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아리랑 브라더스[br]Arirang Brothers}}}}}}''' || ||<-2> [[파일:아리랑부라더스.jpg|width=100%]]|| ||<|2> '''{{{#ffffff 그룹명}}}''' || '''아리랑 브라더스''' || || '''Arirang Brothers''' || || '''{{{#ffffff 장르}}}''' || [[포크]], [[컨트리]] || || '''{{{#ffffff 멤버}}}''' ||[[서수남]]^^'''리더'''^^ (번안, 통기타) [[하청일]] (바리톤) 천정팔 (베이스, 스네어 드럼) 석우장 (콘트라베이스, 테너) 박창학[*탈퇴 녹음 과정에서 탈퇴] 최용삼[*탈퇴]|| || '''{{{#ffffff 활동 기간}}}''' || [[1964년]] ~ [[1965년]] || || '''{{{#ffffff 데뷔}}}''' || 1964년 <우리 애인 미스 얌체> || || '''{{{#ffffff 소속사}}}''' || - || || '''{{{#ffffff 레이블}}}''' || LA SCALA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4년]]에 데뷔한 [[포크 음악|포크]] 그룹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통기타 음반인 <우리 애인 미스 얌체>를 발매했으며, 동요로 유명한 <[[동물농장#s-1.1|동물농장]]>을 최초로 불렀고[* 해리 벨라폰테의 의 번안곡이다.], 최초의 포크송 창작곡인 <상팔자>를 불렀다. 70년대에 포크송을 본격적으로 유행시켜 흔히 한국 포크송의 대부로 불리는 [[한대수]]는 1968년부터 활동을 시작했고, 세시봉 트리오는 1967년 말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니, 포크송이 유행하기 전부터 선구적인 활동을 한 셈이다. == 활동 == [[1962년]] <5ㆍ16 군사혁명 1주년기념 콩쿨대회>에 출전하였던 [[한양대학교]] 학생 [[서수남]], [[중앙대학교]] 학생 하청일, 대한합창단원 박창학, [[서울대학교]] 음대생 최용삼[* 현 [[롯데칠성음료]]의 전신인 동방청량음료의 사장의 아들이다. 네 명은 최용삼의 집을 아지트 삼아 노래 연습을 했다고 한다.]이 결성한 4인조 남성 보컬 그룹에서 기원한다. 하청일의 친구였던 녹음보조기사 이강의 추천으로, 그의 친형이었던 녹음기사 이청은 새로 창립하는 음반사 LA SCALA 레코드의 첫 앨범으로 그들을 데뷔시키기로 한다. 이청은 한국에서 한 번도 시도된 적 없는 장르로 음반을 내고자 했는데, 그들이 하모니카와 기타로 구사하는 [[포크 음악]]은 그의 목표에 딱 맞았던 것이다. 녹음 과정에서 개인 사정으로 인해 박창학과 최용삼이 탈퇴하고, 성악가인 석우장과 천정팔을 영입하여 첫 앨범인 <우리 애인 미스 얌체>를 발매하게 된다. 그들은 시민회관의 <프린스 쇼> 등 각종 쇼에 출연하며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고, 라디오에도 수 차례 소개되며 이름을 알려 갔다. 그러나 1965년 <워커힐 쇼>[* 1963년 루이 암스트롱의 내한 공연을 시작으로 2012년까지 [[그랜드 워커힐 서울]]의 '워커힐 시어터'에서 개최됐던 공연.] 출연을 위한 오디션에서, 187cm의 장신이었던 [[서수남]]을 못마땅하게 생각한 쇼 매니저가 '키 큰 친구만 빼면 출연시켜 주겠다'는 비밀 제의를 하자, 그것에 동의한 다른 멤버들이 그 몰래 연습을 하는 모습을 [[서수남]]이 보게 되었고, 그것에 실망한 [[서수남]]의 탈퇴로 4인조는 해체되었다. 아리랑 브라더스가 이후에 활동하였는지는 불명이지만 이후 활동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실상 이 시점에 해체되었다 봐야 할 것이다. 더군다나, [[서수남]]은 그에게 노래를 배우던 현혜정[* 원로 가수 [[현인]]의 딸이다.]과 결혼하여 함께 음반도 내었으나, 둘의 결혼이 한달을 넘기지 못하고 파국을 맞이하자[* 서수남은 회고에서 '현혜정은 일본에 가기 위해 나를 이용했을 뿐이었다. 홧김에 목숨같은 포크, 컨트리 음반과 자료들을 모두 불태워 버렸을 만큼 악몽같은 세월이었다.' 라고 주장하였다.] 홧김에 그 동안의 음반을 불태워버렸고, 이 때 아리랑 브라더스의 음반과 자료 역시 불태워져 그 활동 기록을 찾기 힘들어졌다. 이 때문에 [[포크 음악]]의 선두주자적 역할을 한 그룹임에도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져 버린 것이다. == 디스코그라피 == [Youtube(c9DkJpKuwGg)] * '''음반''' * '''우리 애인 미스 얌체 | 동물농장 (1964)'''[* 최초에는 <우리 애인 미스 얌체>를 타이틀로 발매했으나, 너무 실험적인 장르였던 탓에 그렇게 히트를 치지 못했고, 이후에 발매한 버전에서는 <동물농장>으로 표지가 바뀌어 발매되었다.] 상기한 사건에 의해 아리랑 브라더스의 유일한 음반이었던 <우리 애인 미스 얌체>는 대부분이 불타버렸고, 애초에 초판 200장 재판 300장 도합 500장밖에 발매되지 않은 음반이라 그 존재가 확인조차 되지 않다가 서울 은평구의 어느 고물상에서 발견되어 세상의 빛을 다시 볼 수 있었다. 이후 2020년 2월 27일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세상에 이런 일이]]에 출연한 LP 수집가에게서도 원본이 확인되었다. 이 때 멤버였던 [[서수남]]이 출연하여 원본을 함께 확인했다.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3662|가수 서수남, 22살 당시 앳된 얼굴 "나도 없는 56년 전 앨범"]] * '''수록곡''' A01 우리 애인 미스 얌체(Judy Judy Judy) A02 푸른 들(Green Fields) A03 도미니끄(Dominique) A04 주고픈 마음(Tell Laulla I Love Her) A05 일터로 가세(Michael) A06 웃으며 사세([[Hound Dog]]) B01 안녕히 가세요(I Understand) B02 마지막 키스(One Last Kiss) B03 사랑하는 마음(Before This Day End) B04 [[동물농장]](I Do Adore Her) B05 사랑해주세요(I Need Your Love) B06 내 고향 양지의 섬(Island In the Sun) B07 상팔자[* 앨범의 유일한 창작곡으로, 한국 최초의 포크송 창작곡으로 추정되는 곡이다.] == 여담 == [[서수남]]은 이후 멤버였던 [[하청일]]과 듀오를 결성하여 70년대를 풍미한 '서수남과 하청일' 콤비로 활동한다. 이 때 아리랑 브라더스 시절의 히트곡 [[동물농장]]을 리메이크하여 노래가 더욱 알려지는 계기가 된다. [[분류:한국의 음악 그룹]][[분류:아리랑 브라더스]][[분류:포크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