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구(부산)의 법정동)] ||<-2> '''[[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아미동}}}'''[br]峨嵋洞 | Ami-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아미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260052 || || '''관할 법정동''' || 아미동1가, 아미동2가 || || '''하위 행정구역''' || 24통 103반 || || '''면적''' || 0.72㎢ || || '''인구''' || 6,073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8,434.72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동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안병길]] ,,(초선),, || ||<-2>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도석]] ,,(재선),, || ||<-2> '''서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혜경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현우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하명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해돋이로269번길 17[* 아미동2가 133-8] || || [[http://www.bsseogu.go.kr/index.bsseogu?menuCd=DOM_000000104007008001|아미동 주민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광역시)|서구]]에 있는 [[행정동]]. 관할 법정동은 아미동1가·아미동2가이다. 동 주민센터는 아미동2가에 있다. 한때 법정동별로 1동과 2동으로 나누어진 적도 있었으나, 인구 감소로 1998년에 행정동을 합동(合洞)했다. == 상세 == 옛날에는 [[아미산(부산)|아미산]]쪽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인 '''공동묘지'''였던 곳에 점점 사람들이 정착하면서 자연스럽게 마을이 형성된 곳이며 그 마을이 바로 [[비석문화마을]]이다. [[사하구]] [[감천동]]에 위치한 [[감천문화마을]]과 매우 가까이 인접해있으며, 실제로 일제강점기 시절 옛 일본인들이 만든 비석 위에다가 터를 잡고 움집을 지어서 생활한 것에 그 유래가 있다. 군데군데 당시 묘비를 주춧돌이나 계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인지 젊은 남성은 여기 살면 [[귀접]]을 경험하기 쉽다는 괴담이 있다. 보통 일본인 여자 귀신과의 몽정(?) 등이 주된 괴담 썰이라고. 한술 더떠서 고층 건물 건설시 귀접 때문에 인부들과 공사 회사가 변을 당한다는 설도 있어서 이 지역의 재개발 혹은 고층 건물을 올리는 게 더딘 이유이기도 하다.] 2021년 도시 재생 사업 공사를 진행하다가 귀신을 목격한 인부들이 다수 발생해서 위령제를 지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20819195797341|#]] 또한 공동묘지 바로 옆으로는 화장터가 있었으며 천주교아파트 일대가 옛 화장터였다. 과거에는 1차로 규모의 골목길이였지만 1985년 확장공사를 통해 왕복 2차로의 까치고개길이 개통되었다. 이 시기에 맞춰 시내버스가 들어왔으며 당시 29-1번이 경유, 이후 87번과 맞트레이드 되었다. 서구의 달동네. 까치고개를 넘으면 ~~또 다른 달동네~~ 사하구 감천동으로 갈 수 있다.[* 감천문화마을로 바로 갈 수 있는 산길이 있다.] 토성역 서쪽에 있는 [[부산대학교병원]]의 주소는 충무동이 아니라 아미동이다. [[A.R.M.Y|이름이 같은 모 팬클럽]]과는 관계가 없다. 해외 팬들은 [[지민]]이나 [[정국(방탄소년단)|정국]] 같은 부산 출신의 멤버들 때문에 가끔 인증샷을 찍는 듯. == 관할 법정동 == === 아미동1가 === ||<-2> '''[[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아미동1가}}}'''[br]峨嵋洞一街 | Ami-dong 1(il)-g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아미동1가,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614011500 || || '''관할 행정동''' || 아미동 || || '''면적''' || 0.04㎢ || [clearfix] === 아미동2가 === ||<-2> '''[[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아미동2가}}}'''[br]峨嵋洞二街 | Ami-dong 2(i)-g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아미동2가,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614011600 || || '''관할 행정동''' || 아미동 || || '''면적''' || 0.68㎢ || [clearfix] == 주요 시설 == * [[부산대학교병원]]: 원래는 토성동 소속이었으나, 동 경계 조정에 따라 아미동으로 넘어갔다. * [[아미동 비석마을]]: 원래 이 곳은 일제강점기 때 공동묘지였다. === 교육 === ==== 초등학교 ==== * 아미초등학교 === 주거 === || 아파트명 || 도로명주소 || 입주일자 || 세대수 || 구성 면적(평) || || 남부아파트 || 까치고개로197번길 25-1 || 1976.10.27 || 41 || 19~32 || || 다온가 || 까치고개로 173 || 2016.08.05 || 7 || 24~25 || || 신화더킹빌라 || 아미초장로 110-7 || 2017.12.26 || 23 || 6~34 || || 아미맨션 || 까치고개로 102 || 1995.07.13 || 101 || 23~25 || || 아미전원빌아파트 || 까치고개로 91 || 1998.05.26 || 66 || 20~27 || || 보강 || 성산길 23 || 2003.11.19 || 19 || 29~41 || || 일광펠리체 || 까치고개로 189 || 2016.09.30 || 8 || 9~31 || == 교통 == === 버스 === ==== 일반 ==== 아미동입구, 부산대병원 정류장 정차 노선. * [[부산 버스 87]] * [[부산 버스 134]] * [[부산 버스 190]] ==== 마을 ==== 모두 충무동로타리(서구청)까지 가서 회차하는 노선이다. 이 중 서구2, 서구2-2, 사하1-1은 [[감천문화마을]] 방면으로 간다. * [[부산 버스 서구2]] * [[부산 버스 서구2-2]] * [[부산 버스 서구3]] * [[부산 버스 서구3-1]] * [[부산 버스 사하1-1]] [[분류:서구(부산)의 법정동]][[분류:서구(부산)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