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르메니아 관련 문서)]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아르메니아계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 또는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다. == 역사 == === 고대~근세 === [[동로마 제국]]의 방계 국가 중 하나인 [[크림 반도]]의 [[테오도로 공국]]에는 상당수의 [[아르메니아인]]들이 정착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의 규모가 얼마나 컸던지 [[중세]] [[제노바 공화국]] 상인들은 크림 반도를 '바다의 아르메니아(Armenia Maritima)'라고 부르곤 했다. 제노바와의 무역으로 세력을 키운 아르메니아 상인 공동체는 [[동유럽]]을 넘어 [[중부유럽]] 각지로 진출하여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일대를 넘어 [[브뤼셀]]과 [[뉘른베르크]]를 오가는 육로 무역 대상단을 운영할 정도였다. [[1475년]] 테오도로 공국이 멸망한 이후 크림 반도의 아르메니아인들 상당수는 [[갈리치아]] 지역으로 이동하였지만 크림 반도에 잔류한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잔류를 선택한 아르메니아인들은 [[크림 칸국]]의 [[그리스인]], [[유대인]]들이 [[크림 타타르어]]를 사용하며 [[우룸인]], [[카라임 유대인]] 등이 된 것과 마찬가지로 크림 타타르어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렇게 크림 타타르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인들은 근세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아르메니아인들에게 세금 특권 등을 제시하며 이주를 권장하면서 주로 [[르비우|리비우]]를 중심으로 이주정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아르메니아어]]는 구사하지 못하고 크림 타타르어를 모어로 구사했었다고 한다. 리비우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아르메니아어를 [[라틴어]]로 라틴어에서 다시 [[폴란드어]]로 폴란드어에서 다시 크림 타타르어로 번역을 거쳐서야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6세기]]부터는 리비우시 내에 아르메니아어 학교가 건설되어 아르메니아인 상인들의 자녀들을 교육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1616년]], 역사상 최초의 아르메니아어 서적 인쇄소가 리비우에 설치되었다고 한다. 리비우의 아르메니아어 인쇄소는 아르메니아어 외에도 아르메니아식 크림 타타르어 방언으로 된 기도서도 인쇄하였다고 한다. 리비우와 포돌리아의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체적인 도서관을 갖추고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을 누렸다고 한다. 리비우에 정착한 아르메니아인들은 크림 반도-리비우-[[실레시아]]-[[드레스덴]]/[[뉘른베르크]]-[[암스테르담]]을 잇는 내륙 교역로에서 통상을 하면서 상당한 부를 축적하였다. || [[파일:Armenian Catholic Church in Lviv, Ukraine.jpg|width=100%]] || || 우크라이나 서부 [[갈리치아]] [[르비우|리비우]]시에 위치한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내부, 내부구조가 마치 캅카스에서 일반적인 [[모스크]]를 개축한 형태의 성당 건물과 유사하다. || === 근현대 === [[18세기]] 말 크림 반도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이후 크림 반도에 거주하던 아르메니아인들은 더 이상 크림 타타르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고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으로 흡수되었다. 상당수의 아르메니아인들은 크림 반도를 떠나 [[크라스노다르]],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재정착하였고 이들은 다시 [[발트해]] 연안의 항구 도시 [[리가]]를 중심으로 공동체를 만들면서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에 흡수된다. 크림 반도와 암스테르담을 잇는 아르메니아 상업 네트워크는 [[철도]]의 개발 이후 경쟁력을 상실했지만 러시아 제국에서는 아르메니아인 상인들이 큰 부를 쌓기 시작한 시점이었다. [[20세기]] 초 우크라이나 서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에 속했었던 갈리치아 지역[* 상술한 리비우가 갈리치아 지역의 중심 도시이다.]에는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 가톨릭]] 신자가 5,500여 명이 남아있었다. 아르메니아 가톨릭의 리비우 주교구는 [[교황청]] 직속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존속했으나, [[소련]]에서 [[폴란드]] 문화 그 중에서도 특히 [[동방 가톨릭]]을 일소하는 정책을[* 근현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정교회를 믿는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농노들에게 동방 가톨릭으로 개종하도록 강요한 적이 있었는데, 아르메니아 가톨릭은 이들과 전례나 기원이 달랐음에도 같은 종파로 몰려 심각한 탄압을 받았다.] 벌여 심각한 탄압을 받았다고 한다. [[1991년]]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는 우크라이나 내에서 공식적으로 복권되긴 했으나 소련 시절 사실상 뿌리가 뽑혔던 상황에다 신자들 상당수가 [[미국]]이나 [[프랑스]]로 이민한 상황이라 우크라이나 내 교세 복구는 요원해보인다. == 현재 ==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제국]]과 그 후신 [[소련]]의 영토가 되는 과정에서 아르메니아계 우크라이나인 및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사이의 경계가 상당히 희미해졌다. 오늘날 우크라이나 내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들은 바로 [[러시아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기도 한 [[도네츠크]], [[하르키우]] 등등의 지역이며, 우크라이나 내 아르메니아인들은 대부분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신자이며 전통적인 아르메니아 가톨릭 신도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경제 상황이 비교적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르메니아 본토 역시 경제적으로 빈곤한데다, 지하 경제까지 포함하면 우크라이나 내 상황이 좀 더 살만했던 이유로 상당수의 아르메니아인들이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로 이주한 상황이라고 한다. [[2001년]] 통계 기준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 인구는 99,894명에 달한다. == 유명인 == * [[율리야 티모셴코]] == 외부 링크 == * [[https://ukrainer.net/armenians-of-ukraine/|아르메니아 내 우크라이나인 현황 및 사진(영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르메니아인, version=273, paragraph=5.2)] [[분류:아르메니아계 우크라이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