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アスタモン''' ''ASTAMON'' [[파일:Astamon.jpg]] [[파일:external/wikimon.net/250px-Djt-3-062_front.jpg]] [[디지몬 시리즈]]의 등장 [[디지몬]]. == 상세 정보 == * 세대: [[완전체(디지몬 시리즈)|완전체]] * 종족: [[디지몬/타입#마인형|마인형]] * 속성: 바이러스 * 필드: 다크 에어리어, 나이트메어 솔져스 * 무장 * 오로 살몬 (머신건) * 필살기 * [[헬파이어]]: 오로 살몬으로부터의 전탄 소사 * [[매버릭]]: 자신의 암흑의 힘을 모아 날리는 [[하이킥]] [[완전체(디지몬 시리즈)|완전체]]이면서 '''[[궁극체]]를 능가하는 힘'''을 가지고 악마 디지몬 군단을 다스리는 다크 에리어의 귀공자이다. 적에 대한 잔학성과 아군에 대한 자애를 가지고있어 그 카리스마로부터 따르는 악마 디지몬은 상당수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자랑의 머신건 "오로 살몬"[* 스페인어로 oro salmón = 금색의 연어. 총의 제작자는 [[올림푸스 12신(디지몬 시리즈)|올림푸스 12신]]의 [[불카누스몬]]으로 [[http://web.archive.org/web/20100201151914/http://digimon.net/cat-digimon-dictionary/01-a/astamon/index.html|과거 도감]]에서 언급하고 있었지만 사이트가 몇차례 개편되는 과정에서 어느샌가 언급이 삭제되었다.]에서 나오는 총알은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확실히 "지옥의 끝"까지 적을 추적한다. == 작중 묘사 == === [[디지몬 크로스워즈]] [[시간을 달리는 소년 헌터들]] === [include(틀:디지몬 크로스워즈/디지크로스)] 성우는 [[사쿠라이 타카히로]][* 어드벤처에서 [[텐타몬]], 전작 크로스워즈에선 [[도루루몬]]을 맡았다.]/[[이현(성우)|이현]]. 라이벌 팀 중 하나인 [[모가미 료우마]]의 파트너 [[사이케몬]]이 진화하는 디지몬으로 나온다. 진화씬이 마치 거대로봇의 합체 장면을 연상시킨다. 료우마의 파트너 아스타몬은 공식 일러스트와 색상이 일부 달라 아종이라 여기는 견해도 있지만, [[넵튠몬|공식 디자인과 애니]] [[크레니엄몬|디자인이 다른 경우]]에도 아종이라 부르지 않는 경우가 수두룩하므로 아종이 아닌 쪽이 더 타당할 듯 싶다. 하지만 실은 진짜 아스타몬이 아니고 [[쿼츠몬]]의 본체가 의태한 것이었다.[* 참고로 3부 23화(77화)에서 [[나우진|타기루]]와 [[최지석|료우마]]가 각각 [[아레스타드라몬]]과 아스타몬을 더블 크로스 시켰다. 즉, 아레스타드라몬은 쿼츠몬과 디지크로스한 셈이다.] 진짜 아스타몬은 쿼츠몬에게 흡수당하고 그 껍데기만 이용된 듯하다. 본색을 드러낼 때 가면을 까뒤집었는데 그 모습이 상당히 흉악하다. 진짜 아스타몬의 가면 속 내용물도 그 모양인지는 불명. == 기타 == 초 완전체 수준의 완전체(...) 중 하나.[* [[에어로브이드라몬]], [[루체몬 폴다운 모드]], [[홀리엔젤몬]], [[그레이드몬]], [[치린몬]], [[세이버헉몬]], [[레굴루스몬]]] 루체몬 FDM 등과 더불어 '''가장 강한 완전체'''를 꼽을 때 반드시 거론되는 디지몬.[* 사실 루체몬 FDM과의 우열도 아직까진 정확히는 모른다는 게 맞다. 둘 다 궁극체를 능가하는 힘을 갖고 있다고 하며, [[루체몬 폴다운 모드]]가 [[7대 마왕]] 최강이었던 건 아스타몬이 나오기 한참 이전의 이야기이니.][* 다만, 아스타몬의 진화체로 취급받는 [[벨페몬]]이 루체몬 FDM이 속한 [[7대 마왕]]의 일원이고, 루체몬 FDM은 무려 성장기 시절부터 궁극체들을 쌈싸먹는 전투력을 지닌데다가 '''7대 마왕 최강'''이란 수식어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론 루체몬 FDM이 아스타몬보다 강할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솔로몬의 72 악마]] 중 하나인 [[아스타로트]]인듯 하다. [[디지몬 TCG]]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대개 [[벨페몬]]의 완전체로 취급되는 듯 하다. == [[디지몬 TCG]] == [[파일:external/lh3.googleusercontent.com/bo1145.jpg|width=300]] "바이러스 종 완전체는 강하다" 법칙의 증명자중 하나. [[파티클 웜 No.2]]를 진화조건으로 사용하는 특이한 진화조건을 갖추었으며, "진화조건을 무시할 수 없다"를 지닌 완전체이기 때문에 '''[[바다보다 깊은 충성심]]'''[* 2턴동안 "진화조건을 무시할 수 없다"가 붙은 완전체에게 '''상대는 특수능력을 사용할 수 없다(특수능력 아님)'''을 부여한다. 이 카드가 제일 골때린건 발동 타이밍이 진화단계라서 배틀단계에 발동하는 카드로는 '''막을 수 없다는 것'''. 저 조건을 만족하는 완전체가 강력한 카드가 많고, 그야말로 미친 시너지를 보여준다. 플레이어들 간에는 이 카드가 없었다면 마타돌몬이 그 정도로 개사기는 아니었을거라는 것이 중론.]을 사용할 수 있다. 거기에 블루프레임 디지몬 중에 드문 능력인 파티클 웜 no.2 내성을 갖고 있다. 공격력도 설정 고증인지 꽤 높은 편이다. 효과는 "배틀 단계 중 '''상대의 패를 1~3장 내용을 보지 않고 어둠의 땅으로 보낸다'''"라는 효과. 디지몬 tcg에서 몇 안되는 패털이 능력을 가진 디지몬. 그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효과다. 대체로 배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조 디지몬이 패에서 발동하기 때문에 잘만 쓰면 상대 보조 디지몬을 엿먹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공격력도 높은데다가 선택받은 --어둠--바이러스 종이라 [[이블몬]]의 보조능력[* 바이러스종 보조시 '''조건없이''' 공격력 +450.]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그 대가로 로스트 포인트가 40통일이다. 한 번 지면 상당히 뼈아픈 타격을 입는다. --그전에 죽이면 돼.-- 다만 저 강력함에도 메타권에 들지 못하는건 역시 진화루트의 단조로움이 크다. (파티클 웜 No.2를 사용하건, 승리율을 사용하건 두가지 방법이 모두 포큐파몬에서 진화)진화조건을 무시를 못하는데 한가지 디지몬에서만 진화가 가능하다는건 역시 뼈아픈 단점. --말하자면 저 높은 곳에 있는 것들을 한번 툭 칠 정도는 되지만, 그 위로 치고올라가지는 못하는 서러운 인생-- [[분류:디지몬/바이러스]][[분류:디지몬/완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