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소비에트 연방 제16대 오데사 군관구 사령관[br]{{{+1 아마자습 하차투로비치 바바자니안}}}[br]Амаза́сп Хачату́рович Бабаджаня́н[* [[아르메니아어]]: Համազասպ Խաչատուրի Բաբաջանյան, [[영어]]: 하마사스프 하차투리 바바자니안 (Hamazasp Khachaturi Babadzhanian)][br]Amazasp Khachaturovich Babajany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마자스프 바바자니얀 원수.jpg|width=100%]]}}} || ||<|2> '''출생''' ||[[1906년]] [[2월 18일]] || ||[[러시아 제국]] 엘리자베트폴 현 차르다클르[* 現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차르다클르] || ||<|2> '''사망''' ||[[1977년]] [[11월 1일]] (향년 71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 ||<|2> '''재임기간''' ||제16대 오데사 군관구 사령관 || ||[[1959년]] [[6월]] ~ [[1967년]] [[9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아르군 아르샤코브나 바바자니얀[* 혼전 성씨는 예가니안] || || '''자녀''' ||슬하 1남 2녀 || ||<|2> 복무 ||[[소비에트 지상군]] || ||[[1925년]] ~ [[1977년]] || || '''최종 계급''' ||[[원수(계급)|기갑 상원수]] {{{-2 (소비에트 지상군)}}} || || '''병과''' ||기갑 || || '''주요 참전''' ||[[겨울전쟁]][br][[바르바로사 작전]][br][[모스크바 공방전]][br][[쿠르스크 전투]][br][[비스와-오데르 대공세]][br][[베를린 공방전]][br][[1956년 헝가리 혁명]] || || '''주요 서훈''' ||[[10월혁명훈장]][br][[소련군 대조국공로훈장|대조국공로훈장]] 3등급[br][[레닌훈장]] (4회)[br][[소비에트 연방 영웅]][br][[수보로프 훈장]] 1등급[br]수보로프 훈장 2등급[br][[적기훈장]] (4회)[br][[적성훈장]] (2회)[br]쿠투조프 훈장 1등급 ||}}}}}}}}}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의 [[군인]]. == 생애 ==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농장 노동자로 일했다. 1925년 9월 [[노농적군]]에 징집됐으며, 먀스니코프 제병협동사령부 학교에 재학했다. 1926년 9월 폐교 때문에 자캅카스 보병사관학교로 전학갔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41년 8월 제127소총사단 제395소총연대장으로서 스몰렌스크 전투에 참전했다. 1942년 6월 초 [[프룬제 군사대학]]에서 속성 교육과정을 수료한 뒤 제3기계화여단장을 역임해 화성 작전에 참전했다. 이후 병력 정비 후 [[쿠르스크 전투]]를 지휘했다. 1944년 4월 26일, [[소련 최고회의]] 법령에 따라 레닌훈장, 소비에트 연방 영웅 훈장을 수여받았다. 1944년 8월 25일, [[비스와-오데르 대공세]]에 참전한 제11근위전차군단장으로 임명됐다. [[독일 국방군]]이 점령한 여러 도시들을 탈환하며 보인 바바자니얀의 용기는 적기훈장을 받기에 충분했다. 그는 이후의 전투에서도 승리를 쟁취했기에 수보로프 훈장 1, 2등급을 수여받았다.[* [[미하일 카투코프]]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을 장담했으나 상부에선 수보로프 훈장으로 대체해버렸다.] [[베를린 공방전]] 당시 제11근위전차군단은 총 103대의 [[전차]]와 [[자주포]], 262문의 야포, 62문의 박격포를 파괴하고 8450명의 [[장교]]와 병사들을 처치 및 포로로 잡았다. 베를린 작전 전까지 [[이오시프 스탈린]]은 바바자니얀의 부대를 약 15번 언급했다고 한다. === 전후 === 1945년 7월, 제11근위전차군단은 제11근위전차사단으로 감축됐으며, 1947년 1월 바바자니얀은 보로실로프 고등사관학교에서 공부한 뒤 1950년 9월 제2근위기계화군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1967년 9월부터 오데사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한 뒤 로디온 말리놉스키 기갑사관학교 총장으로 임명됐다. == 사망 == 1977년 11월 1일 표트르 만드리카 병원에서 사망한 뒤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됐다. == 평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ffd700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영웅 우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영웅들.jpg|width=100%]]}}} || || '''{{{#ffd700 왼쪽부터 [[이반 바그라먄|{{{#ffd700 이반 바그라먄}}}]], [[이반 이사코프|{{{#ffd700 이반 이사코프}}}]], 아마자습 바바자니안, [[세르게이 후댜코프|{{{#ffd700 세르게이 후댜코프}}}]]}}}'''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최고의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원수 4인방 중 하나로 꼽힌다. == 진급 이력 == * 1945년 7월 11일: [[소장(계급)|소장]] * 1953년 8월 3일: [[중장]] * 1956년 12월 28일: [[상장(계급)|상장]] * 1967년 10월 28일: [[대장(계급)|기갑군 대장]] * 1975년 4월 29일: [[원수(계급)|기갑군 원수]] [[분류:1906년 출생]][[분류:1977년 사망]][[분류: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분류:소비에트 연방 영웅]][[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분류:소련 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2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3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4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소련 공산당 25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심부전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