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니메이션 아바타 시리즈)] ||<-3> '''[[넷플릭스|{{{#ffffff Netflix}}}]] [[넷플릭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드라마#s-2.2|{{{#ffffff 시리즈}}}]]'''[br]{{{+1 '''아바타: 아앙의 전설'''}}} (2024)[br]Avatar: the Last Airbender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2> '''장르''' ||[[액션]], [[모험]], [[동양 판타지]]|| ||<-2> '''공개일''' ||[[2024년]] [[2월 22일]] || ||<-2> '''방송 횟수''' || || ||<-2> '''제작사''' || || ||<|4> '''제[br]작[br]진''' || '''제작''' || || || '''연출''' || || || '''극본''' || || || '''음악''' || || ||<-2> '''원작''' ||[[니켈로디언]]의 TV 애니메이션 《[[아바타 아앙의 전설]]》|| ||<-2> '''출연''' ||고든 코미어[br]키아웬티오 타르벨[br]이안 오슬리[br]댈러스 리우[br][[대니얼 대 킴]][br][[폴 선형 리]] ,,,외,,,|| ||<-2> '''촬영 기간''' ||[[2021년]] [[11월 16일]] ~ [[2022년]] [[6월 17일]]|| ||<-2> '''제작비''' || || ||<-2> '''독점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 || ||<-2> '''시청 등급''' || || ||<-2> '''링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니켈로디언]]에서 방영한 TV [[애니메이션]] 《[[아바타 아앙의 전설]]》을 원작으로 한 실사 드라마이다. == 공개 전 정보 == 2018년 [[아바타 아앙의 전설]]의 넷플릭스 실사 드라마 제작이 확정되었다. 공개일은 2020년 또는 2021년으로 예정되었다.[[https://gadgets.ndtv.com/entertainment/news/avatar-last-airbender-netflix-live-action-remake-whitewashed-cast-original-creators-1918802|#]] 아앙의 전설과 코라의 전설을 제작한 제작자 마이클 디마티노와 브라이언 코니에츠코가 참여하며 두 작품에 모두 함께한 작곡가 제러미 저커먼 역시 참여하는 등 오리지널 시리즈의 제작진이 합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8월 원작의 제작자 마이클 디마티노와 브라이언 코니에츠코가 돌연 하차를 선언했다.[[https://toonado.com/netflix/avatar-the-last-airbender-creators-exit-netflixs-live-action-adaptation-due-to-creative-differences-a4054#gs.doepf9|#]][[https://www.theverge.com/platform/amp/2020/8/12/21365329/avatar-last-airbender-netflix-live-action-michael-dante-dimartino-bryan-konietzko-departure|#]] 밝힌 하차 이유는 "넷플릭스와의 창작적 견해의 차이"와 "부정적인 제작 환경"이라고 한다. 두 제작자는 하차 이후 [[니켈로디언]] 산하에 [[아바타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아바타 세계관 확장 작품의 독자적인 제작을 시작했다. 드라마에 참여가 예정되었던 작곡가 제레미 저커먼도 두 제작자와 함께 하차하여 아바타 스튜디오에 합류했다. 이에 대해 정상적인 드라마 제작이 불투명해졌다며 아쉬움을 표출한 팬들도 있었다. 2021년 8월 주요 인물 [[아앙]], [[주코]], [[소카]], [[카타라]]의 캐스팅이 발표되었고 이후 [[오자이]], [[아이로]], [[자오(아바타 아앙의 전설)|자오]], [[기아소]], [[아줄라]], [[수키]], [[키요시(아바타 아앙의 전설)|키요시]], [[카나(아바타 아앙의 전설)|카나]] 등의 캐스팅이 발표되었다. 2021년 11월부터 촬영이 진행 중이다. 2021년 11월 17일 촬영 현장의 사진이 공개되며 촬영의 시작을 알렸다. [[디즈니+]]의 [[만달로리안]]에 사용된 'The Volume'이라는 신기술을 사용해 촬영이 진행된다고 알려졌다. 2022년에 촬영을 마쳤지만 후반 작업이 길어져 2024년 초에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https://moviesr.net/p-live-action-series-avatar-the-last-airbender-expected-release-date-on-netflix|#]]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WZAeL51ezU)]}}} || || {{{#ffffff '''퍼스트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7ehEQu6lQa0)]}}} || || {{{#ffffff '''공식 예고편'''}}} || === 포스터 ===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fffff '''공식 포스터'''}}}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아앙]] - 고든 코미어 * [[카타라]] - 키아웬티오 타르벨 * [[소카]] - 이안 오슬리 * [[주코]] - 댈러스 리우 * [[오자이]] - [[다니엘 대 킴]] * [[아이로]] - [[폴 선형 리]] * [[자오(아바타 아앙의 전설)|자오]] - 켄 렁 * [[기아소]] - 림 케이 시우 * [[아줄라]] - 엘리자베스 유 * [[수키]] - 마리아 장 * 유카리[* [[키요시섬]]의 촌장이자 [[수키]]의 어머니로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 탬린 토미타 * [[키요시(아바타 아앙의 전설)|키요시]] - 이본 채프먼 * [[카나(아바타 아앙의 전설)|카나]] - 케이시 캠프-호리넥 * [[로쿠(아바타 아앙의 전설)|로쿠]] - C. S. 리[* [[청주시]] 태생의 한국계 미국인이다.] * [[유에(아바타 아앙의 전설)|유에]] - 앰버 미드썬더 * [[파쿠(아바타 아앙의 전설)|파쿠]] - A 마르티네즈 * 발명가 - 대니 퍼디 * [[부미]] - 우트카쉬 암부드카 * [[양배추 장수]] - [[제임스 시]][* 원작 애니메이션에서 양배추 장수의 성우를 맡았던 배우이다.] * [[카야(아바타 아앙의 전설)|카야]] - 레인보우 디커슨 * [[준(아바타 아앙의 전설)|준]] - [[아덴 조]] * [[하코다]] - 조엘 몬그랜드 * [[타이리]] - [[모모나 타마다]] * [[한(아바타 아앙의 전설)|한]] - 조엘 아울렛 * [[아눅]] - 나다니엘 아캔드 * [[쿠룩]] - 미그원 페어브라더 * [[야고다]] - 아이린 베다드 * [[메이(아바타 아앙의 전설)|메이]] - 탈리아 트랜 * [[제트(아바타 아앙의 전설)|제트]] - 세바스찬 아모루소 * 테오 - 루시안-리버 차우한 * [[소진(아바타 아앙의 전설)|소진]] - 히로 카나가와 * [[코(아바타 아앙의 전설)|코]] - [[조지 타케이]] * [[완시통]] - 랜들 덕 킴(김덕문)[* 영화 [[라스트 에어벤더]]에 [[남쪽 공기의 사원]]의 노인으로 출연했다.] == 줄거리 == == 에피소드 목록 == ||<|2>
'''회차''' ||<|2> '''방영일자''' ||<|2> '''부제''' ||<-2> '''제작''' || || '''감독''' || '''각본''' || || '''1''' ||<|8> || || || || || '''2''' || || || || || '''3''' || || || || || '''4''' || || || || || '''5''' || || || || || '''6''' || || || || || '''7''' || || || || || '''8''' || || || || == OST == == 평가 == ## 드라마 코드란, 개별 드라마를 구분하기 위해 숫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번호입니다. 해당 사이트 UR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메타크리틱의 경우 'https://www.metacritic.com/tv/chernobyl/critic-reviews'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chernobyl' 부분이 코드입니다. ## 로튼 토마토나 메타크리틱, 알로시네와 같이 해당 사이트의 URL가 영화냐 드라마냐에 따라 페이지가 다르게 분류된 경우가 있어, 영화 전용 URL에 드라마 코드를 붙이고 들어가면 404 페이지가 뜨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드라마 문서에서는 반드시 드라마 버전 틀을 사용해야 합니다. ## 키노포이스크의 경우 기존 영화 페이지의 URL에 드라마 코드를 붙여도 자동으로 드라마 페이지에 리다이렉트 시켜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틀에서는 'https://www.kinopoisk.ru/film/1227803/'로 적혀 있지만 클릭하면 자동으로 'https://www.kinopoisk.ru/series/1227803/'로 넘어가는 식입니다. ## 레터박스의 경우, 비시즌제 미니시리즈 혹은 옴니버스 형식의 스페셜 에피소드 문서에만 적용합니다. 전자의 예시는 체르노빌, 밴드 오브 브라더스가 있고, 후자의 예시로는 닥터 후 뉴 시즌의 스페셜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단, 더 테러와 빅 리틀 라이즈, 블랙 미러 같은 예외도 있습니다.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드라마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드라마 코드>, light=<평점 지수>)]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VIKI,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 기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바타 아앙의 전설, version=577)] [[분류:아바타 아앙의 전설]][[분류:2024년 드라마]][[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드라마]][[분류:애니메이션 원작 드라마]][[분류:동양풍 판타지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