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기화합물/카복실산)] [[파일:aspartic acid.png|bgcolor=#fff]] Aspartic Acid (Asp, D) ''Asparaginsäure'' [[아미노산]]의 하나.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아스파트산이 표준어이지만, 아스파르트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영양학 쪽에서는 주로 아스파라진산 또는 아스파라긴산이라고 부른다.[* 독일어-일본어 명칭] 여타의 아미노산과 같이 L형과 D형이 존재하며 성질이 약간 다르다. L-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 합성 및 암모니아 해독에 사용되지만, D-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지 않고 호르몬을 만들고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 [[옥시토신]], [[성장호르몬]], [[프로락틴]], 황체 형성 호르몬(LH) 등이 있다.] 아스파트르산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에 쓰이는데, [[α-케토글루타르산]]/[[글루탐산]]의 관계와 같이 transamination을 통해 [[옥살로아세트산]]과 짝지어지는 반응이 많다.[* 따라서 실제 생체 내부에서 아스파르트산의 대사과정은 TCA회로의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직접 들어가는 과정을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세포질의 [[해당과정]]에서 발생한 NADH를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전달하는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이 있다. [[콩나물]]이 대표적인 함유 식품이며 특유의 [[시원하다|시원한]] 맛을 낸다. 숙취 해소에 좋다는 이야기가 퍼져있으나 콩나물에는 아스파라진산이 완전 건조 상태로 88.2mg/100g 정도 함유되어 있을 뿐이다. 콩나물의 대부분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감안한다면 한끼 식사로 콩나물만 왕창 먹는다 쳐도 실제 먹는 아스파라진산은 얼마 되지 않는다.[*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키토산 처리 콩나물의 당과 아미노산 함량 2003년 논문] 오히려 콩나물보다 단백질 함유량이 높은 [[콩]]이나 육류에 아스파라진산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우리가 먹는 식품엔 매우 흔한 아미노산 중 하나라는 것이다. 아스파라거스에는 콩나물의 50배에 해당하는 아스파라긴산이 있어서 숙취해소 효과는 더 크다.[* http://www.f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76] 하지만, 상대적으로 함량이 적다고 해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콩나물국이 도움이 안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http://realfoods.co.kr/view.php?ud=20191213000080] 또한 아스파라진산은 숙취해소 보다는 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성분이다. 아스파라진산은 알콜 독성에 대한 간 보호작용이 없으며 오히려 [[아르기닌]](C,,6,,H,,14,,N,,4,,O,,2,,)이 효과가 있다. [[콩나물]]에는 아르기닌도 들어있기 때문에 [[콩나물]]이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모과 추출물의 보호효과 2006년 논문] 자연계에도 존재하는 [[MSG]]에 대해 위험성이 높은 것마냥 보도하는 [[언론]]에 의해 좋지 않은 선입견이 뿌리박힌 것과는 반대로 콩나물의 아스파라진산에 대한 잘못된 보도가 판을 치고 있다. [include(틀:유전 부호)] [각주] [[분류:구성 아미노산]][[분류:신경전달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