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아마조네스(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AmazonessSwordsWoman-JP-Manga-DM-NC.png|width=500]] || 한글판 명칭 ||<-4>'''아마조네스의 검사'''|| || 일어판 명칭 ||<-4>'''アマゾネスの[ruby(剣士, ruby=けんし)]'''|| || 영어판 명칭 ||<-4>'''Amazoness Swords Woma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땅 || 전사족 || 1500 || 1600 || ||<-5>탁월한 검 솜씨를 가진 아마조네스의 전사.|| [[유희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쿠자쿠 마이]]가 [[어둠의 마리크]]와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격투전사와 마찬가지로 [[일반 몬스터]]였으며, [[마리크 이슈타르]]의 [[처형인-마큐라]]를 쓰러뜨리는가 싶었지만 곧바로 [[생명의 줄]]로 부활한 마큐라에게 파괴되고, [[어둠의 게임]]의 패널티로 인해 그 고통이 그대로 마이에게 가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상술한 역할을 [[배신의 여기사]]가 대신하게 되어 해당 듀얼에서 등장하지 않지만, 대신 본선 직전에 등장한 오리지널 캐릭터 존 클로드 매그넘과의 듀얼에서 등장했다. 이후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성능, 디자인 모두 OCG 사양으로 등장하며, [[유희왕 ARC-V]]까지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 덱이 출현할 때마다 빠짐없이 출연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에서는 [[타니아(유희왕)|타니아]]가 참여한 두 번의 듀얼에서 전부 활약했다. 특히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는 무조건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가 가는 효과로 마지막까지 쥬다이를 압박했다. 결국 공격력이 같은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이 마무리했다. [[유희왕 ARC-V]] 107화에서는 [[글로리아 타일러&그레이스 타일러|글로리아 타일러]]가 사용. 아마조네스 여왕과 함께 아마조네스 임프레스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AmazonSwordWoman-DM7-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아마조네스의 검사'''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アマゾネスの[ruby(剣士, ruby=けんし)]'''||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Amazoness Swords Woman'''||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4.] || 흙마족 || 전사족 || 1500 || 1600 || ||<-5>검으로 싸우는 것을 자랑으로 삼는 여전사. 무거운 검이라도, 한 손으로 휘두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 등장. [[일반 몬스터]]로 나온데다가 7에서는 이 능력치에 레벨 5가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アマゾネスの剣士.jpg]] [*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5권의 94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아마조네스의 검사, 일어판 명칭=アマゾネスの剣士(けんし), 영어판 명칭=Amazoness Swords Woman,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대신에 상대가 받는다.)]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의 일원이자 전투 데미지를 상대에게 떠넘기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전투 데미지 반사 계열 카드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몬스터로, 상대의 몬스터가 강력할수록 오히려 이쪽을 공격하기가 껄끄러워지며, [[미스트 바디]], [[안전지대(유희왕)|안전지대]] 등의 카드로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해주는 것도 괜찮다. 공격력이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자폭해서 상대에게 더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므로, 공격력을 500 내리고 2회 공격하게 해 주는 [[가디언(유희왕)|섬광의 쌍검-트라이스]]나, 공격력과 수비력을 500 낮추고 자신만을 공격하게 만드는 [[자력의 반지]]와도 상성이 좋다. [[지옥의 폭주소환]]과 [[알케미 사이클]]과의 연계도 발군으로, 상대 에이스 몬스터의 직접공격 수준의 데미지*3 을 입히고서 이쪽은 카드를 3장 드로우하는 굉장한 상황이 만들어진다. 아마조네스 내에서의 활용도도 제법 높은 편으로, 여왕이나 임프레스를 통해 전투 내성을 줘서 계속 반사 데미지를 노릴 수도 있고 보물을 장착하면 분명 이쪽의 공격력이 더 낮은데 상대만 데미지를 입고 몬스터가 파괴되며 급습이 발동되있다면 한 술 더 떠서 아예 제외해버린다. 콜의 전체 공격 효과와 잘 조합한다면 상대에게 큰 충격을 선사할 수 있다. 이처럼 좋은 활용이 가능한 카드임에도, 2000년대 중반에는 [[보드게임 갤러리]]에서 최강의 카드라는 엉뚱한 발언을 하는 바람에 잉여 취급당하고, 3년이 넘도록 까이는 굴욕을 보였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출시 이후 오랫동안 빌런 취급을 받았다. 라이프가 적은 듀링 특성상 효과데미지도 까다로운 마당에 전투도 껄끄럽게 만든다는 점에서 많은 고문덱에서 채용했으며, 그중에서도 상대 상급몹을 부르게 한 후에 함정카드 비대화를 조합한 원턴 반격킬이 유행했었다. 아마조네스가 티어덱으로 떠오른 이후엔 급습과 함께 뭘 해도 이득인 상황을 자주 만들어내는데 더해서 붉은 눈 융합 출시 이후론 하급 전사족이라는 점으로 인해 흑룡 덱에까지 쓰이면서 더욱 욕을 먹고 있는 중. 결국 2019년 7월 새로운 금지/제한 목록에 준제한으로 올라오면서 검사를 주력으로 쓰던 고문덱들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순수 아마조네스는 반쯤 사장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2-09-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3-007 | '''黒魔導の覇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1-JP116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11-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C7-JP002 | 2005/11 プロモーション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06-0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8-JP013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0-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FC-061 | '''[[매지션의 힘|MAGICIAN'S FORC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1-EN116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1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7-EN007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LD3-EN006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09-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U-EN013 | [[듀얼리스트 팩|LEGENDARY DUELIS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1-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S02-ENC06 | SPEED DUEL STARTER DECK: DUELISTS OF TOMORROW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TP2-EN004 | SPEED DUEL TOURNAMENT PACK 0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3-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GX3-END02 | SPEED DUEL GX: DUELISTS OF SHADOW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4-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FC-KR061 | '''[[매지션의 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1-KR116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7-09-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8-KR013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마조네스(유희왕), version=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