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압하지야 대통령)] ||<-2> '''{{{#fff 압하지야 공화국 제5대 대통령[br]{{{+1 아슬란 브자니야}}}[br]Аслан Бжания | Aslan Bzhaniy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Аслан_Гьаргь-иԥа_Бжьаниа.jpg|width=100%]]}}} || || '''본명''' ||아슬란 갸르기이파 브자니아[* 압하스어 이름으로, 러시아어 이름은 '아슬란 게오르기예비치 브자니야(Аслан Георгиевич Бжания)'.][br]Аслан Гьаргь-иԥа Бжьаниа[br]Aslan Gʹargʹ-iṕa Bžʹania || ||<|2> '''출생''' ||[[1963년]] [[4월 6일]] ([age(1964-04-06)]세) || ||[[소련]] [[그루지야 SSR]] [[압하스 ASSR]] 타미시 || ||<|4> '''재임기간''' ||국가보안국장 || ||[[2010년]] [[2월 23일]] ~ [[2014년]] [[9월 29일]] || ||제5대 대통령 || ||[[2020년]] [[4월 23일]] ~ [[현직]]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게오르기 브자니야[br]어머니 베네라 브자니야 || || '''배우자''' ||아엘리타 브자니야[* 혼전성은 아히바(Ахиба).] || || '''자녀''' ||딸 아엘리나 브자니야[br]아들 막심 브자니야 || || '''학력''' ||프룬제 공과대학교 {{{-2 (토목공학)}}}[br]모스크바 자동차-도로대학교[br]대통령실 산하 러시아경제행정아카데미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선수''' ||'''초선''' || || '''의원대수''' ||'''6대'''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슬란 브자니아는 [[압하지야]]의 정치인으로, 제5대 압하지야 대통령이다. == 생애 == 1963년 4월 6일 [[그루지야 SSR]]의 자치공화국인 [[압하스 ASSR]] 타미시(Тамыш)에서 태어났다. 1980년 타미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프룬제 공과대학교(Фрунзен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에 토목공학 전공으로 입학했다. 1982년 모스크바 자동차-도로대학교(МАДИ)에 편입하고 1985년 졸업했다. 1985년부터 1년간 [[스몰렌스크주]]의 토목회사에서 일했다.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콤소몰]] 오참치라 지부 부위원장으로 재직했다. 1991년 소련 [[KGB]] 고등 과정을 수료했고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압하지야 KGB에서 일했다. [[압하지야 전쟁]] 중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구다우타(Гудаута)에서 국가보안국(СГБ) 소속으로 일했다. 1999년 대통령실 산하 러시아경제행정아카데미(РАНХиГС)를 졸업하고 1999년 12월까지 국가보안국에서 일한 뒤 퇴직했다. 이후 [[모스크바]], [[소치]], [[수후미]]를 돌아다니며 부동산, 차량 사업을 했다. 2009년 1월에는 주러시아 압하지야 대사관의 경제 고문으로 일했다. 2010년 2월 24일, 세르게이 바갑시(Сергей Багапш) 대통령에 의해 압하지야 국가보안국 국장으로 임명되었다. 2014년 5월 28일, [[라울 하짐바]](Рауль Хаджимба) 주도 반정부 시위에서 외무장관 미랍 키슈마리아(Мираб Кишмария), 내무장관 오타르 헤치야(Отар Хеция)와 함께 시위를 규탄하고 현직 대통령 [[알렉산드르 안크바프]](Александр Анкваб)을 지지하는 성명을 냈다. [[https://web.archive.org/web/20140713052103/http://apsnypress.info/news/12050.html|@]] 안크밥 대통령의 사퇴로 치러진 [[2014년 압하지야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승인할 것이라 밝히고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정부, 의회 대표단과 만나는 등 [[친러]] 성향을 어필했으나 36,000표(35.91%)를 득표하면서 강경 친러파 후보 하짐바에 밀려 2위로 낙선했다. 선거 이후 하짐바 대통령에 의해 국가보안국 국장 직을 비롯한 모든 공직에서 해임되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압하지야]] 야권의 지도자로 일했고 압하지야와 러시아를 넘나들며 기존에 했던 부동산 사업을 이어나갔다. [[2017년 압하지야 인민의회 선거]]에서 인민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20년까지 의원직을 역임했다. 2019년 4월 17일, 건강이 급격히 악화돼 [[소치]]로 이송되었다. 4월 18일 원인 규명을 위해 [[모스크바]]로 이송되었고 중태에 빠졌다. 4월 21일, 경호원 두 명도 같은 증상으로 입원했다. 5월 17일, [[독일]] [[뮌헨]]에서 실시된 혈액 검사 결과 수은, 알루미늄, 카드뮴 등 중금속에 중독된 것, 즉 '''[[독살]] 시도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eadaily.com/ru/news/2019/05/17/bzhaniya-otravlen-vybory-prezidenta-abhazii-prosyat-perenesti-na-osen|#]] 6월 6일, [[베를린]]으로 이송돼 재활 치료를 받았다. 치료 후에도 상당한 기간동안 호흡기 문제로 의사소통과 이동이 불가능했다. 2020년 1월, 완전히 회복되고 하짐바 퇴진을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일으켰다. 법원이 [[2019년 압하지야 대통령 선거]]를 무효화한 후 하짐바가 사퇴한 뒤 치러진 [[2020년 압하지야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선거 과정에서 [[친러]]이되 압하지야의 주권은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하짐바처럼 러시아의 원조에 의존하지 말고 모든 분야에서의 개혁을 통해 기업과 농업을 진흥하고 예산과 회계를 엄격히 통제하겠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부패를 완전히 척결하고 의료와 교육을 강화하며 자급자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발표했다. 선거 결과 53,741표(56,50%)를 득표하면서 당선되었다. 당선 후 공약대로 알렉산드르 안크바프 전 대통령을 총리로 임명했다. 당선 후 러시아 시민의 압하지야 [[부동산]] 취득을 제한했다. 또한 과거 근무했던 보안국에 대해서도 내무부와 통합해 새로운 사법 기관을 만들고 부패 방지를 위해 자체적인 보안 부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조지아]], [[아르메니아]], [[이란]]을 잇는 철도를 압하지야 영내에서도 운행하는 것을 제안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 [[분류:압하지야 대통령]][[분류:1963년 출생]][[분류:타미시 출신 인물]][[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