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식물 아마(亞麻) == 영어: Flax 학명: Linum usitatissimum 아마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선 모양이다. 5~7월에 [[https://images.unsplash.com/photo-1559022383-9eb1a85a99b4?ixlib=rb-1.2.1&ixid=eyJhcHBfaWQiOjEyMDd9&w=1000&q=80|푸른색]]~[[https://c8.alamy.com/comp/X0K07J/small-blue-flowers-of-perennial-flax-linum-perenne-X0K07J.jpg|청자색]]의 [[https://images.fineartamerica.com/images/artworkimages/mediumlarge/1/blue-flax-flower-3-marjorie-imbeau.jpg|꽃이]] [[https://s3.amazonaws.com/cdn.botanicalinterests.com/images/popup/1016i_Flax-Blue.jpg|취산(聚繖)]] [[https://cdn.shopify.com/s/files/1/0485/9981/products/seedles-blue-flax-seedles-3_2000x.jpg?v=1487014101|꽃차례]]로 피고[* [[https://images.fineartamerica.com/images/artworkimages/mediumlarge/1/common-flax-or-linseed-linum-usitatissimum-bildagentur-online.jpg|꽃대 + 꽃 + 씨방의 모양]]은 이렇게 생겼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삭과(蒴果)이다. 원래 실용작물이긴 하지만 꽃이 무리지어 피어난 모습이 나름 예쁘기 때문에 관상용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 6월 3일의 탄생화이기도 하며, [[꽃말]]은 [[감사]]. === 리넨/린넨 === [include(틀:섬유)] 아마의 껍질 줄기로 '리넨(Linen)' 혹은 '린넨'이라고 불리는 [[섬유]]를 만든다. [[마]]직물류 중 가장 가격이 비싼 편인 직물로, [[모시]](저마), [[삼베]]([[삼(식물)|대마]]), [[황마|주트(황마)]] 순으로 보통 가격이 형성된다. 참고로 아마, [[삼(식물)|대마]], 저마, [[황마]]는 비슷한거 같지만 엄밀히 따지면 다 다른 식물이다. 유럽에서는 flax라고 부르는 유럽산 아마의 줄기 껍질의 [[섬유]]로 짜서 린넨이라는 천을 만든다. 아마포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글 [[성경]]에서는 [[https://392766.tistory.com/entry/%EC%84%B1%EA%B2%BD-%EC%86%8D-%EC%8B%9D%EB%AC%BC-%EC%95%84%EB%A7%88%ED%8F%AC%EB%B2%A0%EC%98%B7-%EB%A6%AC%EB%84%A8Linen-%EC%95%84%EB%A7%88%ED%8F%AC%EC%98%B7-%EC%84%B8%EB%A7%88%ED%8F%AC|세마포]]로 번역했다.] 인류 최초의 직물 재료 중의 하나로 고대로부터 널리 직물로 이용되어 와서 유사 이전부터 [[이집트]]와 [[소아시아]]에서 섬유 식물로 재배하였고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한국의 [[삼베]]나 [[모시]] 천에 해당하는 직물. 유럽권에서는 린넨이 필수적인 기본 옷감이었다. [[속옷]]으로도 제작했으며, [[수의]]도 이것으로 만들었는데 유명한 [[토리노의 수의]]도 아마포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리넨 갑옷]]도 있었다. [[면(섬유)|면직물]]은 20세기에 들어서야 대중에 널리 보급되었고,[* 18세기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가 프랑스 비단보다 영국 모슬린(면) 드레스를 좋아했는데, 이유가 더 비싸서였다고 한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의 아내 [[조제핀 드 보아르네|조세핀]]도 마찬가지. 영국과 무역전쟁 중이던 나폴레옹이 뭐라 말하건 무시했다. '모슬린'이란 명칭은 중동의 도시 '[[모술]]'에서 유래하였다.] [[양모|플란넬(모직물)]]은 맨살에 닿으면 촉감이 안 좋아서 인기가 떨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린넨은 모직물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했기에 오랜 시간동안 유럽 의류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었다. 양을 키우기보다는 아마 재배가 훨씬 경제적이기도 하고, 기계화되기 전까지 양모는 세척하여 양털을 꼬아 실을 만들기까지 품이 매우 많이 들었다. 또한 도시에서 주로 생산하던 모직물 의류는 [[길드]]의 [[독점]]과 과도한 [[규제]] 탓에 비효율적이었던 반면에, 린넨은 주로 시골에서 생산하였기에 길드의 비효율성에서 자유로웠던 점도 컸다. 덕분에 면직물이 대중화되기 전에 유럽인들이 의복 재료로 사용할 법한 린넨, 모직물, 비단, 가죽 중에서 린넨이 가장 저렴하였다. 1미터가량 키가 크게 자라는 아마는 주로 습하고 서늘한 지방에서 잘 자라고 고급품이 나오는데, 유럽에서는 19세기까지 [[네덜란드]]가 주요 린넨 산지였으나 현재는 [[러시아]]에서 대부분을 재배한다. 아마를 뿌리채 수확해서 길고 질긴 줄기 섬유만 뽑아내고 꼬아서 굵은 실로 만들고 그 실로 베를 짜서 린넨을 만든다. [[https://zzikke.tistory.com/1506|#]] [[삼베]]처럼 올이 굵고 질기고, 염색도 아름답게 되거니와 입으면 시원하게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주로 고급 여름 의상이나 식탁 테이블 보, 침대보 등에 널리 쓰인다. 일반 [[옷]]뿐만 아니라 [[속옷]]도 이것으로 주로 제작했다. 현대까지도 천연식물 고급 의상재료로 널리 이용된다. 현대 한국에서도 병원 종사자들이 침대보를 린넨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런 이유이다. 다만 잘 구겨져 주름지며, 삼베와 비슷하게 투박하고 성긴 재질이어서 유연하지 못하고, 얇은 것은 쉽게 찢어지며 염색이 어렵다. 린넨 의류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이유는, 공장에서 돌아가는데도 여전히 짜는 데 손이 많이 가고, 염색이 잘 먹지 않는 편이라 선명하게 색을 내려면 여러 번 염색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염색이 어렵기 때문에 린넨 소재의 제품은 색상 종류가 별로 없다.[* 원예용으로 [[개량]]된 '꽃아마'란 품종이 따로 존재하는데, 이쪽은 단색이었던 원래 아마에 비해 매우 색이 다채롭다. 이중 푸른 품종은 '페레네아마' 라고도 부른다.] 물론 일상생활에 쓸 만한 색들은 나오긴 한다만. [[드뷔시]]의 아마빛 머리의 소녀의 제목에 나온 아마색이 바로 염색되지 않은 린넨 섬유의 색을 의미하며, 연한 갈색 정도의 색이다. === 아마씨 === 한자어로는 '아마인(亞麻仁)'[* 사실상 열매에 가깝거나 상대적으로 큰 씨앗은 자(子)라는 접미사가 붙지만, 껍질이 단단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인(仁)이 접미사로 붙는다. 살구[[씨]]가 행인(杏仁)이라고 불리는 것과 같다.]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Flax seed라고 한다. 볶아서 견과류로서도 먹고 제과 및 제빵에 부재료로도 들어간다. 또한 기름을 짜서 드레싱으로도 먹으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플롭을 만들 때 재료로 쓰기도 한다.] 약재로도 쓴다. 한편 아마씨의 효능으로는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3가 풍부하여[* 오메가 3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과, 오메가 6 지방산인 [[리놀레산]]은 모두 아마씨 기름에 풍부하며 이 화학물질의 이름은 모두 아마를 뜻하는 라틴어 linum에서 나왔다. ] 각종 심혈관계 질환이나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항암물질인 리그난, 식이섬유 또한 많다. [[장판]]의 일종인 리놀륨도 아마씨 기름을 산화시킨 리녹신(linoxyn)에 수지(樹脂), 고무, 코르크 등을 혼합한 것이다. 한편, 생으로 먹으면 높은 농도로 함유된 독성물질인 시안배당체로 인해 위험하므로 꼭 볶거나 물에 담가서 독성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전술했다시피 불포화지방산이 많아서 쉽게 상하므로 가급적 빨리 섭취하거나 밀폐하여 냉장보관하는 게 좋다. 전립선 비대증에도 약물치료만큼이나 놀라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https://nutritionfacts.org/video/prostate-versus-plants/|#]] 또한 아마씨를 물과 섞어 마스크팩을 하면 일시적으로 보톡스를 맞은 듯한 타이트닝 효과가 있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96/0000072130|#]] == 한국어의 부사 == 단정할 수는 없지만 미루어 짐작하거나 생각하여 볼 때 그럴 가능성이 크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개연성이 높을 때 쓰는 말이나, '틀림없이'보다는 확신의 정도가 낮은 말이다. 영어의 maybe와 같은 뜻이다. 확신의 정도로 따지면 어쩌면 < 아마 < 가능성이 높다 < 틀림없이로 구분할 수 있겠다. '아마'의 힘줌말인 '아마도' 란 표현도 자주 쓰인다. == [[아마추어]]의 축약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마추어)] == [[ARMA]] ==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아마라고 읽는 경우도 있다. 보통은 아르마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 [[일본]]의 해녀/잠수부 == 한자로는 海人 또는 海女라고 쓰고 あま(아마)로 읽는다. 물론 후자의 경우 남성 잠수부는 제외된다. 물 속으로 잠수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한국]]의 [[해녀]]에 해당하는 직업이다. [[아마짱]], [[아만츄!]]의 아마가 바로 이 아마를 지칭한다. == 북아일랜드 도시 == [include(틀:영국의 전례 주)] ||||<#000000><:>{{{#white {{{+3 아마 (북아일랜드)}}}}}}|| ||<-3><:> [include(틀:지도, 장소=Armagh)] || == [[일본]]의 지명 == * [[시마네현]] [[오키군]] '''[[아마초]](海士町)''' * [[아이치현]] '''[[아마군]](海部郡)''' * [[아이치현]] '''[[아마시]](あま市)''' == 일본의 인명 == * [[시구레 아마]] * [[아마 시로우]] [[분류:동음이의어]][[분류:말피기아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