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1리그)] ||<-2> [[파일:아비스파 후쿠오카 엠블럼.svg|height=270]] || ||<-2><#0b2355> '''{{{#fff {{{+1 아비스파 후쿠오카}}}}}}''' || ||<-2><#0092ae> '''{{{#0b2355 {{{+1 Avispa Fukuoka}}}}}}''' || || '''정식 명칭''' ||アビスパ福岡 || || '''라이센스''' ||J1 || ||<|2> '''창단''' ||[[1982년|{{{#000,#ddd 1982년}}}]][* 전신인 주오 방범 축구부의 창단연도] || ||[[1994년|{{{#000,#ddd 1994년}}}]] [[9월 29일|{{{#000,#ddd 9월 29일}}}]] '''^^([age(1994-09-29)]주년)^^'''[* [[https://www.avispa.co.jp/club-info/company_info|#]]][*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설립일] || || '''구단 형태''' ||[[시민구단]] || || '''소속 리그''' ||[[J1리그|[[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width=70]]]] || || '''연고지''' ||[[후쿠오카#s-1]] 현 [[후쿠오카#s-2]] 시 || || '''홈구장'''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22,563명 수용) || || '''구단주''' ||카와무라 케이시 (川森敬史) || || '''감독''' ||하세베 시게토시 (長谷部茂利) || || '''키트 스폰서''' ||[[요넥스]] || || '''공식 웹사이트''' ||[[http://www.avispa.co.jp/|[[파일:아비스파 후쿠오카 엠블럼.svg|height=25]]]] | [[https://www.facebook.com/avispaf|[[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vispaF, 크기=20px)] | [[https://www.instagram.com/avispaf/|[[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 [[https://line.me/ti/p/%40avispaf|[[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0]]]] || ||<-2><#0092ae> '''{{{#fff 우승 기록}}}''' || || '''[[재팬 풋볼 리그|{{{#fff JFL}}}]]'''[br](2회) ||1992[* 디비전 1 우승.], 1995 || || '''[[J리그컵|{{{#fff J리그컵}}}]]'''[br](1회)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uni_set2018.jpg]] 2018시즌부터 새로운 킷 스폰서 [[요넥스]]와 함께한다. [[후쿠오카]]시를 연고로 하는 일본 [[J1리그]] 소속 축구단. 팀 이름의 아비스파는 스페인어로 [[말벌]]을 뜻하며[* 묘하게도 팀 색상 마저도 [[샬럿 호네츠|이 팀]]과 똑같다.], 말벌의 빠른 움직임과 유기적인 팀워크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또 전설적인 권투 선수 [[무하마드 알리]]의 어록인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에서 모티브를 얻기도 했다. == 역사 == 1982년에 주오 방범[* 中央防犯. 일본의 경비 회사로 현재는 주오방범액트라는 이름으로 사명을 변경함] 축구단으로 창단했으며 1991년 일본 사커 리그(JSL) 1부 리그로 승격된다. 1995년에 [[J리그]] 승격을 목표로 하던 중 J리그 팀 유치를 추진하던 후쿠오카 시로 연고지를 옮겨 "후쿠오카 브룩스"로 팀명을 변경했고, 같은 해 [[JFL]] 우승으로 [[J1리그]]로 승격했다. 그러나 열악한 재정과 엷은 선수층으로 인해 1997년 이후 2년 연속 종합순위 꼴찌를 기록해 J1리그 참가 결정전으로 몰리며 강등 위기를 맞으나,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콘사도레 삿포로]]를 꺾으며 간신히 J1리그에 잔류하게 된다. 이 후 1999년에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골득실 1점차로 앞서 종합순위 14위를 차지하는 등 하위권을 맴돌면서도 끈질기게 J1리그에 잔류하다가 2001년도에 종합순위 15위를 기록하면서 강등된다.2004년도에 J2리그 3위를 기록하며 J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가시와 레이솔]]에게 합계 스코어 0:4로 패하며 승격이 좌절되었다. 2005년 [[J2리그]] 준우승으로 5년 만에 J1리그로 복귀했지만, 이듬해 [[비셀 고베]]와의 J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패해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10년 2경기를 남겨두고 3위를 확정하여 6년 만에 [[J1리그]]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2011년 초반 리그 11연패를 포함한 13경기 연속 무승 및 7경기 무득점에 빠지는 등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4경기를 남겨두고 승격 1년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 ~~승격과 강등의 반복~~ 이후로도 쭉 J2리그를 전전하다가 2015년 시즌 막바지에 [[세레소 오사카]]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승격이 확정되면서 2016년 다시 J1리그에 복귀하였으나, J1리그에서는 시즌 내내 [[승점자판기]] 역할만 수행하면서 결국 1년만에 J2리그로 강등당하게 되었다. 2017년 J2리그 4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5위 도쿄 베르디에 1-0 승리를 거두고 결승전에서 3위 나고야와 0-0으로 비겼지만 시즌 순위가 높은 팀에 승격권이 주어짐에 따라 2018년도 J2리그에서 보내게 되었다. 2018시즌에는 시즌 내내 계속 6위권 안을 고수하며 승격 플레이오프에는 당연히 참가할것처럼 보였으나 마지막 라운드에서 강등권 바로 앞인 [[FC 기후]]와 비기며 7위로 시즌을 마치고 말았다. 그리고 2015년부터 팀을 이끌었던 [[이하라 마사미]] 감독이 자진사임을 택했다. 2019시즌 한때 [[이승우]]를 지도했던 엘라스 베로나의 페키르 감독이 부임했다. 그러나 성적은 영 좋지 않다. 승격은 못했어도 항상 J2리그 상위권을 차지해왔지만 2019시즌은 4경기를 치룬 현재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새롭게 영입된 한국인 공격수 양동현은 이적후 첫경기에서 골을 기록했다. 이후 16라운드까지 18위를 기록하면서 승격은 커녕 강등을 걱정해야 될 위치까지 와 있으며 16라운드 오미야전이 끝나고 페치아 감독이 가정사를 이유로 자진 사임을 택했다. 시즌 내내 하위권에만 머물면서 최종 순위 16위로 마쳤고 페치아의 대체자였던 쿠토 키요카즈 감독과의 계약을 끝냈다. 새 감독은 미토를 상위권으로 이끌었던 하세베 시게토시를 선임했다. === 2020시즌 === 초반에는 그저그런 모습을 보여주며 승격 가능성이 낮아보였지만, 가을부터 반등하며 10월에는 시즌내내 상위권을 차지하던 규슈 라이벌 기타큐슈와 나가사키를 제치고 승격권인 2위로 올라갔다. 26라운드를 마치고 1위 도쿠시마보다도 페이스가 좋아 도쿠시마와 승점이 동률인 상황이다. 결국 33라운드에서 승리하고 3위 나가사키가 비기면서 5년만의 승격을 확정지었다. 마지막 도쿠시마와의 경기에서는 1-0으로 이겼지만 순위 변동은 없이 그대로 2위로 승격. 비셀 고베가 후쿠오카를 성공적으로 이끈 하세베 감독을 노린다는 뉴스가 나왔지만, 계약 연장을 발표했다. === 2021시즌 === 승격 동기 도쿠시마와는 다르게 중위권에 어느정도 안착했고 리그 25경기 무패 행진을 달리던 [[가와사키 프론탈레]]에게 첫 패배를 안겨줬다. === 시즌별 리그 순위 === || [[아비스파 후쿠오카|[[파일:아비스파 후쿠오카 엠블럼.svg|height=50]]]][br]{{{-1 {{{#ffffff '''시즌별 리그 순위'''}}}}}}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시즌 }}}''' || '''{{{#fff 부 }}}''' || '''{{{#fff 리그 }}}''' || '''{{{#fff 순위 }}}''' || || 1996 || 1 || J리그 || '''15''' || || 1997 || 1 || J리그 || '''17''' || || 1998 || 1 || J리그 || '''18''' || || 1999 || 1 || J리그 디비전 1 || '''14''' || || 2000 || 1 || J리그 디비전 1 || '''12''' || || 2001 || 1 || J리그 디비전 1 || '''15''' || || 2002 || 2 || J리그 디비전 2 || '''8''' || || 2003 || 2 || J리그 디비전 2 || '''4''' || || 2004 || 2 || J리그 디비전 2 || '''3''' || || 2005 || 2 || J리그 디비전 2 || '''2''' || || 2006 || 1 || J리그 디비전 1 || '''16''' || || 2007 || 2 || J리그 디비전 2 || '''7''' || || 2008 || 2 || J리그 디비전 2 || '''8''' || || 2009 || 2 || J리그 디비전 2 || '''11''' || || 2010 || 2 || J리그 디비전 2 || '''3''' || || 2011 || 1 || J리그 디비전 1 || '''17''' || || 2012 || 2 || J리그 디비전 2 || '''18''' || || 2013 || 2 || J리그 디비전 2 || '''14''' || || 2014 || 2 || J리그 디비전 2 || '''16''' || || 2015 || 2 || J2리그 || '''3''' || || 2016 || 1 || J1리그 || '''18''' || || 2017 || 2 || J2리그 || '''4''' || || 2018 || 2 || J2리그 || '''7''' || || 2019 || 2 || J2리그 || '''16''' || || 2020 || 2 || J2리그 || '''2''' || || 2021 || 1 || J1리그 || '''8''' || || 2022 || 1 || J1리그 || '''14''' || || 2023 || 1 || J1리그 || '''7''' || }}}}}}}}} || == 여담 == J리그 1호 한국인 선수 [[노정윤]]이 2000년대 초반에 뛰었음에도 불구하고 J2리그 체류 기간이 길었던 데다가, 후쿠오카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야구 강세 지역인만큼]] 국내에서는 잘 알려진 팀이 아니었다.[* 게다가 소프트뱅크에서도 [[이대호|유명한]] [[이범호|한국 선수]]들이 뛴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6년 [[2012년 런던 올림픽]] 축구 대표팀 출신 [[이범영]]이 이 팀으로 이적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예전에는 이 항목에 [[서포터즈]]가 문제가 많은 집단[* ULTRA OBRI]이라는 서술이 있었으나, 아비스파 후쿠오카 팬이 이 항목을 읽었는지 `팀 서포터즈 정화 되었고 이제 꼴통 아니다. 더 이상 우리팀 서포터즈보고 꼴통이라니 뭐라니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아비스파 후쿠오카 팬들 알고보면 착하다.`라는 반응을 올려서 지우기로 했다. 2016년 J1리그 개막 스페셜 영상에 [[타무라 유카리]]가 참가했다 ~~마지막 부분에 살짝 [[17세교|성우(17)]]는 덤~~ 타무라 유카리는 최근 스케쥴이 없는 날 후쿠오카에 온 가족이 축구를 보러 가거나, 경기가 없는 날 인기투표 포인트를 얻기 위해 후쿠오카 경기장에 찾아가서 굿즈를 구입, 타무라 유카리 명의로 아비스파 후쿠오카 모금활동에 기부를 하는 등 축구를 본인의 최우선 취미 생활로 하고 있으며, 본인의 라디오 방송에서도 매번 5할 가까운 시간을 축구 이야기로 채워서 성우를 전혀 모르는 일반 축구팬이 라디오를 듣고 사연을 보내오기도 하는 등 현재 열렬한 아비스파의 팬이다. 2019년도 말까지는 공식 엠버서더가 [[HKT48]]의 [[토요나가 아키]]였다라는 사실이 예능 청춘체육부 2020년 1월 방송[* 이름이 박힌 공식 유니폼까지 입고 어필했다]을 통해 밝혀졌다. 2020년도에는 바뀔 수도 있다고 했으나, 2020년 5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엠버서더 활동이 연장되었음이 밝혀졌다. == 주요 선수 == * 일본 * [[나가이 겐스케]] : 2009[* 후쿠오카대학에서 임대.] * [[나가이시 타쿠미]] : 2021- * [[나카가와 테루히토]] : 2017[*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임대.] * [[니시가야 타카유키]] : 1998 * [[오카야마 카즈나리]][* [[재일교포]]로, 한국 이름은 '''강일성(康一成)'''이다.] : 2005 * [[이데구치 요스케]] : 2023[* [[셀틱 FC]]에서 임대.] * [[마이크 하프나]][* [[네덜란드]] 계통이지만 1993년 가족 전원이 일본으로 귀화했다.] : 2008[*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임대.] * [[모리모토 타카유키]] : 2018-2020 * [[사네토 유키]] : 2016-2020 * [[사카이 노리요시]] : 2014-2015[* [[알비렉스 니가타]]에서 임대.] * [[시게미 마사토]] : 2023- * [[토미야스 타케히로]] : 2015-2017 * [[코가 타이요]] : 2018[* [[가시와 레이솔]]에서 임대.] * [[쿠니모토 타카히로]] : 2015-2017 * [[하츠세 료]] : 2019[* [[비셀 고베]]에서 임대.] * AFC * [[김현훈]] : 2016 * [[노정윤]] : 2001-2002 * [[박건(축구선수)|박건]] : 2013-2015 * [[양동현]] : 2019[* [[세레소 오사카]]에서 임대.] * [[오창현(1989)|오창현]] : 2012-2014 * [[원두재]] : 2017-2019 * [[유인수(축구선수)|유인수]] : 2018[* [[FC 도쿄]]에서 임대.] * [[이광선]] : 2014-2015 * [[이범영]] : 2016 * CONMEBOL * [[레오 미네이루]] : 2018 * [[루키앙 아라우주 지 아우메이다]] : 2023- * [[윌리앙 포프]] : 2017 * [[페드루 주니오르]] : 2019- * [[하마조치]] : 2011[* EC 산투 안드레에서 임대.] * UEFA * [[미오드라그 보조비치]] : 1998 * [[졸탄 사보]] : 2002 * [[파벨 바데아]] : 2000-2001 J리그 최초의 한국인 선수였던 노정윤의 영향인지, 노정윤이 떠난 후에도 꽤 많은 한국인 선수들을 영입한 나름 [[친한파]] 클럽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후쿠오카현/스포츠)] [[분류:아비스파 후쿠오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