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아랍 에미리트)] [include(틀:서아시아의 경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bu_Dhabi_Skyline_from_Marina.jpg]] [[파일:부르즈 칼리파 두바이.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cationUnitedArabEmirates.svg.png]] ||[[무디스/국가별 신용등급|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a2''' ||[[2011년]], '''3등급'''[* [[http://www.ameinfo.com/292728.html][*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credit_rating#cite_ref-moodys-list_18-71|참조]].] || [목차] == 개요 == [[아랍에미리트]]는 산유국으로 [[서아시아]], [[중동]]의 부국 중 하나이다. 또한 아랍에미리트의 [[무디스]] 국가신용등급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2019년]] 기준 ''''Aa2''''[* [[http://www.ameinfo.com/292728.html][*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credit_rating#cite_ref-moodys-list_18-71|참조]].] 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2019년 기준의 무디스 국가신용등급과 같은 등급이다. 아랍에미리트는 전형적인 [[산유국]]으로 수출의 대부분을 석유에 의지한다. 세계 6위의 [[석유]] 매장량을 자랑하며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를 이웃으로 두고 있다. 그리고 아랍 국가가 그렇듯 돈이 상당히 많다. 하지만 그 돈의 절대다수는 유일한 산유국인 아부다비에서 나온다. 원유 매장량은 981억 배럴이다. 이것은 전세계 매장량의 11%를 차지한다고 한다. 아랍에미리트의 각 토후국들은 석유 수출 등으로 축적한 자본을 기반으로 공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자본이 투입되는 부분은 주로 제조업, 기간산업, 무역, 관광, 서비스 산업 등이다. 특히나 [[두바이]]가 관광, 서비스 산업에 많이 투자하며, [[아부다비]]에서는 제철, 시멘트 산업 등을 육성하고 있고 자체 국부펀드인 아부다비투자청을 통해 막대한 오일머니를 운용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1985년]] 중동 최초의 자유무역지대를 만든다. 그것은 바로 '''제벨알리(Jebel Ali)'''항을 기반으로 한 제벨 알리 자유무역지대다. [[1999년]], 아랍에미리트는 제벨 알리 자유무역지대를 중심으로 1,500여 개 업체를 유치하는데 성공한다. 2015년부터 아랍에미리트도 저유가로 인한 경제불황이 시작되어 정부의 재정적자가 심해지면서 휘발유 보조금을 폐지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750053|#]] 2017년에는 재정난으로 인해 그동안 해왔던 무세금 정책을 포기하고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했다.[[http://www.ekn.kr/news/article.html?no=289258|#]] 사회적으로 볼때 현지 시민권자들은 매우 부유하게 살고있고, 외국인이라도 전문기술자나 사무직 근무자, 군인, 교육인들은 잘사는 사람이 많지만, 건설업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일용직 노동자 가운데서 상당수가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나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예멘, 이집트 등 빈부격차가 크거나 1인당 GDP가 극히 낮은 국가에서 온 경우에는 매달 20~40만원 정도의 돈을 받는데 문제는 이 돈에서 본토에 송금할 돈을 빼면 그냥 기본끼니나 챙겨먹을 수준만 남기때문에 쇼핑같은것은 꿈꾸기도 힘들고 회사에서 외노자를 고용할때 임금을 얼마나 짜게 주냐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숙소환경도 열악하기가 짝이 없다. 일용직을 일하는 사람 대부분이 열대지방에서 오고 위낙 경제적으로 열악하다보니까 겨우 버티는 수준이다. 그러다보니 도중에 도망가는것을 막기위해 감시를 벌이고 여권까지 압수하는것이 다반사이다. 다만 남아시아나 이집트, 예멘, 시리아, 코모로같은 아랍권 가난한 나라에서는 실업률이 높은데다가 이 정도의 임금도 꽤 높은 축에 드는지라 아랍에미리트로 오는 사람이 많다. 아랍에미리트가 외국인 기업 소유 관련 제한을 대폭 완화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15&aid=0004455355|#]] 2021년부로 아랍에미리트의 부동산 시장이 오랜 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277&aid=0004929478|#]] === [[GDP]] 구조 === 원유 등의 수출이 GDP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브루나이, 쿠웨이트 등의 다른 산유국보다는 훨씬 양호한 GDP 구조를 가지고 있다.] == [[무역]] 구조 == || [[파일:2021년 아랍에미리트 수출 HS17_4 OEC.png|width=100%]] || ||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아랍에미리트의 수출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are/all/show/2021/|#]] 위 트리맵은 2021년 아랍에미리트 수출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아랍에미리트는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2E97FF 기계류(Machines)}}}, {{{#AA7329 금속류(Metals)}}},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A0D447 식품류(Foodstuff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9C9FB2 기타(Miscellaneou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EDB73E 동·식물성 농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9CF2CF 무기류(Weapons)}}} 순으로 많이 수출했다. 아랍에미리트는 2021년 306억 달러를 수출했다. || || [[파일:2021년 아랍에미리트 수입 HS17_4 OEC.png|width=100%]] || ||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아랍에미리트의 수입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are/all/show/2021/|#]] 위 트리맵은 2021년 아랍에미리트 수입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아랍에미리트는 {{{#2E97FF 기계류(Machine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AA7329 금속류(Metals)}}},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A0D447 식품류(Foodstuff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9C9FB2 기타(Miscellaneou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EDB73E 동·식물성 농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9CF2CF 무기류(Weapons)}}},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순으로 많이 수입했다. 아랍에미리트는 2021년 283억 달러를 수입했다. || OEC에 따르면 2021년 아랍에미리트는 306억 달러를 수출하고 283억 달러를 수입, 2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것은 광물제품류, 귀금속류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출의 60.1%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수입한 것은 기계류, 귀금속류, 수송수단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입의 59.0%를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인도]], [[파키스탄]],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이라크]], [[오만]], [[싱가포르]]이다. == 관련 문서 == * [[경제학]] * [[국력]] [[분류:서아시아의 경제]][[분류:아랍에미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