현을 하여[br]단조로운 느낌을 탈피하여 독특한 매력을 살려냈다. || || 환상 || 2002년 || 1종 || 감성을 자극하는 폰트로 획의 번짐효과를 줌으로써 오묘하며 환상적인 느낌을 연출하였으며,[br]특히 "ㅇ, ㅎ"에 잉크의 번짐상태를 최대한 부각하여 표현하였다. || || 환희[* 윤디자인의 가시나무체와 비슷하다.] || 1996년 || 3종[* L, M, B] || 고딕 구조에 서로 대칭되는 세리프의 장식적인 느낌을 강조하여 표현하였다.[br]통일된 세리프의 모양의 표현으로 규칙적이고 질서정연함을 보여준다. || || 희망[* 윤디자인의 소망체와 비슷하다.] || 1996년 || 3종[* L, M, B] || 직선의 구조에 부드러운 세리프를 주어 시각적인 단순함과 부드러운 성격을 표현하고 있다.[br]익숙한 디자인에 친근감과 안정감이 곁들어 있다. || === 2010년 === * a아잉조아 (1종) * a별처럼 (1종) * a비밀일기 (1종) * a별나라왕자 (1종) * a치즈푸딩 (1종) * a큐티허니 (1종) * a대박이야 (1종) * a동물농장 (1종) * a달려깜둥 (1종) * a으라차차 (1종) * a곰발바닥 (1종) * a지지배배 (1종) * a개구락지 (1종) * a공주를부탁해 (1종) * a깜짝이야 (1종) * a개미야 (1종) * a고래야놀자 (1종) * a고사리 (1종) * a귀여운커플 (1종) * a하하하하 (1종) * a하늘바람 (1종) * a하늘땅별땅 (1종) * a하늘이좋아 (1종) * a휘리릭퐁 (1종) * a꿀벌여행 (1종) * a꽃돼지 (1종) * a꼬마천사 (1종) * a꼬마물고기 (1종) * a커플반지 (1종) * a모닝뽀뽀 (1종) * a니캉내캉 (1종) * a낭만고양이 (1종) * a네모의꿈 (1종)[* 휴먼새내기체와 비슷하지만 방향이 기울어져 있다.] * a뻥이뿡이 (1종) * a삐리삐리 (1종) * a파란사과 (1종) * a러브트리 (1종) * a샤방샤방 (1종) * a수정만화 (1종) * a새콤달콤 (1종) * a서커스유랑단 (1종) * a소녀캔디 (1종) * a소녀와뭉치 (1종) * a사랑의바보 (1종) * a예감좋은날 (1종) * a샤샤 (1종) * a스타일리쉬 (1종) * a똥덩어리 (1종) * a우리끼리 (1종) * a똥머리소녀 (1종) * a구름자전거 (1종) * a흑백사진 (1종) * a꼭지체리 (1종) * a띠용 (1종) * a꼬마병정 (1종) === 2016년 (16개) === * a산들바람 (1종) * a뉴굴림 (4종) * a스피드 (1종) * a진지궁서 (1종) * a큐브 (2종) * a연애소설 (1종) * a바른생각 (1종) * a태평천하 (1종) * a심포니 (1종) * a달빛바다 (1종) * a하얀구름 (1종) * a우주소년 (1종) * a내손글씨 (3종) * a치어리더 (1종) * a찐빵 (2종) * a타임머신 (1종) == 예전에 있었던 폰트 == * Asia노래 (2종)[* 모리스디자인의 가을체, (한)백합체와 비슷하다.] * Asia둘기체 (1종)[* 모리스디자인의 느낌체, (한)삼각헤드와 비슷하다.] * Asia리듬체 (1종)[* 휴먼매직체, (한)챠트체와 비슷하지만, 영어가 다르다.] * Asia문화체 (1종)[* (한)문화방송체와 비슷하다.] * Asia바탕B (1종)[* (한)헤드라인체와 비슷하다.] * Asia반포체 (1종)[* 휴먼옛체, (한)목화체와 비슷하다.] * Asia붓체 (1종)[* (한)신궁체C, (환)고바우체, (환)고인돌체와 비슷하다.] * Asia붓흘림 (1종)[* (한)신궁체B, (환)신옛골체와 비슷하다.] * Asia비상B (1종)[* (환)아름체와 비슷하다.] * Asia수중B (1종) * Asia아트1 (1종) * Asia엽서 (3종)[* 태-으뜸체, (한)낙서체와 비슷하다.] * Asia용비어천가 (1종)[* (한)초롱체B와 비슷하다.] * Asia유희B (1종)[* (환)갈잎체와 비슷하다.] * Asia조합 (3종)[* 휴먼굵은샘체, 휴먼굵은팸체와 비슷하지만, 영어, 숫자가 다르다.] * Asia표구체 (1종)[* 모리스디자인의 솔체, (한)표구체와 비슷하다.] * Asia표적B (1종) * Asia훈민정음 (2종)[* (한)훈민정음체와 비슷하다.] * Asia흘림 (2종)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시아소프트, version=13)] [[분류:한글 글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