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천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아르카나 포스)]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ArcanaForceXXITheWorld-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아르카나 포스 ⅩⅩⅠ-세계, 일어판명칭=アルカナフォースXXI(トゥエンティーワン)THE WORLD(ザ・ワールド), 영어판명칭=Arcana Force XXI - The World, 속성=빛, 종족=천사족, 레벨=8, 공격력=3100, 수비력=3100, 효과1=소환에 성공했을 때\, 코인 토스를 1회 실행한다. 앞면일 경우 정위치의 효과를\, 뒷면일 경우 역위치의 효과를 이 카드는 얻는다., 효과2=●정위치 : 자신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2장을 보내는 것으로 다음 상대 턴을 스킵한다., 효과3=●역위치 : 상대의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상대는 상대 묘지의 맨 위 카드를 패에 넣는다.)] >'''"하하하하하! 이 카드로 네 세계는 닫힐 것이다! 대 아르카나의 마지막 넘버! 아르카나 포스 XXI-더 월드!!"''' >---- >[[사이오(유희왕 듀얼링크스)|사이오]],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 [[사이오 타쿠마]]가 사용한 [[아르카나 포스]] 몬스터 중 하나. [[타로 카드]] 21번 '세계'를 상징하는 카드로, [[아르카나 포스 EX-빛의 통치자|아르카나 포스 EX]]가 탄생하기 전까지는 [[아르카나 포스]]의 마지막 넘버에 해당하는 최강 카드였다고 한다. 작중에서는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아르카나 포스#아르카나 포스 XVIII-더 문|아르카나 포스 XVIII-더 문]]의 효과로 소환한 문 토큰과 [[아르카나 포스#아르카나 포스 VII-더 채리엇|아르카나 포스 VII-더 채리엇]]을 제물로 삼아 소환됐으며, 사이오의 운명력으로 당연히 정위치의 효과를 얻었다. 처음으로 한 직접 공격이 에드의 [[데스티니 히어로#s-6.9|D-포츈]]으로 막히자, 자기 턴의 엔드 페이즈에 [[아르카나 포스#아르카나 포스 IV-디 엠페러|디 엠페러]]와 [[아르카나 포스#아르카나 포스 XVIII-더 문|더 문]]을 묘지로 보낸 뒤 효과를 발동해 에드의 턴을 스킵하고 다시 자신의 턴을 진행하여 필드가 빈 에드를 직접 공격해 3100의 데미지를 입혔으며, 이후 에드의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에게 흡수당했다. 이후 [[유우키 쥬다이]]와의 마지막 결전 때도 사용, 정위치의 효과를 얻은 [[아르카나 포스#아르카나 포스 VI-더 러버즈|아르카나 포스 VI-더 러버즈]]를 제물로 소환되었으며, [[아르카나 포스#빛의 결계|빛의 결계]]의 효과로 정위치 효과를 얻었지만, 턴 스킵 효과는 사용되지 못한 채 마지막에 [[히어로 역습]]에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의 쥬다이와의 2차전 듀얼 중에는 어리석은 자의 파종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는 것으로 나왔다. 아르카나 포스 EX 넘버에 밀린 감이 있긴 하지만 꽤 강한 모습을 보여줬으며, 적어도 전투로 터지진 않았다. 공격명은 '오버 카타스트로프(オーバー・カタストロフ / Over Catastrophe).' 밑에서부터 에너지를 모아 [[눈에서 빔]]을 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1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아르카나 포스 ⅩⅩⅠ-더 월드, 일어판명칭=アルカナフォースXXI(トゥエンティーワン)THE WORLD(ザ・ワールド), 영어판명칭=Arcana Force XXI - The World, 속성=빛, 종족=천사족, 레벨=8, 공격력=3100, 수비력=3100, 효과1=이 카드가 일반 소환/반전 소환/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코인 토스를 1회 실행하고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2=●앞 : 자신의 엔드 페이즈시에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2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다음 상대 턴을 스킵한다., 효과3=●뒤 : 상대의 드로우 페이즈시에 상대 묘지의 맨 위 카드 1장을 상대의 패에 넣는다.)] 소환 제약이 있는 EX-지배자를 제외하면, 소생이 가능한 아르카나 포스 중 최강의 카드다. 그냥 멍하니 서 있는 일러스트인 원작과는 달리, OCG에선 위에서 내려다보는 구도로 바뀌어 포스가 넘친다. 앞면은 드로우 페이즈를 포함해 '''상대 턴 전체를 스킵하는 [[시간 정지]] 효과.''' 앞면이 나오는 순간 상대 턴 스킵을 선언해주자. [[유희왕/무한 루프|엔드리스 마이 턴]] 덱이 있을 정도로, 콤보만 제대로 먹여주면 계속 턴을 스킵해 듀얼을 순식간에 정리시킬 수 있다. 당연 제물준비를 못해 월드 포함 2장인 상태면 엔드페이즈에 무조건 더 월드도 함께 제물행이다. 뒷면이 나오면 드로우 페이즈에 상대가 카드를 2장 드로우하는 것과 다름없는 효과가 되어 매우 치명적이다. 뒷면이 나왔다면 릴리스하거나, 특수 소환 소재로 써먹거나, [[어드밴스 드로우]] 등으로 빨리 치워 버리는 게 좋다. 보통 더 월드를 사용하는 덱이라면 빛의 결계를 사용할테니 이런 상황은 생길 일은 거의 없겠지만 주의해야한다. 소환 자체도 매우 간단하다. 레벨 8이라 [[트레이드 인]]에 대응되며 소환 제약이 전혀 없어서 어떻게든 묘지로 보낸 뒤 [[죽은 자의 소생]]이나 [[아테나(유희왕)|아테나]], [[타임리스의 듀가레스]] 등으로 소생시키거나, [[쇄룡사-스컬데드]]로 패에서 꺼내거나, 어드밴스 소환으로 정직하게 꺼내도 된다. 공격력 / 수비력은 [[푸른 눈의 백룡]]의 공격력보다도 높은 3100이라 전투력도 나름 뛰어나다. 의외로 서치법도 존재한다. 셀레스티얼나이트 로드파샤스,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 [[사이버 엔젤-벤텐-]]의 효과로 서치가 가능하다. 과거에는 더 월드의 무한 루프 혹은 턴 스킵 후 결정타를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워 예능이 아니라 예술의 영역이었지만, 현재에는 원핸드로 더 월드의 무한루프가 만들어지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필요 파츠가 많고 밑준비가 어려워 예능의 영역이라는 점은 여전하다. 더 월드를 쓰기 위해서는 3가지가 필요하다. '''더 월드 소환''', '''빛의 결계 확보''', '''더 월드의 코스트용 몬스터''' 이 3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한다. 전개 능력이 좋은 테마로 더 월드를 앞면이 나올때까지 3~4번 소생하는 황당한 전략도 연구된 적 있지만 전개력이 충분하다면 빛의 결계를 서치하는 편이 훨씬 낫다. 현재에는 필드 마법을 쉽게 퍼오는 [[고대 요정 드래곤]]도 석방되었고, OCG된 아르카나 포스 XV-더 데블이 서치 효과를 받아서 손쉽게 빛의 결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킬 플랜의 경우 더 월드의 타점이 3100이니 5000 정도의 데미지를 추가로 줄 수 있다면 무한 루프까지 가지 않아도 된다. 대표적으로 [[액세스코드 토커]] 같은 카드로 피니시를 보강할 수 있으니 무한 루프에 목숨을 걸 필요가 없다. 후속 자원이 남았다면 1턴만 스킵하더라도 사실상 승리하는 셈이니 효과적인 루트를 완성하는게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시로 [[https://m.dcinside.com/board/masterduel/2637948?recommend=|디포머 텔레폰 2마리로 더 월드를 하는 방법이 있다.]] 디포머 텔레폰과 링크리보로 무한히 소재를 충당할 수 있는 루트다. [[사이버 엔젤]] [[드라이트론]]에서는 벤텐을 이용해 더 데블과 더 월드를 서치할 수 있어서 일소권만 남겨두면 손쉽게 턴스킵이 가능하다. 변종 [[챠키스페]]에서는 [[구원의 가교]]를 묻은 뒤 가교의 효과로 빛의 결계를 서치하고 남아도는 소환권을 이용해 더 월드를 사용하는 플랜이 있다. 효과는 상대의 턴 자체를 스킵하는 것으로 자신의 엔드 페이즈가 끝나면 바로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가 된다. 매치 시간이 정해져 있는 공식 대회에서, 무한 루프를 활용해 시간을 다 써버린 뒤 공격해, 1:0으로 매치를 끝내 이기는 월드타임오버데스 덱이 입상한 전력이 있다. 엑스트라 턴 룰을 악용한 방식 중 하나다.[* 여기에 대한 대응책은 '''판을 엎어서''' 반칙패로 듀얼 1차전을 내준 뒤 사이드 덱을 교체해 2, 3차전을 노리는 것.] 오프라인 게임에서 코인 토스 뒷면 효과로 게임을 이기는 방법 또한 존재한다. 더 월드와 관련된 유사 깊은 농담이기도 한 이 플랜은 상대가 묘지를 셔플하거나 임의적으로 묘지의 순번을 바꾼 경우 묘지 가장 위쪽의 카드를 조작한 상태이기에 반칙이 된다는 점을 이용해, 상대가 묘지를 조작하는 반칙을 저질렀으니 저지에게 [[몰수패]]를 주장하고,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몰수패로 승리하는 식이다.[* 이는 묘지의 카드 순서와 관련있는 효과를 가진 카진 카드([[퀴즈(유희왕)|퀴즈]] 등등)라면 전부 사용 가능한 방법이다.] 다만 상대의 몰수패를 노린다는 [[승리지상주의]] 전략 내지는 [[어뷰징]] 행위는 커뮤니티에서 [[빌런]] 취급을 당할테니 굳이 시도하진 말자. ||수록 시리즈 || ||<(> 2008-02-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ODT-JP016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05-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E02-JP118 | DUELIST EDITION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8-05-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DT-EN016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8-06-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DT-KR016 | '''[[파괴의 빛]]'''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기타 === [youtube(RVClqPiUmSc)] 모티브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더 월드(죠죠의 기묘한 모험)|더 월드]]로 추정된다. 둘 다 이름이 똑같은데다, 타로 카드 중 가장 마지막 번호인 세계를 상징하는 것도 그렇고, '''턴을 스킵'''하여 '''상대의 상황을 정지 시키고, 자신은 그 상황 속에서 여유롭게 상대에게 공격을 가할 수 있는''' 정위치의 효과가 딱 더 월드의 스탠드 능력인 [[시간정지]]와 판박이다. 원작자인 [[타카하시 카즈키]]가 죠죠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직접적으로 오마쥬를 했다고도 볼 수 있다.[* 코야스는 죠죠 TVA 전부터 디오의 가상 캐스팅 성우로 항상 거론 되었기에 타카하시나 유희왕 제작진들도 이를 알고 있었을 확률이 있다.] 이후 사이오의 성우인 [[코야스 타케히토]]가 정말로 [[DIO]]를 담당하게 되면서 성우개그로 컬트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아예 작정하고 노린 건지, 해당 카드를 소환하면 진짜로 더 월드를 외칠 때의 그 발성과 비슷한 톤으로 대사를 외친다.[* 원작에서는 평범한 톤으로 외쳤다.] == 효과 관련 카드 == ===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 === === [[여섯 무사#인의 여섯 무|인의 여섯 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