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내몽골 자치구]][[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네이멍구 자치구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내몽골 자치구|{{{#000,#ddd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000,#ddd 후룬베이얼시}}}]]의 [[기|{{{#000,#ddd 기}}}]]'''}}} || ||<-3> {{{#ff0 '''{{{+1 [ruby(阿榮, ruby=Āróng)][ruby(旗, ruby=Qí)]}}} | ᠠᠷᠤᠨ ᠬᠣᠰᠢᠭᠤ'''[br]아룽기 | Arun Banne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후룬베이얼시 아룽기,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인민정부 소재지}}}''' || [[후룬베이얼시]] 아룽기 진흥로[br]呼伦贝尔市阿榮旗振兴路 || ||<-2> '''{{{#ffff00 지역}}}''' || [[내몽골 자치구]] || ||<-2> '''{{{#ffff00 면적}}}''' || 13,64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8진 4민족향 1임업 및 초원국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316,772명 ^^(2020)^^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88.87% | [[만주족]] 5.32%[br][[몽골족]] 3.36% | [[어웡키족]] 0.85%[br][[다우르족]] 0.71% | [[조선족]] 0.49%[br] 기타 0.40%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3.22명/km² || ||<-2> '''{{{#ffff00 서기}}}''' || 왕강(王刚) || ||<-2> '''{{{#ffff00 기장}}}''' || 종저(宗哲) || ||<-2> '''{{{#ffff00 차량번호}}}''' || '''蒙E'''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15'''0721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470''' || ||<-2> '''{{{#ffff00 우편번호}}}''' || '''1627'''5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NM''' ||}}}}}}}}} || ||<-3> [[http://www.arq.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산하의 [[기]]이다. [[후룬베이얼시]]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야커스시, 자란툰시, 오로촌 자치기, 모린다와 다우르족 자치기와 접하고 있다. 면적은 13,641km²이며 [[전라남도]]와 비슷하며 인구는 316,772명[* 2020년 기준]으로 [[전주시]] [[덕진구]]와 비슷하다. 민족구성은 [[2022년]] 기준 [[한족]]이 87.66% 다음으로 [[만주족]] 6.46%, [[몽골족]] 3.27%, [[어웡키족]] 0.95%, [[다우르족]] 0.80%, [[조선족]] 0.56% 등이다. == 하위 행정구역 == === 진 === * 나지 진([[중국어 간체]]:那吉镇, [[한어병음]]:Nà jí zhèn, [[몽골어]]:ᠨᠠᠭᠢ) * 류허 진([[중국어 간체]]:六合镇, [[한어병음]]:Liùhé zhèn, [[몽골어]]:ᠯᠶᠤᠺᠾᠡ) * 야둥 진([[중국어 간체]]:亚东镇, [[한어병음]]:Yà dōng zhèn, [[몽골어]]:ᠶᠠᠳᠤᠨ) * 후얼치 진([[중국어 간체]]:霍尔奇镇, [[한어병음]]:Huò ěr qí zhèn, [[몽골어]]:ᠺᠾᠣᠯᠼᠾ) * 샹양위 진([[중국어 간체]]:向阳峪镇, [[한어병음]]:Xiàngyáng yù zhèn, [[몽골어]]:ᠰᠶᠠᠨᠶᠠᠨᠶᠤ) * 싼차허 진([[중국어 간체]]:三岔河镇, [[한어병음]]:Sān chà hé zhèn, [[몽골어]]:ᠰᠠᠨᠼᠾᠠᠺᠾᠶᠡ) * 푸싱 진([[중국어 간체]]:复兴镇, [[한어병음]]:Fùxīng zhèn, [[몽골어]]:ᠹᠤᠰᠢᠨ) * 싱안진([[중국어 간체]]:兴安镇, [[한어병음]]:Xìng'ān zhèn, [[몽골어]]:ᠰᠢᠨᠠᠨᠢ) === 민족향 === * 데리치얼 어원커족 향([[중국어 간체]]:得力其尔鄂温克族乡, [[한어병음]]:Délì qí ěr èwēnkè zú xiāng, [[몽골어]]:ᠳᠶᠡᠷᠢᠺᠾᠡᠯ) * 차바치 어원커족 향([[중국어 간체]]:查巴奇鄂温克族乡, [[한어병음]]:Chá bā qí èwēnkè zú xiāng, [[몽골어]]:ᠼᠾᠠᠪᠠᠼᠾ) * 인허 다우얼 어원커 민족향([[중국어 간체]]:音河达斡尔鄂温克民族乡, [[한어병음]]:Yīn hé dáwò'ěr èwēnkè mínzú xiāng, [[몽골어]]:ᠢᠨᠺᠾᠡ) * 신파 조선족 향([[중국어 간체]]:新发朝鲜族乡, [[한어병음]]:Xīn fā cháoxiǎn zú xiāng, [[몽골어]]:ᠰᠢᠨᠹᠠ, [[중국조선어]]:신발조선족향) === 임업 및 초원국 === * 아룽기 임업 및 초원국([[중국어 간체]]:阿荣旗林业和草原局, [[한어병음]]:Āróngqí línyè hé cǎoyuán jú, [[몽골어]]:ᠪᠠᠨᠨᠶᠡᠷ ᠣᠢᠨ ᠠᠵ ᠠᠺᠾᠤᠢ ᠪᠡᠯᠼᠾᠡᠡᠷᠢᠢᠨ ᠲᠣᠸᠼᠾᠣᠣᠨᠶ ᠡᠷᠭᠡᠨ ᠲᠣᠢᠷᠣᠨᠳ) == 관련 문서 == * [[내몽골 자치구]] * [[후룬베이얼시]] == 기타 == * 소수이지만 [[조선족]]도 거주하기 때문에 [[조선족]] 소학교가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