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조정래]]의 대하소설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 1990년 12월 11일 화요일에 [[한국일보]]에서 삽화와 함께 연재되었으며[* 월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연재되었다.] 이후 1994년 전집으로 출판되었다. == 본문 == 구한말~광복 직전까지가 배경이다. 총 12권 4부로 구성되어있다. 한국 내부(전라도 중심)뿐만이 아니라 미주, 만주, 연해주 등(그 당시 조선인이 타의적이던 자의적이던 있던 곳 대부분)의 광범위한 곳을 다룬다. 일단 초반부의 배경이자 주연급 인물들의 고향은 [[전라북도]] [[김제시|김제]]이다. 등장인물로는 [[송수익]], 방영근, 방대근, 지삼출, 이동만, 백종두, 신세호, [[공허]] 등이 있다. 경제학자인 [[이영훈]]은 저서 [[반일종족주의]]에서 이 소설을 두고 ‘광기로 가득 찬 역사왜곡소설’이라고 악평한 바 있다.[[https://sdjs.co.kr:20445/read.php?quarterId=SD200702&num=108|#]] 이에 대해 그동안 이영훈 교수의 주장을 계속 반박해온 허수열 교수는 조정래의 소설 <아리랑>에 대한 이영훈의 비판은 하나하나 뜯어보면 모두 거짓말이라고 이영훈의 주장을 역으로 비판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965393|식민지근대화론 비판 허수열 "이영훈 경제통계 모두 엉터리"]] 본작을 원작으로 만든 창작 뮤지컬이 2015년과 2017년에 각각 [[LG아트센터]]와 [[예술의 전당]]에서 올라왔다. 조정래의 <황홀한 글감옥>에서 밝히기를 1989년 10월에 소설 [[태백산맥(조정래)|태백산맥]]을 탈고한 뒤 본작을 집필하기 위해 [[1990년]] 당시 중국으로 취재를 떠나려고 했는데 당시 소설 태백산맥에 대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한 내사 문제로 [[안기부]]에서 출국을 막아서 문제를 겪었다고 한다.[* 그때는 아직 중국과 수교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자 [[이어령]]이 먼저 조정래에게 전화를 걸어 만나자고 부른 뒤 "중국에 가려고 하느냐"고 물었고, "새 작품 써야 하니까요"라는 대답에 "'''그래, 가야지.'''"라고 짧게 대답하고는 인터폰으로 "조 선생님 빨리 수속해드려요."라고 지시했고, 문화부장관이던 이어령의 '''장관 보증'''으로 중국으로 취재여행을 갈 수 있었다고 한다. 조정래 말로는 취재 여행을 다니면서 독한 술 좋아하는 중국인 친구들과 함께 배갈을 그렇게나 많이 마셨다고 한다. 또한 취재 목적이든 어떤 이유로든 중국에서 외출할 때는 '''반드시 세 명 이상이 동행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는데, 강 하나 넘어가면 [[북한]]이다 보니까 혹시라도 조정래가 술에 취해 발이라도 헛디뎌서 강에 빠졌다가 건너편으로 넘어가버리는 사태가 벌어지면 그게 또 북한 당국의 선전거리 하나 주는 셈이 되므로 각별히 주의해달라고 공무원들이 신신당부를 했다고. [[분류:한국 소설]][[분류:조정래]][[분류:대하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