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아몬드 아이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2px" [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include(틀:JRA 삼관마)]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암말)]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암말)]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include(틀:JRA 경주마 랭킹 연도별 1위)] }}}}}}}}} || ||<-3> '''2018년, 2020년 [[JRA상]] 연도대표마''' '''2018년 일본 중앙 경마 트리플 티아라'''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몬드 아이 두바이 터프.jpg|width=100%]]}}} || ||<-2> 이름 || アーモンドアイ[br]Almond Eye || ||<-2> 출생 || [[2015년]] [[3월 10일]] ([age(2015-01-01)]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로드 카날로아]] || ||<-2> 어미 || [[후사이치 판도라]] || ||<-2> 외조부 || [[선데이 사일런스]](Sunday Silence)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 ||<-2> 마주 || [[샤다이 그룹#실크 레이싱|실크 레이싱]] || ||<-2> 모집 정보 및 규모 || 3000만 엔^^(1구 6만 엔 × 500구 계좌)^^ || ||<-2> 조교사 || [[쿠니에다 사카에]] (미호) || ||<-2> 성적 || 15전 11승 (11-2-1-1)[br]14전 10승[*중앙][br]1전 1승[*UAE] || ||<-2> 총상금 || 19억 1,526만 3,900엔[* 2023년 12월 기준 이퀴녹스에 이은 JRA 수득 상금 2위][br]15억 1,956만 3,000엔[*중앙][br]+ 360만 미국 달러[*UAE] || ||<|3> 주요[br]우승 ||<|2> G1 || {{{#!folding [ 2018년 트리플 티아라 ] [[오카상]] (2018)[br][[우준 빈마|오크스]] (2018)[br][[슈카상]] (2018)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재팬 컵]] (2018, 2020)[br][[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월드컵 미팅|두바이 터프]](2019)[br][[천황상#s-3|천황상 (가을)]](2019, 2020)[br][[빅토리아 마일]] (2020) }}} || || G3 || [[신잔 기념]] (2018) || ||<-2> 주요 수상 || 2018년 [[JRA상]] 최우수 3세 암말[br]2020년 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암말[br]2020년 TRC 글로벌 랭킹 월드 챔피언 || ||<|2> 레이팅 || WBRR || L124 ([[틀:2018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8]])[br]I124 ([[틀:2019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9]])[br]M124 - L124 ([[틀:2020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20]]) || || 타임폼 || 126(2018)[br]129(2019)[br]129(2020)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5104961/|[[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203363/|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아몬드아이.jpg|width=100%]]|| || '''눈동자에 꿈을.[br]{{{-2 瞳に夢を。}}}''' || || '''{{{#white 히어로 열전 No.83}}}''' || >'''눈동자에 꿈을''' > >인생을 맺는, 흔들림없는 신뢰로 >여왕의 자리에 뛰어오른다. >승리의 사랑을 받은, 투명한 눈동자. >똑바로, 아득한 정점을 바라봐 줘. >---- >JRA 히어로 열전 일본의 경주마. 헤이세이 최후의 삼관마인 동시에 JRA 최초의 G1 9승마[* 또 다른 9승마인 [[오쥬 쵸산]]의 경우 9승 달성은 아몬드 아이보다 늦었지만 모든 대회가 JRA 대회라는 차이점이 있다. 아몬드 아이는 해외 원정이 있다.]이자 JRA 현창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로드 카날로아]][br]{{{-2 ロードカナロア[br]2008}}}||<|2>'''[[킹 카메하메하]][br]{{{-2 キングカメハメハ}}}'''[br]{{{-2 2001}}}||'''[[킹맘보]][br]{{{-2 Kingmambo}}}'''|| ||맨패스[br]{{{-2 Manfath}}}|| ||<|2>레이디 블라섬[br]{{{-2 レディブラッサム[br]1996}}}||'''스톰 캣[br]{{{-2 Storm Cat}}}'''|| ||새러토가 두[br]{{{-2 Saratoga Dew}}}|| ||<|4>[[후사이치 판도라]][br]{{{-2 フサイチパンドラ[br]2003}}}||<|2>'''[[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2 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로(말)|헤일로]][br]{{{-2 Halo}}}'''|| ||위싱 웰[br]{{{-2 Wishing Well}}}|| ||<|2>로타 레이스[br]{{{-2 Lotta Lace[br]199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누레예프[br]{{{-2 Nureyev}}}'''|| ||섹스 어필[br]{{{-2 Sex Appeal}}}|| ||<-3>* 누레예프 5×3 15.625%[br]* [[노던 댄서]] 5×4 9.375%|| 아비는 JRA [[현창마]]이자 일본 역대 최강 스프린터 중 하나로 평가받는 "용왕" [[로드 카날로아]]이며, 외조부는 일본의 리딩 사이어였던 [[선데이 사일런스]], 외증조부는 누레예프라는 대단한 혈통의 말이다. 어미인 [[후사이치 판도라]]는 2006년 엘리자베스 여왕배를 우승한 G1마다. 하지만 해당 경기는 가장 먼저 들어왔던 [[카와카미 프린세스]]가 도중 [[야마닌 슈크르]]의 진로를 방해해서 강착됐기 때문에[* JRA의 강착 규정은 이후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의 두 번째 강착 이후로 조금 완화되었는데, 이것이 이전에도 적용됐었다면 카와카미 프린세스는 강착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강하다.] 거저 우승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후사이치 판도라가 2017년 죽은 후 아몬드 아이가 대활약하면서 후사이치 판도라도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 생애 == [include(틀:2018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include(틀:2019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include(틀:2020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보드카(말)|보드카]]/[[다이와 스칼렛]] -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 - [[아파파네]] - [[젠틸돈나]]에서 이어지는 암말 최강자의 계보를 이은 말. 암말의 한계를 넘은 위업을 보여 주었다. 아몬드 아이가 현역생활을 할 때 수말들 중에선 꾸준히 성적을 내는 말이 없었기에, 암말과 수말의 실력 차이가 난다는 인식이 무너진 시기이자 암말 최강자라면 수말에 꿀릴 것이 없다는 인식이 생겨나기도 했다. || [youtube(SkJ5lBt1WE0)] || || 2018년 [[재팬 컵]] 영상 || || [youtube(LFZkIV5ZEKk)] || || 2020년 [[빅토리아 마일]] 영상 || 선행부터 추입까지 폭넓은 포지션을 소화 가능해서 경주 페이스에 휘둘리는 일이 적고, 생애 총 15회의 경주 중 두바이까지 출장갔다 되돌아와 아직 피로가 덜 풀렸던 19년 6월의 야스다 기념(3착)과 경기 내내 주행에 집중하지 못하고 스테미너를 낭비하다 마지막 직선에서 결국 퍼져버렸던 동년 12월의 아리마 기념(9착)을 제외한 나머지 13회의 경주는 전부 2착 안에 들어가는 높은 연대율을 보였다. G1 승수(9회)도 승률(G1 한정 9/12로 75%. 전체는 11/15로 73.3%)도 연대율(13/15로 86.7%)도 최강이라는 이름에 뭐하나 부족함이 없는 말. 실제로 [[타케 유타카]]는 한 인터뷰에서 '도쿄 경기장 2400m 경기에서 아몬드 아이를 이기기 위해선 어떤 말을 고를 것인가'라는 질문에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와 '''[[키타산 블랙]]'''을 고를 정도로 높게 평가하였다.[* 이 인터뷰는 [[다이와 스칼렛]]의 기수였던 [[안도 카츠미]]와 같이 진행했는데, 두 사람은 자기들이 탔던 최강의 암말들(안도 카츠미는 [[다이와 스칼렛]]과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 타케 유타카는 [[보드카(말)|보드카]])과 대결해도 아몬드 아이가 이길 것이라 예상하였고, 딥과 키타산을 뽑은 타케 유타카에 이어 안도 카츠미는 항상 자신이 탔던 말중 최강이라고 자부해온 [[킹 카메하메하]]라면 아몬드 아이를 이길 수 있다고 코멘트하였다.] || [youtube(6Hjym6cD5LM)] || || 경마 명승부 열전 - 기적의 삼관마 대결 || 라스트런이 된 2020년 [[재팬 컵]]은 [[데어링 택트]] - [[콘트레일]] - 아몬드 아이의 삼관마 3마리의 대결로 큰 관심을 끌었다. 2020년에도 G1을 3승이나 하면서 연도대표마에 선출되는 등 녹슬지 않았기 때문에 2021년에도 활동할지, 활동한다면 과연 [[천황상 가을|가을 천황상]] 3연패가 가능할지[* 그 전에 [[메지로 맥퀸]]이 [[천황상 봄]] 3연패를, [[골드 십]]이 [[타카라즈카 기념]] 3연패를 도전한 적이 있었지만 모두 실패하고 아직까지 단일 잔디 G1 대회 3연패는 한 번도 달성되지 않았다. G2에는 5번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다름 아닌 [[골드 십]]. [[천황상 가을]] 연패만으로도 대단한 기록이긴 하다. 이를 달성한 경주마는 [[심볼리 크리스 에스]]와 아몬드 아이 뿐이다. 역으로 [[천황상 봄]]은 연패한 말이 넷이나 되는데, 각각 [[메지로 맥퀸]], [[티엠 오페라 오]], [[키타산 블랙]], [[페노메노(말)|페노메노]]이다. 이중 3연패 달성이 가능할 뻔 했던 말은 유일하게 [[메지로 맥퀸]] 뿐인데, 오페라나 키타산은 [[천황상 봄]] 연패를 달성한 해의 아리마 기념을 마지막으로 은퇴했고, 페노메노는 그 다음해 닛케이상을 마지막으로 은퇴했기 때문이다. 메지로 맥퀸은 3번째 [[천황상 봄]]에서 [[라이스 샤워]]에게 밀려 2착을 한 만큼, JRA 최초이자 (아직까지는) 최후, 그리고 유일한 3연패마가 가능했을 지도 모른다.]에 대한 기대가 뜨거웠으나 결국 2020년 [[12월 19일]] 은퇴하여 번식암말로 전향했다. 일반적으로 경주마들은 6세부터 체력이 내려가고 부상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타당한 선택이라는 평과 그래도 3연패 도전은 할 만하지 않냐는 의견이 분분하다. [youtube(VjE-mR37NmY)] 2021년 9월 28일, 이바라키정이 특별영예상을 수상했다. 말 중에서는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 [[젠틸돈나]]에 이은 3번째로, 촌장이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요시다 카츠미]] 대표에게 전달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10929/k10013281571000.html|#]] == 번식마 생활 == || 순서 || 생년 || 말 이름 || 성별 || 모색 || 아버지 || 전적 || || 1 || 2022 || (아몬드 아이 2022) || 수컷 || 갈색 (鹿毛,카게) || [[에피파네이아]] || (데뷔 전) || || 2 || 2023 || (아몬드 아이 2023) || 수컷 || 갈색 (鹿毛,카게) || [[모리스(말)|모리스]] || (데뷔 전) || || 3 || (2024 예정) || || ? || ? || [[키타산 블랙]] || (수태중) || 은퇴하기 이전부터 첫 교배 상대가 누가 될지 경마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2021년 3월 10일 많은 사람들의 예측대로 [[에피파네이아]]와의 교배가 이뤄졌고, 무사히 수태에 성공했다. 2022년 1월 13일, 첫 자마를 출산했다. 성별은 수컷. [[https://mobile.twitter.com/northern_horse/status/1481506314434260992|사진]] 2023년 1월 15일 18시 반 경에 두 번째 자마를 출산했다. 성별은 수컷. [[https://twitter.com/SILKHCofficial/status/1614900461701844992|사진]] 2023년 3월 16일 키타산 블랙과의 교배로 수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https://twitter.com/netkeiba/status/1636299572439060480?t=HKqcodsNVMSR-BUjFJVjsw&s=19|#]] == 도쿄 전용기 논란 == 유일하게 상금권에 못들어가고 참패했던 19년도 아리마 기념을 예로 들면서 [[도쿄]] 밖에서는 성적을 못 낸다는 비판을 듣는 경우가 있지만, 도쿄 이외에서도 한신, 교토, 두바이[* 다만 두바이 메이단 경마장의 경우 코스 형태가 좌회전, 언덕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한 코스에 잔디의 경우 골 직전에 450m의 긴 직선구간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쿄 이상으로 순발력이 강한 말에게 유리한 구조이다. 그 때문에 아몬드 아이 안티 팬들은 [[억까|두바이에서의 승리 또한 명예 도쿄경마장에서 거둔 승리라고 도맷금으로 깎아내리는 경우도 있다.]]]에서도 우승 기록을 남겼기 때문에 도쿄 밖에서가 아니라 나카야마에서는 못뛴다라는 것이 옳은 표현일 것이다.[* 물론 나카야마 경마장의 구조 자체가 암말들에게 상당히 불친절한 것도 있다.] 다만 진영 입장에서 특기인 도쿄를 중심으로 출주하고 싶은 것은 당연하겠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커리어 전체에서 도쿄 출주율이 60%에 육박하고, 한 번 나갔다가 참패의 결과를 남긴 아리마기념을 제외하면 그랑프리 출전이 없는 등 고마 왕도에서 벗어난 진영의 지나치게 소극적인 듯한 레이스 선택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클래식 3관 경기 이후로는 해외원정과 아리마기념 한 번만 제외하고 모든 경기를 도쿄에서만 뛰었다. 즉 '도쿄 이외의 경주에서는 못 뛴다'가 아닌,''' '너무 도쿄로만 치중된 로테이션 선정으로 유리한 조건에서의 승리만을 챙기려 한다.' '''가 논란인 것. 다만 2020년의 경우 코로나 사태로 인해 두바이 대회가 취소되는 등의 천재지변이 겹친 것도 고려해야 하는 편, 거기에 더위를 심하게 타고 허약 체질이라 컨디션 관리가 어려워 뛸 대회를 신중하게 골라야 했다는 이유도 있다. 이 체질이 어느 정돈가 하면 진영에서 열사병 대책 훈련 매뉴얼을 따로 만들어 운영했을 정도이고 기수 르메르가 무리한 롱스퍼트를 시도하다가 결국 퍼지며 9착으로 참패한 아리마 기념 때는 거의 죽을뻔 했다고 술회할 정도. 이렇게 도쿄 편중 논란이 나오는 이유는 각 경마장의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다. 도쿄 경마장은 4대 경마장 중에서 홈 스트레치의 길이가 가장 긴 525m나 되고, 특히 홈 스트레치 진입 후에 곧 마주치게 되는 길이 150m, 높이 2m의 언덕을 올라가고 나면 이후 약 300m의 평지 스퍼트 구간이 펼쳐진다. 이는 곧 스테미너보다는 순발력에 강점을 가지는 직선 스퍼트에 승부를 거는 말들에게 유리한 코스라는 얘기가 된다. 반대로 아리마 기념으로 대표되는 나카야마 경마장의 경우는 코스 내내 오르막 내리막이 반복되기때문에 스테미너 소모가 심하고, 홈 스트레치 구간도 310m밖에 되지 않는 데다 골에서 약 200m~100m 구간이 높이 2m의 언덕으로 이뤄져 있다. 이 말은 곧 마지막 스퍼트 구간 한가운데에 오르막 언덕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각만큼 뻗어나가지 못한다는 걸 의미하며, 순발력과 스테미너가 함께 요구되는 코스라는 얘기다. 그리고, 한신 경마장도 [[타카라즈카 기념]]과 오사카배가 치러지는 내측 코스의 경우는 홈스트레치가 356m로 짧고 똑같이 골에서 약 200m~100m 구간이 높이 2m의 오르막길로 이뤄져 있는데, 이는 결국 순발력에 특화된 말들의 경우 한신과 나카야마는 그리 달갑지 않은 코스라는 얘기.[* 그래서 한신, 나카야마 경기장에서 열리는 경기의 후반부는 언덕을 오르느라 속도가 줄어드는게 눈에 보인다. 끝에서 급격하게 빨라지는 도쿄 경기장과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확연하다.] 4대 경마장중 남은 하나, [[교토]] 경마장의 경우에는 [[천황상 봄|천황상(봄)]]의 경우 현대 경마에서는 기피되는 3200m의 초장거리 레이스고, 엘리자베스 여왕배는 암말 한정, 마일 챔피언십은 스테미너보다 순발력을 요구하는 마일 대회인데다 그랑프리도 열리지 않기 때문에 도쿄 편향을 걸고 넘어지는 중거리마들의 팬들에게는 아무래도 좋은 경기장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마침 과거 암말 최강마이자 부녀 더비 제패라는 위업을 세운 [[보드카(말)|보드카]]도 도쿄 외에는 성적이 썩 좋지 못했고[* G1 7승 중 2세 시절 한신에서 거둔 1승을 제외하면 나머지 6승이 모두 도쿄이다. 다만 도쿄 경기장 전체 승률은 50%으로 아몬드 아이의 78%보다 낮다.] 특히 딱 한 번 출전했던 아리마 기념에서 11착 참패를 당해서 도쿄 전용기 소리를 들은 바 있기 때문에 아몬드 아이도 도매금으로 비난받는 면이 있다. 이러한 도쿄 전용기 논란에는 아몬드 아이 진영의 인터뷰도 한몫 했는데, 아몬드 아이의 조교사였던 [[쿠니에다 사카에]]가 ''''"나카야마 2500m에서 그 시기(겨울)에 하는 건, 챔피언을 정하는 데는 좀 모자라지 않나 생각한다. 그러니까, 도쿄 2400m가 (말의)실력을 발휘하기 쉽고 좋지 않은가 생각되는 면이 있다."'''라며 대놓고 아리마 기념을 폄하하는 발언을 했는데, 일본 경마에서 레전드 취급하는 대부분의 말들이 아리마 기념에서 우승했던 걸 생각하면 그들 팬덤 전체를 적으로 돌리는거나 다름 없는 발언이여서 엄청난 비판을 받게 되었다. 정작 과거 통산 전적 27전 10승 중 8승을 나카야마에서 우승해 나카야마 마이스터라는 별명 + 나카야마 최다승 기록을 가진 07년도 아리마 우승마 [[마츠리다 고흐]]를 담당했던 쿠니에다 조교사 본인이 아몬드 아이를 올려친다고 과거 본인이 조교했던 말의 커리어를 통째로 부정하는 소릴 당당하게 한 셈이니. 하지만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경마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일본 최강 암말 투표에서 기존 최강 암말들을 압도적으로 누르고 1위를 차지 하였다. 관계자 측에서는 아몬드 아이가 일본 최강 암말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아몬드 아이의 최고 레이팅은 18년도 재팬컵, 19년도 천황상 가을, 20년도 빅토리아 마일, 20년도 재팬컵에서 나왔으므로 전부 도쿄 성적에 의존하고 있으나, 그걸 차치하고 M-I-L 3개의 거리에서 124 이상을 기록한 말은 아몬드 아이를 빼면 없다시피 하다. 게다가 암말이라 페널티를 받으므로 실질 레이팅은 128. M에서는 역대 2위, I에서는 역대 1위, L에서는 역대 4위 기록에 해당한다.][* 레이팅이 무조건적인 강함의 척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티엠 오페라 오는 122, 키타산 블랙은 124에 불과하며 딥 임팩트조차 127이 최고 기록이었다. 다만 국제 통용의 평가에서 전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는 의미가 있어, 해외 경마 언론인 Racing Post지에서도 아몬드 아이를 이기려면 동시기의 최강마이자 최강 암말인 [[이네이블]]과 [[윙크스(말)|윙크스]]를 불러야 한다고 기사를 쓸 정도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 첫해 현창마 미선출 논란 == 2022년부터 현창마 후보에 들어갔다. 위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단한 업적을 세운 만큼 무난히 현창마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경마 기자들도 자기들끼리 대략적인 정보를 교환했는지 할아버지인 [[킹 카메하메하]]와 함께 무난히 현창마에 오를 거라 예상했고, 심지어 도쿄 전용기 운운하며 열심히 아몬드 아이를 까대던 안티들도 9관 업적 자체를 폄하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기에, 현창마 직행은 무난할거라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정작 2022년 투표 결과 '''불과 8표차로'''[* 152표가 기준이었는데 144표를 얻어서 아깝게 놓치고 말았다. 참고로 할아버지인 [[킹 카메하메하]]도 같은 득표수를 기록.] 전당 입성에 실패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081975|#]] 이 소식이 나오자 마자 본토는 물론이요 한국 팬덤에서도 얘기가 나올 정도로 역대급 논란이 터졌다. 7관인 [[젠틸돈나]]와 [[보드카]]는 한번에 간 반면에, 9관이라는 엄청난 타이틀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한번에 못간 것은 대단히 큰 이변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전의 1인 2표에서 1인 4표로 바뀌었는데도 이런 상황이 펼쳐졌다. 더 큰 문제는 내년 현창마 투표인데, 기존 수문장 라인에 아몬드 아이가 추가된 상태에서 [[콘트레일]], [[그랑 알레그리아]], [[크로노 제네시스]]까지 추가되면서 올해 이상의 표 갈라먹기로 현창마가 못 나올 가능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 [[콘트레일]]의 경우 결국 무패 3관의 타이틀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일정 수준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그래스 원더]]의 투표 성적이 저조했던 것을 고려하면, 마찬가지의 그랑프리 3연패마인 크로노 제네시스의 투표율은 높게 나오기 어렵다. 그랑 알레그리아는 같은 G1 6승마이자 현창마 수문장 [[모리스(말)|모리스]]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므로 가망이 없는 수준이다. 모리스는 G1 4연승, 아시아 춘추 마일 G1 완전 재패에 2000m 경기인 천황상 가을과 홍콩 컵을 연패하였다. 더욱이 고마 성적은 승률 82%, 연대율 100%. 그랑 알레그리아는 G1 3연승, 고마 승률 52%, 연대율 78%에 G1 암말 경기 2번, 2000m는 제대로 닿지 못하고, 그나마 모리스보다 나은 점은 클래식 성적과 단거리 적성 정도이다.][* 이후 2023년도 투표 결과를 보면, 콘트레일은 무려 '''1표차''' 현창마 입성 실패, 그랑 알레그리아는 32표로 일단은 경쟁자들이 많아져 화력이 빠진 듯한 모리스와 거의 비슷한 투표율을 보였으며, 크로노 제네시스는 2표로 매우 비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이로 인해 투표권을 가진 기자들에게 거센 비난이 쏟아졌고, 심지어 아몬드 아이 안티층도 현창마 오른 말도 오르지 못한 말도 다 바보로 만드는 투표라며 기자단을 비난했다. 베테랑 기자들이 팬들의 목소리를 모른다며 젊은 기자들이 성토하는 기사를 쓰는 일도 벌어졌다. 여론에선 4표 중 단 한표도 행사하지 않은 기자들은 투표에서 배제해야 한다거나 해외처럼 은퇴한 기자는 10년만 투표권을 줘야 한다는 등 여러가지 말이 나오는 상황. 반면 현창마 투표제도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넌지시 기자들을 옹호하는 기사들도 등장했는데, 아몬드 아이가 뒷장에 적혀있어서 후보에 들어있는지 몰랐다는 궁색한 변명 기사까지 등장하면서 설득력은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현창마가 된지 한참 지난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에게 투표한 사람도 있었던걸 보면 진짜일지도 모른다.(...) 투표하는 기자들 중에서 노인들도 많을테니...] 참고로 이전에도 고마 왕도 완전제패를 달성한 [[티엠 오페라 오]], 홍콩 스프린트 2연패를 달성한 [[로드 카날로아]], 2년 연속으로 고마 왕도 노선을 걸으며 7관을 달성한 [[키타산 블랙]]도 한번에 못갔기 때문에 논란이 있었고, 이 때문에 투표 방식을 바꾼 전적도 여러번 있다. 그러나 2022년 10월 JRA 측에서는 현창마 선출 방식을 바꾸지 않는다고 밝혔다. 2023년 5월 2일 일본 기사에 의하면 현창마 투표권 가지고 있는 기자 클럽원 중 일반지나 방송 관계 소속으로 더비, 아리마 정도 밖에 취재하러 안 가는 기자들도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사실상 경마에 문외한 수준들이 투표를 해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https://news.yahoo.co.jp/articles/7f069b1460c6be76ad65a368dae758fc1edde23a|기사]] 그러나 2023년 6월 6일 유효표 207표 중에 200표, 투표율 96.6%로 현창마 투표제 이후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하며 비로소 현창마에 입성하였다. 워낙에 논란이 많았는지 투표하는 기자들 사이에서도 인지가 되었는 듯 하다. 압도적인 투표율이 역으로 기자단이 여론의 눈치를 살피는게 아니냐고 꼬집히기도 했다. --대신 콘트레일이 1표 차이로 못 갔다-- == 여담 == * 안티팬이 상당히 많다. 사실 이는 상술한 조교사 [[쿠니에다 사카에]]의 망언 탓이 제일 크고 결정적이다. 덕분에 말 한마디 못하는 아몬드 아이가 현재까지 엄청난 비난을 받게 된 것. 일본 경마 사이트 [[https://www.netkeiba.com/?rf=logo|netkeiba]]의 [[https://db.netkeiba.com/horse/2015104961/|아몬드 아이]] 항목을 보면 별점이 수상할 정도로 낮은데, 이 안티팬들의 테러의 영향. 덧붙여 해당 페이지의 게시판은 아몬드 아이가 은퇴한 지금도 활발하게 [[키배]]가 벌어지는 중이다. 혈통적으로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와 거리가 먼 암말이 딥 임팩트와 자마를 견제한 것도 딥빠들의 어그로를 모으는데 한몫한다. * 현역 최강의 마일러로서 아몬드 아이를 꺾은 딥 임팩트의 딸 [[그란 알레그리아]]와의 비교로 주로 싸우는 중. 재미있는 점은 아몬드 아이와 그란 알레그리아 모두 주전 기수가 [[크리스토프 르메르]]로 동일하다.[* 맞대결 당시 그란 알레그리아의 기수는 [[이케조에 켄이치]]였다.] * 이른바 '기성난'과는 거리가 먼 얌전한 말이었다. 주전 기수 [[크리스토프 르메르]]에 따르면, 기수의 지시를 잘 따라주고 컨트롤도 매우 쉬운 말이라고 한다. 다만 구무원 인터뷰에 따르면 몸 손질을 할 때 사람이 몸에 손을 대면 귀를 뒤로 젖히며 싫어하는 기색을 내비친다고. * G1 우승을 9번한 아몬드 아이는 9관마(9冠馬, きゅうかんば)로 불려지는데, 이걸 가타카나로 읽으면 큐컴버(Cucumber), 즉 [[오이]]로 읽혀져서 졸지에 별명이 오이가 되었다. [[오본]]의 오이로 만들어진 쇼로우마(精霊馬)에 우승 휘장들을 걸어 아몬드 아이를 만들었다는 [[https://twitter.com/syouyuzara/status/1425697934255874052|트윗]]을 기점으로, 오이 드립이 여기저기 퍼지다가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2차 창작물에서도 언급되는 중이다.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780922|예시]][* [[아재개그]]가 대표적인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가 G1 우승을 7번한 자신보다 더욱 대단한 아몬드 아이를 소개한답시고 오이를 보여주는 만화다.] * 일본 경주마들 중 국제 G1 최다승 경주마(9승)이며, 소속 클럽인 실크 레이싱은 물론, 샤다이 그룹 전체를 통틀어서도 국제 G1 승리수 역대 1위이다. * G1 9승에 빛나는 커리어가 입증하듯, 2010년대 후반~2020년대 초반을 빛낸 일본 경마 역사상 최강의 암말로써, 커리어 내도록의 안정성 역시 탁월하다. 유일한 착외가 2019년 아리마 기념의 9착이고, 나머지 경기에서도 2019년 야스다 기념 딱 1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2착 이내에 들어왔다.[* 15전 중 1착 11회, 2착 2회, 3착 1회, 착외(9착) 1회. 연대율 80%.] * 6월 9일, 주전 기수였던 르메르의 트위터 계정에 현창마가 된 것을 축하하는 사진과 트윗이 올라왔는데 사진의 말이 아몬드 아이가 아니라 [[이퀴녹스|승부복과 주전 기수가 같은 후배]]였다(...). 얼마 안 가서 트윗은 지워졌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7년 {{{-1 (2세)}}} || || 8.6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2세 신마 || 잔디 1400m || 1.3 || 1 || 2착 ||<|2> [[크리스토프 르메르]] || 니시노 우라라[* 스페셜 위크의 아들인 리치 더 크라운의 자마. 관명이 니시노인 걸 보면 알겠지만 우마무스메를 통해서 유명해진 니시야마 마주의 소유 암말.참고로 해당 암말은 12전 2승으로 현역 경주마 생활을 마치고 2020년부터 번식암말로 전향하였다.] || || 10.8 || [[도쿄 경마장|도쿄]] |||| 2세 미승리 || 잔디 1600m || 1.2 || 1 || '''{{{#RED 1착}}}''' || (코스모 페리크) || ||<-10> 2018년 {{{-1 (3세)}}} || || 1.8 || [[교토 경마장|교토]] || [[신잔 기념]] || GIII || 잔디 1600m || 2.9 || 1 || '''{{{#RED 1착}}}''' || [[토사키 케이타]] || (츠즈미몬) || || 4.8 || [[한신 경마장|한신]] || '''[[오카상]]''' || '''GI''' || 잔디 1600m || 3.9 || 2 || '''{{{#RED 1착}}}[*레코드]''' ||<|4> [[크리스토프 르메르]] || ([[럭키 라일락]]) || || 5.20 || 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GI''' || 잔디 2400m || 1.7 || 1 || '''{{{#RED 1착}}}''' || (릴리 노블) || || 10.14 || 교토 || '''[[슈카상]]''' || '''GI''' || 잔디 2000m || 1.3 || 1 || '''{{{#RED 1착}}}''' || (미키 참) || || 11.25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1.4 || 1 || '''{{{#RED 1착}}}[*레코드 2분 20초 6. 2400m 월드 레코드를 세웠다.]''' || ([[키세키(말)|키세키]]) || ||<-10> 2019년 {{{-1 (4세)}}} || || 3.30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메이단 || '''[[두바이 터프]]''' || '''G1''' || 잔디 1800m |||| 미발매 || '''{{{#RED 1착}}}''' ||<|4> [[크리스토프 르메르]] || ([[비블로스(말)|비블로스]]) || || 6.2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7 || 1 || 3착 || [[인디 챔프]] || || 10.27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 (가을)]]''' || '''GI''' || 잔디 2000m || 1.6 || 1 || '''{{{#RED 1착}}}''' || ([[다논 프리미엄]]) || || 12.22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1.5 || 1 || 9착 || [[리스 그라슈]] || ||<-10> 2020년 {{{-1 (5세)}}} || || 5.17 || 도쿄 || '''[[빅토리아 마일]]''' || '''GI''' || 잔디 1600m || 1.4 || 1 || '''{{{#RED 1착}}}''' ||<|4> [[크리스토프 르메르]] || (사운드 키아라) || || 6.7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3 || 1 || 2착 || [[그란 알레그리아]] || || 11.1 || 도쿄 || '''천황상 (가을)''' || '''GI''' || 잔디 2000m || 1.4 || 1 || '''{{{#RED 1착}}}''' || ([[피에르망]]) || || 11.29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2.2 || 1 || '''{{{#RED 1착}}}''' || ([[콘트레일]]) ||}}} [include(틀:오카상,grade=GI)] [include(틀:오크스(일본),grade=GI)] [include(틀:슈카상,grade=GI)] [include(틀:재팬 컵,grade=GI)] [include(틀:두바이 터프,grade=G1)]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include(틀:빅토리아 마일,grade=GI)] ------ [include(틀:신잔 기념,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씨암말/일본]][[분류:2015년 출생/경주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킹 카메하메하계]][[분류:삼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