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베네벤토 공작)] ||<-3><:>{{{+1 '''Arechis I''' }}}|| ||<-2> '''생몰년도''' ||<(> 미상 ~ [[641년]]경 || ||<-2> '''출생지''' ||<(> [[프리울리]] || ||<-2> '''사망지''' ||<(> [[베네벤토 공국]] [[베네벤토]] || ||<-2> '''재위 기간''' ||591년경 - 641년경 || [목차] == 개요 == [[베네벤토 공국]] 2대 공작. == 행적 == <[[랑고바르드 왕국]]의 역사>를 집필한 8세기 [[수도자]]이자 역사가인 파울 부제에 따르면, [[프리울리]] 출신이며 전임 베네벤토 공작 [[조토(베네벤토)|조토]]와 가까운 인척이라고 한다. 591년 조토가 사망한 뒤 랑고바르드 국왕 [[아길루프]]에 의해 베네벤토 공국의 새 공작이 되었다. 594년 테라 디 나보로(Terra di Lavoro)와 [[바실리카타]], [[칼라브리아]] 지역의 [[카푸아]]를 공략하고 595년 베나프로(Venafro)를 정복했으며, 여세를 이어가 [[나폴리]]를 포위했지만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파견한 트리뷴 콘스탄티노에게 패배해 공략에 실패했다. 596년 놀라를 공략하고 [[아말피]]를 위협했으며, [[크로토네]]를 한 때 공략했지만 동로마 함대의 반격으로 패배했다. 5986년 [[라벤나 총독부]] 총독 [[칼리니쿠스]]와 아길루프가 휴전 협약을 맺었을 때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601년 휴전이 파기된 후 공세를 지속해 620년 무렵에 [[살레르노]]를 장악했다. 이후 파비아의 랑고바르드 왕실이 권력다툼에 여념이 없느라 베네벤토에 신경쓰지 못하는 틈을 타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고 로마 교황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하지만 636년 집권한 [[로타리(랑고바르드)|로타리]]가 자신에게 거역한 공작들을 모조리 처단하여 어느 공작도 왕의 권위에 도전할 엄두를 내지 못하게 하자, 그의 권위를 인정하고 아들 [[아이울프 1세]]를 파도바 궁정에 인질로 보냈다. 641년경 사망했고, 아들 아이울프 1세가 새 공작에 취임했다. [[분류:베네벤토 공작]][[분류:64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