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에리트레아의 수도 아스마라에 대해 다룹니다. 에버플래닛에 등장하는 행성, rd1=아스마라(에버플래닛))] [include(틀:아프리카의 수도)] [include(틀:에리트레아의 세계유산)] [include(틀:에리트레아 관련 문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smara2.jpg|width=100%]]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smara%2C_beirut_street.jpg|width=100%]] || || 베이루트 거리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smara%2C_cinema_impero%2C_07.jpg|width=100%]] || || 이탈리아 통치기의 건물 중 하나인 "제국극장" || Asmara [[티그리냐어]]: ኣስመራ, Asmera ||<-3><#000><:>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3><:>이름 || 한국어 || 아스마라: 아프리카의 모더니스트 도시 || || 영어 || Asmara: A Modernist African City || || 프랑스어 || Asmara : une ville africaine moderniste || ||<-2> 국가·위치 ||<-2> [[에리트레아]] 중앙 주 || ||<-2> 등재유형 ||<-2> [[세계유산#s-2.1|문화유산]] || ||<-2> 등재연도 ||<-2> [[2017년]] || ||<-2> 등재기준 ||<-2>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2> 지정번호 ||<-2> [[https://whc.unesco.org/en/list/1550|1550]]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리트레아]]의 [[수도(행정구역)|수도]]이자 [[최대도시]]. [[이웃나라]]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2,355m)처럼 2,325m [[고원]]에 위치한 [[도시]]이다. 일 평균기온 13.2도(12월)~17.6도(5,6월)로 전형적인 [[고산기후]]를 나타낸다. 연간강수량은 518.6mm로 생각보다 낮은 편은 아니다. [[인구]]는 2015년 기준 약 80만명이다. == 역사 == || [[파일:에리트레아_이탈리아_통치_이전_모습.jpg|width=100%]] || || 이탈리아 통치 이전의 아스마라. 허름한 움막들밖에 없다. || [[1889년]] [[이탈리아 왕국]]이 에리트레아를 점령하였고, [[항구도시]] 마사와를 대신할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의 수도로서 [[1897년]] 마르티니 [[총독]]에 의해 건설되었다. [[20세기]] 초반 들어 해안으로 이어지는 철도가 건설되었다. [[1930년대]]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즘 치하에서 아스마라에는 새로운 건축물들이 잇따라 들어서 '''작은 로마'''(Piccola Roma, ፒኮላ ሮማ)라 불리었다. 이 때 건축된 이탈리아 [[모더니즘]] 양식 건물들은 아직도 잘 보존되어 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39년]] 당시 98,000명의 인구 중 [[이탈리아인]]이 53,000명을 차지하여 이탈리아인의 도시로 여겨졌는데, 당시 에리트레아 거주 이탈리아인은 75,000명에 불과했다. 그 시절 지어진 건축 중에 [[https://en.wikipedia.org/wiki/Cicero_Stadium|키케로 경기장]]도 있는데, 그 [[키케로]]가 아니라 사업가 프란체스코 키케로의 이름을 딴 것이다. || [[파일:1930년_아스마라.jpg|width=100%]] || || 1930년의 아스마라 모습.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b/Mappa_di_Asmara_TCI_1929.jpg/800px-Mappa_di_Asmara_TCI_1929.jpg|1929년 아스마라 지도]] 이탈리아가 패전하면서 [[1952년]] [[국제연합]]은 에리트레아를 [[에티오피아 제국]]에 넘겨, 에티오피아와의 [[연방제]]가 이루어진다. 에티오피아 치하에서 아스마라는 일개 지방도시로 전락했고, 티그리냐어 대신 [[암하라어]]가 [[공용어]]가 된다. 에티오피아 제국이 [[미국]]의 [[우방국]]이어서 [[1943년]]부터 [[1977년]]까지 [[미군]]이 주둔하기도 했었다. 더욱이 [[1961년]]에는 자치가 폐지되고 에티오피아 직할로 들어가게 되어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이 일어난다. 독립전쟁은 30년간 계속되었지만 다행히 피해는 그리 많이 입지 않았다.[[1993년]] [[전쟁]]이 끝나고 에리트레아가 독립하며 수도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에티오피아가 시장경제로 전환한 이후 계속 발전하여 과거의 흔적을 보기 힘든 반면, 이곳은 [[멩기스투]] [[사회주의]] 정권 당시와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평양]], [[아시가바트]]와 같이 독재정권 특유의 과시적 건축물이 없는 것을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2020년]] 티그라이에서 일어난 [[2020년 에티오피아 내전|내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티그라이 반군이 쏜 미사일로 인해 아스마라도 건물이 일부 파손되는 일이 발생했다.[* 아스마라는 에티오피아 북부의 [[티그라이]]와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 == 주민 == [[종교]]는 [[오리엔트 정교회|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60%, [[가톨릭]] 21%, [[수니파]] [[이슬람]] 19%이다. 아스마라 근교 고원지대 [[읍]]과 [[마을]]들은 [[기독교인]] 비중이 높으나, 저지대로 내려가면 [[무슬림]]이 거주하는 읍과 마을들도 보인다. [[분류:아프리카의 수도]][[분류:에리트레아의 세계유산]][[분류:세계유산을 보유한 수도]][[분류:에리트레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