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아버지}}}''' (1997)[br]''Father''}}}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길수]]}}} || || '''{{{#000000,#dddddd 각본 및 각색}}}'''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정현, 지상학, 우병길}}} || || '''{{{#000000,#dddddd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정현의 1996년 소설 '[[아버지(소설)|아버지]]'}}}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고동훈, 이인학}}} || || '''{{{#000000,#dddddd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고동훈}}} || || '''{{{#000000,#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근형]], 장미희, [[최정윤(배우)|최정윤]], [[이호재]], [[홍리나]] 外}}}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일성}}} || || '''{{{#000000,#dddddd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승구}}} || || '''{{{#000000,#ddd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현}}}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최경식}}} || || '''{{{#000000,#ddddd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상만}}} || || '''{{{#000000,#dddddd 소품}}}'''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태우}}} || || '''{{{#000000,#dddddd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선희}}} || || '''{{{#000000,#dddddd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경자}}} || || '''{{{#000000,#dddddd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성찬}}} || || '''{{{#000000,#dddddd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성진}}} || || '''{{{#000000,#dddddd 스틸}}}'''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소현}}} || || '''{{{#000000,#dddddd 현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영화진흥공사}}} || || '''{{{#000000,#dddddd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승호}}} || || '''{{{#000000,#dddddd 스토리보드}}}''' ||{{{#!wiki style="margin: 0px 10px" 한혜영}}} || || '''{{{#000000,#dddddd 스크립터}}}'''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소연}}} || || '''{{{#000000,#dddddd 마케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숙정, 박선경}}} || || '''{{{#000000,#dddddd 제작사,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울광연, 시네비전}}}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7년 5월 10일}}} || || '''{{{#000000,#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3분}}} || || '''{{{#000000,#ddd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33,860명}}}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1997년 드라마 영화. 김정현의 1996년 소설 '[[아버지(소설)|아버지]]'가 원작이며, [[장길수]]가 연출하였다. == 시놉시스 == >암선고를 받고서도 자신의 죽음을 숨긴 채 서서히 허물어져 가는 아버지의 모습은 단절된 가족관계의 비극을 극명하게 드러내 보이고, 눈앞에 닥친 아버지의 죽음앞에서 뒤늦게 나마 되찾게 되는 가족간의 눈물겨운 사랑과 화해의 모습은 가슴뭉클한 감동을 남긴다. >---- >출처: [[KMDb]] == 등장인물 == * [[박근형]] - 한정수 역 * 장미희 - 영신 역 * [[최정윤(배우)|최정윤]] - 한지원 역 * [[이호재]] - 남박사 역 * [[홍리나]] - 이소령 역 * [[정민(1977)|정준오]] - 한희원 역 * [[최종원]] - 박씨 역 * [[이인철(배우)|이인철]] - 김계장 역 * 황미선 - 이미란 역 * 최용재 - 이하나 역 {{{#!folding [ 그 이외의 조연 및 단역 펼치기ㆍ접기 ] * 김예진 - 간호사 역 * 이정학 - 과일가게 주인 역 * 박예숙 - 여관주인 역 * 이지산 - 신임서기관 역 * [[안진수]] - 중개인 역 * 송승필 - 레지던트 역 * 조미영 - 보석상여직원 역 * 오지현 - 직원 역 * 김연진 - DJ 역 * 임진택 - 사진기사 역}}} ※ 줄거리는 소설과 동일하므로 캐릭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버지(소설)]] 문서의 [[아버지(소설)#등장인물|등장인물]] 문단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평범한 50대 중년의 아버지 한정수는 친구 남박사의 병원에 들렀다가 [[췌장암]]으로 5개월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는다. 지방대 출신으로 뒤늦게 고시에 합격해 인간 승리의 주인공으로 신문에 소개되기까지 했던 그였지만 연줄이 없고 고지식해 요직에는 한 번도 있어보지 못하고 평생 한직을 전전한다. 넉넉한 집안 출신으로 교양있고 세련된 부인 영신과는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평행선이 계속되고 딸 지원은 일에만 파묻혀 가정을 잘 돌보지 않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을 쌓아간다. 자신의 병을 가족에게 알리지 않고 혼자 죽음을 준비하려는 정수는 괴로움을 참기 위해 점점 술에 빠져들고, 사정을 모르는 가족들과 더울 두터운 벽을 쌓게 된다. 어느날 밤 정수가 밤늦게 술에 취해 집앞 과일가게에서 시비를 일으켜 난장판이 벌어지는 사건이 있자 사랑하는 딸 지원은 아버지에 대한 분노와 실망을 담아 편지를 보낸다. 딸 지원이 지망하는 [[서울대]] 영문과 정원이 35명이라는 것을 알고 1년 동안 버스를 타도 35번 뒷 번호의 좌석에는 앉지 않을 만큼 남모르게 정성을 들여온 딸의 최후통첩과도 같은 편지를 받고 정소는 비수로 가슴을 찔리는 듯한 괴로움에 빠진다. 어딘가 몸을 눕히고 싶지만 아무데도 자신을 반겨줄 곳 없는 고독 속에서 정수는 일식 [[요릿집]] 여종업원 소령을 만나 잠시 위안을 얻기도 하지만, 췌장암 말기의 고통과 싸우며 남모르게 아내와 자식의 앞날을 준비한다. 결국 정수의 치명적인 증상은 친구 남박사에 의해 가족에게 알려지고 가족들의 눈물과 화해 속에서 정수는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는데. >---- >출처: 네이버 영화 == 평가 == == 흥행 == 극장관객 33,860명의 성적을 거두었다. == 수상 == 1997년 제35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고동훈이 이 영화로 기획상을 수상하였다. == 기타 == [[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1997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