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미라큘러스/등장인물)] ||<-2> '''{{{+1 아드리앙 아타나시우스[* 미들네임 중 다섯 번째 이름이 '안토닌'이라고 한다. 한국 더빙판에서는 프랑스 더빙판을 그대로 가져와 세례명 성 아타나스라고 번역했다. '아타나시우스', '아타나스', '안토닌' 등 다양하게 표기되며 다 같은 말이다.] 아그레스트[* 참고로 어머니의 결혼 전 성은 '그레이엄 드 바닐리'. 마리네뜨와 달리 작중 어머니의 성을 물려받았다는 언급은 없다. 이름에 대한 분석은 본문에 서술.]}}}[br]Adrien Antonin Agreste''' || ||<-2>{{{#!wiki style="margin: -16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rienAgreste432.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tnoir573.png|width=100%]]}}}|| || '''일상에서의 모습''' || '''변신 후 모습''' ||}}}|| || '''성별''' ||[[남성]] || || '''연령''' ||만 14세[br](작중 시점 기준)[* 3D 제작 이전 2D 기준, 펠릭스의 나이가 마리네뜨보다 연상이었으나 , 3D 기준 아드리앙의 나이는 마리네뜨와 동갑이기 때문에 14살이다.] || || '''머리색''' ||[[머리카락/금색|금색]][* 블랙캣으로 변신 시 채도가 올라간다.] || || '''홍채 색깔''' ||[[녹안]] || || '''신장''' ||150cm[* 공식 설정이다. [[https://miraculousladybug.fandom.com/wiki/File:Miraculous_Character_Heights.png|출처]] 하지만 너무 비현실적인 설정이라 팬들에게 비판받고 있다.] || || '''직업''' ||[[패션 모델]][*시즌4&5스포일러 사실 자신이 모델이 되는 것도 아버지의 강요 때문이었고 아드리앙이 모델이라는 것을 자랑스럽지도 않고 좋아하지도 않는다. 몰론 다른 사람에게 말해 봤자 대부분 사람들이 모델의 삶이 부러워서 믿어주지 않는다. 시즌 4 25화인 "리스크"에서 빌런의 능력 때문에 이일을 마리네뜨에게 털어놓았고 마리네뜨는 당당하게 아버지를 맞서싸우라고 했다. 그리고 시즌 5에서, 용기를 낸 아드리앙이 아버지에게 가서 자신이 더이상 모델이 하고 싶지 않다고 하자, '''가브리엘이 "그렇게 하도록하지"라고 쿨하게 보내준다.''' 몰론 뒤에 밝혀진 것으로, 아드리앙의 몸을 스캔하고 그것으로 합성 영상을 제작했기에 이제 아드리앙이 모델로 하지않아도 광고를 찍을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히어로''' || || '''취미''' ||[[농구]][* 매주 수요일마다.], [[피아노]][* 취미도 취미지만 아그레스트 가문의 전통이라며 가브리엘이 어릴적부터 시킨 것으로 보인다.], 카라테, 비디오 게임 || || '''특기''' ||[[펜싱]][* 매주 금요일마다 배운다.], [[중국어]][* 매주 월요일마다 배운다. 중국인인 마리네뜨의 외삼촌 왕 쳉에게 칭찬도 받는 수준이다.] || || '''좋아하는 것'''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애니메이션]], [[에밀리 아그레스트|어머니]], 물리[* 샌드보이 편 참고.], 자그드 스톤(Jagged Stone)[* 팬이다. 블랙캣 상태로 사인도 받는다.], [[니노 라히프|단짝친구]], [[마리네뜨 뒤펭-쳉]], '''[[마리네뜨 뒤팽-쳉|레이디버그]]''', [[나탈리 생쿼|나탈리]], 과일(특히 패션후르츠)[* <얼어붙은 도시>, <애니메이션 감독의 분노>], [[츠루기 카가미]], 장난감 차를 가지고 노는 것(어렸을 때), 크루아상, 슈게트(속을 채우지 않은 작은 슈), [[크로켓]], [[햄스터]], 플랙, 개, 공부할 때 클래식 음악 듣는 것, 플레인 펜케이크, 반숙 달걀}}} || || '''싫어하는 것'''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사인하는 것[* '큐피드의 화살' 편], 모델하는 것, 까망베르 치즈[* 어른들을 돌려줘 편], [[가브리엘 아그레스트|아버지]]의 [[과잉보호|과보호]]와 [[가정폭력]], 감금[* 혼자 있는 것, 외출금지 등도 포함.], 깃털 알레르기, 비밀, 거짓말, 팬들의 집착, [[천둥]](어렸을 때)[* 인스타에서 밝혀진 사실로, 천둥 때문에 무서워하는 자신을 엄마가 많이 도와줘서 비가 오면 엄마 생각이 난다고 한다. 어찌보면 씁쓸한 글.], [[호크모스]][* "아빠는 화나면 호크모스보다 무서워지신다고."][* 다들 알 듯이 저 사람이 호크모스와 동일 인물이라는 점이 어딘가 좀 그런 부분....]}}} || || '''인물 유형''' ||[[주연]], [[서브 주인공]], [[히어로]] || || '''무기''' ||봉(바톤) || || '''능력''' ||고대의 재앙, 밤눈 상향, 뛰어난 청각 || || '''미라클스톤''' ||반지(블랙캣)[* 평소에는 그냥 은색의 반지로 되어 있으나, 변신 시 검은색으로 변하며 플랙이 흡수되면 형광 연두색의 고양이 발바닥 문양이 나타난다.] || || '''담당 콰미''' ||[[플랙|플랙(Plagg)]] || || '''가족''' ||父: [[호크모스|가브리엘 아그레스트]][br](Gabriel Agreste)[br]母: [[에밀리 아그레스트]][br](Emilie Agreste)[br]이모: 아밀리 그레이엄 드 바닐리[br]사촌: [[필릭스 파톰]] || || '''테마 컬러''' ||[[하얀색|{{{#silver 하얀색}}}]](아드리앙)[br][[검은색|{{{#black,#white 검은색}}}]], [[연두색|{{{#lightgreen 연두색}}}]](블랙캣) || ||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남도형]]'''[* 아드리앙일 때랑 블랙캣일 때랑 목소리 톤이 달라지는 게 매력이다. 시즌 2 19화 '악몽을 부르는 샌드보이' 에피소드에 등장한 마리네뜨의 악몽 속 아드리앙을 [[https://www.youtube.com/watch?v=x4r7X-Szags|너무 섬뜩하게 연기하여]] 해외에서 이슈가 됐다. 여러 작품을 했지만, 사실 이 아드리앙 역할이 인생작이라고 봐도 될 정도.]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브라이스 패픈브룩]][*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마리네뜨의 영어 더빙 성우]]와 마찬가지로 미국 성우 업계에서 탑으로 취급받는 성우중 한 명이다. 처음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의 오디션을 볼 때까지만 해도 본인의 다른 출연작 사정으로 시즌 1까지만 녹음하고 다른 성우에게 배역을 넘길 예정이었으나 시즌이 계속해서 연장되고 인기도 얻게 되자 고정으로 연기를 하게 되었다.]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뱅자맹 볼랭[* 프랑스 배우로 영화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에서 틴틴 역 목소리를 더빙하기도 했다.]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오오사카 료타]][* [[https://www.disney.co.jp/tv/dc/program/anime/miraculousladybug.html]]] || >'''"Plagg, transforme-moi!"'''^^(프랑스판)^^[* 플랙, 날 변신시켜!][br]'''"변신, 블랙캣!"'''^^(한국판)^^[br]'''"Plagg! Claws Out!"''''^^(미국/일본판)^^[* 상징 동물의 특징을 살려낸 영미판 구호답게, 의미는 '플랙, 발톱을 꺼내!'라는 뜻. 변신 해제는 "Claws In".(발톱을 숨겨)][* "하!"나 "예!"를 외치는 레이디버그와 달리 뒤에 외치는 대사가 없다.]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양이 미라클스톤의 영웅, 블랙캣(Cat Noir).'''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미라큘러스]]의 [[서브 주인공|또 다른 주인공]]이자 [[마리네뜨 뒤팽-쳉]]의 짝사랑 상대. 본인은 마리네뜨의 변신체인 레이디버그를 짝사랑한다.[*시즌4스포일러 마리네뜨에게도 호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시즌5스포일러 결국 레이디버그를 좋아하기를 포기하고 마리네뜨를 좋아하게 된다.] 아버지로 인해 학교에 가지 못하고 홈스쿨링(가정교육)을 받다가 집에서 뛰쳐나가 학교에 다니게 되면서 주인공인 마리네뜨와 같은 반이 된다. 그리고 검은 고양이 미라클스톤을 얻어 블랙캣으로 변신해 영웅으로 활동한다. 가끔씩 블랙캣으로 변신해서 집을 나가기도 한다. == 성격 == 아드리앙은 변신하면 변신 전과 변신 후의 성격이 크게 달라진다. 평소에는 그림으로 그린 듯한 모범생이지만, 변신 후에는 '''엄청난 능구렁이'''로 변한다. 블랙캣 모습일 때 레이디버그를 만났을 때는 레이디버그한테 먼저 다가가서 작업을 걸거나 능글맞게 대하는 등 온갖 구애를 하지만[* 레이디버그가 블랙캣이 진지하게 자신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고 믿은 이유.], 아드리앙인 상태로 레이디버그를 만났을 때는 레이디버그에게 예의바르게 행동했고, 얼굴을 붉히며 쑥스러워했다. 블랙캣이 능구렁이의 표본이라면 아드리앙은 엄친아의 표본. 변신 전후의 외모 변화도 [[마리네뜨 뒤팽-쳉|마리네뜨]]에 비하면 꽤 큰 편인데 성격까지 완전 딴판이 되니 작중 인물들은 물론 시청자까지 둘이 동일인물이라는 사실을 까먹을 정도. 작중에서도 알리야가 아드리앙의 사진에 어플로 블랙캣의 의상을 합성하며 아드리앙과 블랙캣이 닮지 않았냐고 묻자 [[클라크 켄트|마리네뜨가 말도 안된다며 단칼에 잘라버렸다.]]-- 외형만 비슷하게 생겼지 성격은 전혀 다르니...-- 결국 알리야도 '리듬에 맞춰' 편에서 성격의 차이 때문에 아드리앙과 블랙캣은 별개 인물이라고 결론짓게 된다. 한국판에서는 [[남도형|아드리앙과 블랙캣의 성우]]가 변신 전과 변신 후의 목소리 톤까지 바꿔서 연기해서 더 헷갈린다. 아드리앙일 때는 못 하는 게 없고 모든 게 완벽한 완성형 주인공인데, 블랙캣으로 변신했을 때는 실수가 잦고 자주 망가지는 성장형 주인공이 된다. 변신하기 전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 성장형 주인공이지만 변신 후에는 완성형 주인공이 되는 마리네뜨/레이디버그와는 정반대. 미라큘러스 웨비소드(webisode)[* '웹(Web)'과 '에피소드(Episode)'의 합성어로 인터넷으로 보는 시리즈물을 뜻한다.] 4화 '아드리앙의 이중생활' 편에 따르면 변신을 한 뒤에는 아버지로 인해 억눌려있던 자신이 하고 싶었던 행동과 말을 자유롭게 하는 듯하다. 블랙캣일 때는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좋다고 한다. 참고로 영웅이 된 계기는 아버지의 과보호를 가장한 학대로 집에만 갇혀있다가 플랙이 영웅이 되면 마음대로 나갈 수 있다고 해서였다. 아드리앙일때는 싫은 사람한테도 싫은 소리를 못한다. 클로이를 저지 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인데도 클로이의 일방적인 행동에 싫은 티는 내지만 별 말 못 하거나, 라일라의 어그로에 끌려다니는 등 대처가 미숙하다. 덕분에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 팬들 사이에서도 아드리앙의 행동이 너무 답답하다며 불평하는 팬들도 꽤 있다. 제작진의 스토리 전개와 캐릭터성 설정의 문제를 아드리앙도 피해갈 수 없었던 것이다. 자세한 것은 아래의 비판 항목 참조. 반면, 블랙캣 모습일 때는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보일정도로 너무나 솔직해진다. 일례로 블랙캣 모습일 때 레이디버그와 전화하는데 클로이가 자꾸만 부르자 통화를 끊은 후 곧바로 클로이를 밀어내기도 했고 자신의 아버지가 위험한 상황인데도 자기 말을 안 듣자 화난 표정으로 "당신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니까 높은 분 행세 그만하고 제발 시키는 대로 하세요!"라고 소리질렀다. 주변 인물들이 정상이 아니어서 아드리앙의 사회성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 부인이 실종된 이후 차가워진 아버지 [[호크모스|가브리엘 아그레스트]], 소꿉친구지만 남을 조금도 신경쓰지 않는 안하무인 [[클로이 부르주아]], 서로 진심을 터놓고 같이 싸우지만 평소엔 시시때때로 내놓는 궤변에 약만 올리는 요정 [[플랙]]. 그나마 최근 친구가 된 [[니노 라히프|니노]]만 아드리앙을 진심으로 생각해주는 듯. 플랙도 아드리앙이 힘들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하면 진심으로 위로해주거나 도와준다. 블랙캣일 때 레이디버그와 함께 빌런과 맞서 싸워야하는 중에도 중간중간 레이디버그한테 농담을 하거나 능글맞게 굴 때가 많다. 그래도 아주 중요하거나 심각한 상황일 때는 집중력을 발휘해 진지한 모습을 보여준다. == 비주얼 == || [[파일:Adrien333.jpg|width=400]] || [[파일:아드리앙 아그레스트.jpg|width=400]] || >'''태양 같은 금발, 행운을 부르는 녹색 눈''' >'''항상 궁금해, 네 생각, 네 꿈''' >'''그래, 우리 함께 참된 사랑 나누자''' >'''내 마음을 훔친 너와 영원히''' >---- >-[[마리네뜨 뒤팽-쳉]]의 러브레터. 금발에 녹색 눈, 흰 피부를 가졌다. 마리네뜨는 러브레터에서 이를 '태양 같은 금발, 행운을 부르는 녹색 눈'이라고 표현했다. 아드리앙의 금발은 시즌 1과 시즌 2의 표현 차이가 약간 있다. 시즌 1에서의 금발은 밝은 색이지만 광채는 그리 많이 나지 않았는데, 시즌 2에 들어서는 채색법이 바뀐 건지 아드리앙의 금발이 유난히 번쩍번쩍해졌다. 삼지가 작화를 맡은 화에서는 이것이 특히 부각된다. '아기 거인' 편이나 '펜싱의 고수' 편에서 더 쨍해진 색감의 하늘과 아드리앙이 함께 나올 때면 눈이 아플 정도이다. --팬들 : 앗 아드리앙이 너무 눈부셔! 꺅!-- 작중 미남이라는 게 공식 설정인 [[미소년]]. 일단 모델로 활동하고 있기도 하고, 그의 잘생긴 외모에 반한 소녀팬들이 무척 많다. 작중 많은 사람들도 잘생겼다고 평가한다. 마리네뜨는 말할 것도 없고, 클로이도 그를 "조각같이 잘생겼다"라고 평가했으며, 니노도 아드리앙에게 "넌 잘 나가는 모델이잖아."라고 말한 적이 있다. 꾸준히 엮이는 여자 캐릭터도 마리네뜨와 엮이는 남자 캐릭터보다 많다. 그리고 팬들에게도 귀엽다, 잘생겼다 등으로 인기가 많다. 또한 아드리앙일 때는 티는 안 내지만 블랙캣일 때 하는 말을 들어보면 '''자기가 잘생긴 걸 안다!''' 일례로 시즌 1 8화 '로저캅' 편에서는 '''''좀 더 있고 싶은데, 니가 내 잘생긴 얼굴을 보고 반해서 기절하면 안 되니까~"'''라는 대사를 했고 시즌3 9화 '뿔 난 도깨비' 편에서는 블랙캣이 오니찬(빌런화된 카가미)에게 ''아드리앙, 아드리앙, 아드리앙. 다들 걜 차지하려고 하면서 왜 난 가만두는 거야? [[나르시시즘|걔보단 내가 더 교야옹 있고 더 웃기고 옷도 잘 입는데 말이야]]." 라는 대사까지 한다. 블랙캣 특유의 능글거림을 섞어 한 말이긴 했지만, 이걸 보면 아드리앙도 평소에 자각은 하고 있는 모양. 부모님 중 어머니인 [[에밀리 아그레스트]]의 금발녹안을 그대로 물려받은 반면, 아버지인 [[호크모스|가브리엘 아그레스트]]와는 정말 하나도 안 닮았다.[* 가브리엘과 아드리앙은 외모보단 성격이나 능력이 닮은 편이다. 실제로 둘 다 펜싱과 피아노를 잘 치며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바칠만큼 열정적인 로맨티스트다.] 평상복에선 잘 드러나지 않지만, [[색기담당|변신 상태에서 관찰해보면 몸매도 예쁘다.]] 이 핫바디 속성이 블랙캣 특유의 슈트 디자인과 시너지를 일으켜, 아동용 애니메이션에는 어울리지 않는 섹시함을 자아낸다. 성인 팬층을 끌어들이는 데는 블랙캣의 몸매가 한몫했다고 봐도 될 정도. == 복장 == || [[파일:1548165297948.jpg|width=400]] || || {{{#00ff08 '''평상복'''}}} || 검은 티셔츠, 하얀 셔츠, 청바지, 주황색 운동화로 이루어진 평상복. 등장인물의 복장을 갈아입히기가 어려운 3D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대체적으로는 단벌신사 캐릭터라, 거의 모든 에피소드에서 이 복장으로 나온다. 참고로 티셔츠에 있는 줄무늬의 개수는 색깔 때문에 착각하기 쉬운데 세 개가 아니라 다섯 개다. 위에서부터 노란색, 올리브 그린, 연두색, 짙은 녹색, 그리고 페리윙클 블루. <산타의 복수>편에서는 한겨울임에도 이 옷을 입고 다닌다. 겨울옷을 입고 등장한 기타 캐릭터들과는 대조적. 그리고 <악동 사촌, 필릭스> 편을 보면 똑같은 옷을 최소 두 벌 이상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이 복장과 머리색은 [[마리네뜨 뒤팽-쳉]]의 그것과 정확하게 보색이다.~~심지어 머리색까지도~~[[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adybug1&no=2438&_rk=urT&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몇몇 팬들은 제작진 측에서 나중에 이어질 캐릭터는 색반전을 했을 때 반전하기 전 상대방의 옷 색과 같도록 만들었다고 생각하기도.] || [[파일:Adrianpj.jpeg.jpg|width=400]] || || {{{#00ff08 '''잠옷'''}}} || 하얀 반팔 셔츠와 검은색 반바지로 이루어져 있다. 옷의 일부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가브리엘 아그레스트|아버지]]가 디자인한 '가브리엘 아그레스트 브랜드'의 잠옷이다. 여담으로 시즌 1부터 꾸준히 잠옷 차림이 나왔던 마리네뜨에 비해 아드리앙의 잠옷은 시즌 4의 후반부에 가서야 첫 공개되었다. --그간 평상복을 입고 잠에 들어야 했던 남주인공...-- || [[파일:VideoCapture_20190122-235214.jpg|width=400]][br][[파일:VideoCapture_20190122-235106.jpg|width=400]] || || {{{#00ff08 '''펜싱복'''}}}[* 두 번째 사진에서 왼쪽의 빨간 펜싱복을 입은 사람은 츠루미 카가미이다.] || 마리네뜨보다도 더 단벌신사인 아드리앙이 평상복 다음으로 많이 입는 옷. 아드리앙이 펜싱을 하는 장면이 나올 때마다 이 옷을 입고 나온다. 펜싱에 관련된 에피소드인 시즌 2 7화 <펜싱의 고수> 편에서는 한 편 내내 펜싱복을 입었다. || [[파일:IMG_20190123_000308.jpg|width=300]] || || {{{#00ff08 '''광고용 의상'''}}} || 아드리앙이 향수 광고에서 입고 나온 복장. 사실 다른 복장이래봤자 위의 평상복의 색상을 전부 흰색으로 바꾼 옷일 뿐이다. ~~눈부시게, 자유로운, 꿈을 꾸듯...~~ || [[파일:samg_animation_Br8MfoVlcN0.jpg|width=400]][br][[파일:VideoCapture_20190123-001738.jpg|width=400]] || || {{{#00ff08 '''패션쇼 의상'''}}} || 시즌 2 22화 '패션의 여왕' 편에서 패션 쇼에 모델로 선 아드리앙이 입은 의상. 어두운 갈색 체크무늬 정장에 회색 체크무늬 넥타이를 맸다. 머리에는 시즌 1 5화 <비둘기 신사의 역습> 편에서 마리네뜨가 디자인했던 비둘기 깃털 중산모를 썼다. 평상복 아니면 펜싱복만 입던 아드리앙이 입은 새로운 의상이다. 아드리앙의 깃털 알레르기 때문에 모자에 꽂힌 깃털은 인조 깃털로 교체했다. || [[파일:아드리앙_웹사이트복장.png|width=400]][br][[파일:아드마리_웹사이트복장.png|width=400]] || || {{{#00ff08 '''마리네뜨 웹사이트 업로드용 의상'''}}} || 마리네뜨가 개설할 예정인 웹사이트에 업로드할 옷의 모델로서 입은 옷이다. 컨셉상 마리네뜨랑 커플룩이라 환호한 아드마리 팬들이 많다. ~~문제는 이것 때문에 둘 다 미라클스톤을 벗어놓은 바람에 한바탕 난리가 나고...[* 팬서비스 차원으로 둘의 역할을 맞바꿔 레이디블랙과 미스터버그를 등장시키기 위한 상황 설정. 그리고 이 소동을 해결하기 위해 마리네뜨가 아드리앙과 커플 기믹을 포기...]~~ || [[파일:Adrianswimsuite.png|width=400]] || || {{{#00ff08 '''수영복'''}}} || 위의 잠옷과 같은 색채의 디자인이다. 이유는 이 또한 가브리엘 아그레스트 브랜드의 수영복이기 때문이다. 공식 코믹스에서는 녹색 수영복이었지만 개별성을 두기 위해 일부러 다른 디자인의 수영복을 사용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 능력 == * '''펜싱''' || [[파일:33화 펜싱의 고수_1.gif|width=400]] || 아드리앙이 가브리엘의 지시로 배우고 있는 과목 1. 원해서 시작한 건 아니지만 아드리앙의 펜싱 실력은 매우 출중하다. 학교 펜싱부 부원 중에서 최고의 실력을 가지고 있고,[* 뒤퐁 고등학교 펜싱부에 가입하기 위해 찾아온 카가미가 부원들에게 "너희 중에 누가 가장 잘하지?" 라고 묻자, 부원들은 하나같이 아드리앙을 쳐다봤다.] 펜싱 챔피언을 배출해낸 일본 펜싱 명문가의 딸 카가미를 이길 정도다.[* 해당 에피소드인 '펜싱의 고수' 편에서는 아드리앙과 카가미 중 누가 이겼는지 확실히 나오지 않았지만, 한 팬의 비디오 판독 결과 아드리앙의 칼이 먼저 닿았음이 드러났다. 즉 아드리앙의 승리.] '화이트캣' 편에서도 펜싱대회에서 상을 받았다는 언급이 있다. 이후로는 아드리앙이 지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그때마다 아드리앙이 정신적 고통으로 제 실력을 못 내는 탓이라는 식으로 언급된다. 이 펜싱 실력은 무기인 봉을 사브르처럼 사용하는 등 전투에서도 요긴하게 쓰인다. 시즌 1 12화 '그댈 기사로 임명하노라' 편에서는 빌런이 된 아드리앙의 스승 달장커트와 펜싱으로 싸웠고, 시즌 2 26화 '영웅의 날 2' 편에서는 자신만큼 뛰어난 펜싱 실력을 가진 [[호크모스|아버지]][* 가브리엘 역시 펜싱을 배웠다는 증거는 작중에서 심심찮게 보인다. 시즌 2 10화 '로봇의 꿈' 편에서 호크모스의 지팡이 칼로 날아드는 미사일들을 현란하게 베어버린 후 펜싱의 마무리 동작과 유사한 자세로 칼을 집어넣는 모습이라든지, 해당 에피소드에서 펜싱으로 싸우는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아들]]에게 펜싱으로 맞서는 장면이라든지.]와 호각으로 겨뤘다. 다만, 신체적 스펙이나 경험은 가브리엘이 더 높은지라 둘이 정면으로 싸울 경우 아드리앙이 밀린다. 시즌 3 24화 '억울한 누명' 편에서 아버지와 펜싱으로 싸웠지만 결국 인질로 붙잡혔다. * '''중국어''' || [[파일:VideoCapture_20190123-010238.jpg|width=400]] || 아드리앙이 가브리엘의 지시로 배우고 있는 과목 2. 그 실력은 매우 뛰어나 중국인인 마리네뜨의 외삼촌과 유창하게 대화하고, 마리네뜨에게 통역까지 해 줄 정도다. * '''피아노''' || [[파일:39화 자유로운 영혼_1.gif|width=400]] || 아드리앙이 가브리엘의 지시로 배우고 있는 과목 3. "아그레스트 가문은 혼자서 연주하지, 뭉쳐서 연주하지 않는다." 는 가브리엘의 언급으로 보아, 펜싱과 함께 아그레스트 가문 대대로 배우는 교양 과목인 듯하다. 아드리앙이 땡땡이를 칠 때 가장 많이 악용하는 과목이다. 피아노 음원을 튼 채 블랙캣 활동을 하거나, 플랙이랑 잡담을 하거나, 도망가는 일이 많다. 거기다 계속 같은 곡만 반복해서 지루함이 커진 탓에 시즌 2 13화 <자유로운 영혼> 편에서는 실망스러운 실력을 보인다. 이는 에피소드 후반부에 아버지와 함께 듀엣 연주를 하며 슬럼프를 극복했다. 그래도 오랜 시간 동안 배운 과목인 만큼 기본적인 실력은 뛰어나며, 아드리앙도 피아노 치는 걸 몹시 좋아한다. 동 에피소드 마지막에는 희귀한 건반을 보고 즐거워하며 고양이 부대와 같이 연주하기도 했다. * '''모스 부호 해독''' || [[파일:VideoCapture_20190123-013302.jpg|width=400]] || || [[파일:VideoCapture_20190123-013115.jpg|width=400]] || 시즌 2 10화 '로봇의 꿈' 편에서 밝혀진 능력으로, 모스 부호를 해독할 수 있다. 그것도 시장실을 점령한 전등이 아주 빠른 속도로 내보내는 것을 직독직해할 수 있는 정도의 해독 실력이다. --이쯤 되면 제작진이 잡스킬은 다 얘한테 주는 것 같다.-- 사진처럼 블랙캣으로 변신한 상태에서 보였던 능력이지만, 모스 부호 해독 능력은 당연히 본체인 아드리앙의 능력이다. * '''일본어''' 시즌 3 5화 '애니메이션 감독의 분노'에서 일본어도 능숙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시사회에서 츠루기 여사를 상대할 때 쓴 걸 보면, 일본어도 사교육으로 배운 듯. 게다가 오타쿠이기 때문에 더 능통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 히어로 == === 코스튬 === 히어로 복장에는 기본적으로 인간에게 정신착란을 일으키는 기능이 있다. 이로 이해 인간은 영웅들의 정체를 스스로 알아내기 어렵다. 하지만 거꾸로 말하면 기계에게는 효력이 없다. 이로 인해 언캐니밸리가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의 정체를 간파했다. || [[파일:20190122_231352.jpg|width=500]] || || {{{#00ff08 '''블랙캣 슈트'''}}} || 검은 고양이 미라클스톤으로 변신하면 옷이 블랙캣 슈트로 변한다. 손에는 고양이 발톱이 생긴 장갑이 생기는데, 손목과 발목에 보호대가 생긴다. 신발은 고양이의 발을 형상화한 모양으로 바뀐다. 잘 보이지는 않지만 이 신발의 밑창에는 고양이 발바닥 무늬가 있다. 허리춤에는 벨트가 묶여 있는데, 이 벨트의 끝자락은 뒤로 길게 늘어져 고양이의 꼬리 역할을 한다. 벨트 꼬리는 가짜지만 블랙캣의 기분이나 능력에 반응하여 마치 진짜 꼬리처럼 움직이고 기능하며, 필요하면 분리할 수 있다. 이 덕택에 물건을 묶는 데도 사용가능해 시즌 2부터 행운의 부적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블랙캣의 벨트가 자주 동원된다. 등허리에는 바톤을 붙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변신 전에는 7:3 가르마였던 머리가 변신 후에는 가운데로 앞머리가 내려온 모양이 된다. 머리 위에 고양이 귀가 생기고 인간 귀는 길어진 옆머리에 덮힌다. 이 고양이 귀는 나사못으로 고정해놓은 가짜 귀지만 진짜 귀처럼 움직이고 청각기능도 있다. 시즌 1 10화 '큐피드의 화살' 편에서 블랙캣이 레이디버그에게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려다가 곧 변신이 풀리게 되자 시무룩해져서 귀가 아래로 쳐졌다. 시즌 2 21화 '거미괴물, 아난시' 편에서는 아난시가 귀를 잡아당기니까 아프다고 말한다. 다만 이어폰은 진짜 귀에 꽂는다. 그밖에도 눈의 흰자가 초록색으로 변하고 동공이 고양이 눈으로 변한다. 참고로 눈이 변하는 것은 아드리앙의 눈이 녹색인 것과는 무관하며, [[마리네뜨 뒤팽-쳉|다른 색의 눈을 지닌 사람]]도 변신 후 초록 흰자에 고양이 눈이 된다. 고양이 귀는 옷과 같은 재질이며, 가죽은 아니나 가장 비슷한 재질이라고 한다. 또한 블랙캣 옷에 달린 방울은 원래 소리가 나지만 블랙캣이 그만큼 민첩하고 유연하게 움직여서 나지 않는 것이다. 시즌 1에서는 레이디버그와 클로이가 한 번 튕기며 소리를 낸 적이 있고 시즌 2 6화 '아기 거인' 편에서는 빌런을 유인하기 위해 직접 소리를 냈다. 방울이 추가된 이유는 '디자인상 귀여워서'이며, 또한 '사랑을 받고 싶어하는 마음'을 의미한다고 한다. || [[파일:DnELZ7EVYAABpsp.jpg|width=500]] || || {{{#00ff08 '''아쿠아 블랙캣 슈트'''}}} || 플랙에게 아쿠아 폼 변신 물약을 먹이고 변신했을 때의 슈트. 발에 초록색 지느러미 오리발이 생기고 꼬리와 팔에도 지느러미가 생긴다. 손에 있는 고양이 발톱과, 손목과 발목에 있는 보호대가 아쿠아 폼에서는 없어진다. 슈트에 회색 무늬가 덧붙여진다. 온 몸을 덮는 비늘 무늬와 투톤 헤어 등 화려한 디자인의 아쿠아 레이디버그에 비해 아쿠아 블랙캣의 디자인은 '''지느러미 빼고는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이 때문에 아쿠아 폼 디자인이 공개되고 팬덤에서는 또 한 차례 블랙캣 홀대 논란이 일었다. 일러스트를 자세히 들여보아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달라진 게 정말 없어서, 디자인이 적용된 애니메이션을 보면 '제작진이 디자인하기 귀찮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더욱 안습한 사실은 아쿠아 블랙캣이 처음 등장한 에피소드인 '물의 마녀, 사이렌' 편에서는 '''아쿠아 블랙캣의 변신 장면은 나오지도 않았다는 거다.''' 이후 시즌 2 26화 '영웅의 날 2' 편에서 아쿠아 블랙캣이 다시 나오게 되었지만, 이때도 변신씬은 나오지 않았다. || [[파일:VideoCapture_20190122-173212.jpg|width=500]] || || {{{#00ff08 '''아이스 블랙캣 슈트'''}}} || 플랙에게 아이스 폼 변신 물약을 먹이고 변신했을 때의 슈트. 손목과 발목, 허벅지에 눈 결정 모양 무늬가 생기며, 발에 아이스 스케이트가 생긴다. 상의 지퍼와 주머니 지퍼의 색이 흰색이 되며, 목 칼라 끝부분에도 흰색 포인트가 들어간다. 허리춤에 고양이 발바닥 모양의 장식이 생긴다. 머리 색이 더 밝은 색의 백금발이 된다. 발에는 스케이트를 신은 것처럼 날이 생긴다. 안습함의 끝을 달렸던 아쿠아 블랙캣과는 다르게 일반 폼과의 차이점이 눈에 띄는 편이다. 이번에는 변신씬도 나왔다! 다만 위의 사진에도 나오는 변신씬의 마무리 포즈가 왠지 모르게 우스꽝스러워서 팬들 사이에서 네타거리가 되었다. 참고로 이 스케이트 날이 발바닥에 바로 붙어 있는데, 현실에서 이러면 발목 나간다. || [[파일:변신_미스터버그!_안습!.png|width=500]] || || {{{#00ff08 '''미스터버그 슈트'''}}} || 시즌 3 14화 '돌아온 리플렉타' 편에서 티키에게 무당벌레 미라클스톤을 받아 '미스터버그' 로 변신했을 때의 슈트. 레이디버그의 슈트와는 달리 슈트에 검은색 무늬가 들어가 있고, 어깨와 가슴 부분에 갑주가 붙어 있다. [[마리네뜨 뒤팽-쳉|레이디 블랙]]으로 변신한 상태에서도 머리가 잘 돌아가는 마리네뜨와는 달리 요요를 잘 못 다룬다거나, 행운의 부적의 사용법을 잘 찾아내지 못하는 등 많이 서투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 점은 아드리앙이 처음으로 무당벌레 미라클스톤으로 변신한거라 적응이 되지 않아서 어려워한 걸 수도 있다. 실제로 '탄생! 레이디버그' 편에서 마리네뜨도 처음으로 레이디버그로 변신했을 땐 상당히 어려워하고 서툴었었다.] 이후 시즌 5 Passion에서 다시 한 번 미스터버그로 변신했을 때에는 요요도 잘 사용했고 행운의 부적도 잘 소환했다. || [[파일:변신_아스픽!_25913!.jpg|width=500]] || || {{{#00ff08 '''아스픽 슈트'''}}} || 시즌 3 19화 '분노의 연주자, 데스퍼라다' 편에서 레이디버그에게 뱀 미라클스톤을 전달받아 '아스픽'으로 변신했을 때의 슈트. 레이디버그가 먼저 리타이어하고 이걸 25,913번 되돌렸으나 끝내 실패해서 아드리앙이 그만둬버렸다. 활약도 안습한 와중 아스픽의 슈트 디자인마저 팬들로부터 많은 혹평을 받았다. 머리카락을 전부 덮어 마치 대머리처럼 서보이게 하는 복면이 가장 혹평받는 부분이다.[* 머리카락을 덮는 디자인은 캐러페이스나 폴리마우스도 있지만 이 둘은 후드로 덮은 형태라 아스픽보다 낫다.] || [[파일:스네이크느와르.png|width=500]] || || {{{#00ff08 '''스네이크느와르 슈트'''}}} || 시즌 3 26화 '진정한 선물' 편에서 조종당하는 바이퍼리언의 뱀 미라큘러스를 뺏어 플랙과 합체시켰다. 당연히 능력은 고대의 재앙과 한 번 더. 참고로 한칭은 끝내 나오지 않았다. 게다가 드래곤버그와 다르게 변신 장면도 사실상 생략당했고, 마무리포즈도 없다. 안습. 그리고 역시 대머리처럼 보이는 디자인 때문에 또 혹평을 받았다. || [[파일:아스트로캣.jpg|width=500]][br][[파일:astro cat 54.jpg|width=500]] || || {{{#00ff08 '''아스트로캣 슈트'''}}} || 보라색 물약을 통해 파워업한 모습. 우주복을 입은 것처럼 헬멧을 쓴 모습이다. 일단 우주폼이지만, 비행용으로도 사용된다. 비행시에는 박쥐 같은 날개가 돋아난다. 처음 공개됐을 때는 또 대머리가 되는 거냐며 팬들의 걱정을 많이 샀었지만, 막상 뉴욕편과 상하이편에서 공개된 이후로는 귀엽다는 반응이 많다.[* 오히려 레이디버그의 비행시 디자인은 호불호가 많이 갈리고 있다. 헬멧은 머리를 보호할 수 있으니 안전성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 [[파일:Cat Walker.png|width=500]] || || {{{#00ff08 '''캣 워커 슈트'''}}} || 시즌 4 23화 <쿠로네코> 에피소드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본래의 성격이 어떠한가를 통해 똑같은 미라클스톤으로 변신하더라도 생김새와 슈트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이 에피소드에서 밝혀졌다. 즉 캣 워커는 아드리앙이 남들에게 보여지는 아드리앙의 인격체로 고양이 미라클스톤을 통해 변신한 모습이다. || [[파일:블랙래빗.png|width=500]] || || {{{#00ff08 '''블랙래빗 슈트'''}}} || 시즌 5 1화 에피소드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토끼 미라클스톤과 고양이 미라클스톤이 합체한 영웅이며, 능력은 당연히 토끼굴과 고대의 재앙. 마비 된 버닉스의 토끼 미라클스톤을 꺼내서 변신하였다. 처음에는 레이디버그에게 합체하라고 하였지만, 레이디버그는 네가 해보라고 블랙캣을 합체시킨다. === 봉 === || [[파일:블랙캣_봉.gif|width=400]] || 길이가 무한정으로 길어지며--늘어나라 여의봉--, 사용자의 의지대로 늘리고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블랙캣이 아닌 사람도 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시즌 2 21화 '거미괴물, 아난시' 편에서는 니노가 봉의 버튼을 눌러 길이를 늘렸다. 또한 잘 휘어지며 충격도 잘 흡수한다. 두 개로 분리할 수도 있으며, 전화, 위치추적, 설계도면 파악, 네트워크 연결, 망원경, 잠망경[* 참고로 레이디버그의 요요는 물리적 특성상 길이를 늘린채 밖을 볼 수 없어서 잠망경 기능은 없다. 거울처럼 팔을 내밀고 밖을 살펴보는 정도.], 무전기, 수중 호흡, '''[[https://twitter.com/Thomas_Astruc/status/658221940574978048|셀카봉]]'''(...)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다. 시즌 4부터는 '''우산이 나오는 기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리네뜨: 봉에 우산이 나오는 기능도 있어요? / 블랙캣: '''고양이는 물을 싫어하니까.'''] 길이를 조정해 검이나 창으로도 사용되고, 부메랑처럼 투척 후 회수도 가능하다. 우산 기능을 응용해 방패로도 쓸 수 있다. 덧붙여 빠른 속도로 돌리면 방패로 사용할 수도 있고[* 봉의 길이를 늘린 채 회전시키면 더 넓은 범위를 방어할 수도 있다!], 프로펠러로 사용하여 단거리 비행을 할 수도 있다. 다만 빠르게 돌리는 것은 레이디버그의 요요보다 힘든 모양. 요요는 줄을 잡고 약간의 스냅만 줘도 원심력을 이용해 쉽게 돌릴 수 있지만, 봉은 손으로 직접 돌려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즌 1 1화 '분노의 폭풍' 편에서는 레이디버그가 행운의 부적의 사용법을 생각하는 동안 블랙캣이 봉을 돌려 우박을 막아주면서 "팔 아프니까 빨리 좀 생각해 봐!"라는 대사를 한다. 그 대신 요요보다 사용하기가 수월한 데다가 펜싱 실력자인 아드리앙과의 궁합도 좋다.[* 아직 잘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레이디버그의 요요보다 유리한 점도 있다. 레이디버그는 요요로 묶을 것이 있어야 이리저리 날라다닐 수 있는 반면(실제로 레이디버그의 모티브인 스파이더맨도 벽 없이는 이리저리 날라다니지 못한다), 블랙캣은 굳이 벽이 없어도 봉으로 점프하면서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을 프로펠러처럼 돌려 단거리 비행도 할 수 있다.] 레이디버그 영어 위키에서는 '스태프'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 초능력 === * '''고대의 재앙 (Cataclysm)[* 직역하면 '대재앙'. 참고로 '''cat-'''자로 시작하며, 사전에서 찾아보면 보통 'cat'이라는 단어 바로 밑에 배치된 단어다. 즉, 노린 기술명. [[캣츠(영화)|캣츠]]에서도 같은 어원의 단어가 평론에 쓰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로 인해 '대격변'이라는 단어로 알려지기도 했다.]''' || [[파일:Cataclysm.gif|width=400]] || '''블랙캣 최강의 기술'''. 손에 닿는 것을 부정적으로 반응하게 만든다. 즉 불운하게 만든다. 행운의 부적에 대응된다고 한다. 기계에 사용하면 기계가 고장나며, 고체에 사용하면 부서지거나 무너지고, 액체에 사용하면 증발, 형태를 잃는다. 한 번 발동시키면 사용할 때까지 계속 발동된 상태로 있는다. 사용 시 반지에 있는 발바닥 문양의 발가락이 1분에 1개씩 줄어들며 모두 사라지면 변신이 해제된다. 인간에게 쓸 경우에는 그때그때 묘사가 다르다. 설정책에서는 갑자기 아프거나 재채기를 하거나 머리카락이 빠지게 되는 수준이라고 한 반면, 시즌 3 11화 '초능력 도둑, 미라큘러' 편에서는 '''갈비뼈가 부러졌다.''' 다만, 이는 블랙캣이 아닌, 미라큘러가 시전한 고대의 재앙에 블랙캣이 맞은 사례다. 고대의 재앙에 맞은 첫 번째 인간이 '''블랙캣 본인'''이라는 것이 참 아이러니. 시즌 2 25화 영웅의 날 에피소드에서는 볼피나가 만든 환각 안에서 블랙캣이 고대의 재앙을 맞고 먼지가 되기도 했다. 시즌 5 Destruction에서 모나크가 일부러 고대의 재앙을 팔에 맞았을 때 '''팔이 검게 탔으며 이후 고통으로 인해 수전증 증세를 보였다.''' 이때는 모나크가 레이디버그의 행운의 부적에 묶인 채로 순간이동을 했기 때문에 신비한 치유의 힘으로 복구하지 못했다. || [[파일:afdsfsffds.png|width=400]] || 이후 증세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처음에는 가브리엘의 팔목에 블랙캣의 손바닥 모양의 자국 형태로 나타났던 멍이 팔목 전체로 퍼지고 있고, 가브리엘도 갈수록 심각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미라클스톤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아들을 챙기라고 나무라는 나탈리에게 가브리엘은 팔목을 보여주면서 그러기엔 '이미 너무 늦었고, 이젠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하는데, 고대의 재앙으로 인해 시한부가 되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화이트캣 에피소드에서 블랙캣이 고대의 재앙으로 검은 나비를 파괴하는 장면이 나왔다. 치유가 아닌 공중분해라서 좀 잔인하긴 하지만. [* 파괴된 검은 나비를 신비한 치유의 힘으로 복구할 시 다시 검은 나비로 복구되는지는 불명이다.] 고대의 재앙을 쓸 때 파괴의 힘이 미치는 범위를 자신이 원하는 범위만큼 조절할 수 있는 듯하다. 한 번만 손을 대서 사물의 전체를 부순 적도 많고, 시즌 1 1화 '분노의 폭풍'에서는 고대의 재앙을 쓴 상태로 손을 간판 지지대에 대고 달렸더니 전체가 부서지지 않고 손에 닿은 범위만큼만 파괴되었다. 아니면 생각하지 않고 그냥 쓰면 '그 사물'이 통째로 혹은 연결된 부분까지만일 수도 있다. 고대의 재앙을 의도하지 않은 곳에 실수로 써 버린 경우 그런 경우가 많았다.[* 참고로 '영웅의 날 2' 편에서 고대의 재앙이 발동된 손으로 자신의 봉을 잡고 호크모스와 싸웠는데 봉이 파괴되지 않았던 것은 작화 오류로 밝혀졌다.] '파괴가 불가능한 것'에 시전할 경우에는 고대의 재앙의 효과가 우선되기에, 파괴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일례로 미라클스톤도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캐러페이스의 보호막에 시전하면 보호막이 파괴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다만, 1회용인 이상 현재로써는 큰 의미는 없어보인다. 검은 깃털이 들어가 생겨난 센티몬스터에 사용하면 센티몬스터가 파괴되는 것이 아닌, 센티몬스터와 검은 깃털 간의 연결이 파괴되어 센티몬스터가 폭주하게 된다. 행운의 부적에 비해 시전자의 역량에 따라 성능차가 큰 기술. 일례로 아드리앙이 사용하면 접촉한 물체가 파괴되는 선으로 그치지만, 플랙이 사용하면 도시 단위로 붕괴된다. 작중 플랙이 아틀란티스 대륙을 없애버렸거나 공룡을 멸종시켰다는 걸 보면 더 강한 파괴도 가능하다. 이것이 제대로 드러난 편이 화이트캣 애피소드인데, 화이트캣으로 빌런화됐을 때는 강화판인 메가 고대의 재앙으로 인간, 지구, 달은 물론 은하 단위까지 파괴했다.[* 참고로 이때는 평소처럼 손으로 해당 물체를 만져서 파괴하는 것이 아닌, 하얀 구 모양으로 만들어 날리는 방식으로 파괴했다.] 버닉스의 언급을 보면 차원 단위로 파괴하는 것도 가능한 모양. 호크모스가 강화시킨 거라지만, 비슷한 사례인 퀸 와스프의 경우 사용하는 횟수에 제한이 사라졌을 뿐이므로 기본적으로 이 기술의 잠재 성능이 뛰어난 것이다. * '''[[야간투시경|밤눈 상향]]''' || [[파일:02화 분노의 폭풍 2_1.gif|width=400]] || 시즌 1 1화 '분노의 폭풍'에서 빌런 스토미 웨더를 쫓을 때 불이 꺼진 복도를 블랙캣의 1인칭으로 보여준다. 레이디버그가 "난 너처럼 밤눈이 밝은 게 아니라..." 라는 대사를 하는 것으로 블랙캣에게만 있는 패시브 스킬임을 알 수 있다.--진짜로 잡스킬은 얘한테 다 준다-- 안타깝게도 이 능력은 '''시즌1 1화''' 이후로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이쯤 되면 제작진도 이 능력의 존재를 까먹은 듯. * '''뛰어난 청각''' || [[파일:17화 동물원의 폭주 2_1.gif|width=400]] || 시즌 1 17화 '동물원의 폭주'에서 빌런 애니맨이 독수리로 변해 냄새로 따라 쫓아올 때 먼저 소리를 듣고 숨었다. 이때 블랙캣의 고양이 귀가 팔락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시즌 2 17화 '트러블메이커'에서도 트러블메이커의 기척을 느낀 블랙캣의 귀가 팔락이는 장면이 나왔다. --귀가 4개라고?-- === 변신장면 === * 블랙캣 변신[* 참고로 1기 초반 변신 장면은 배경색이 검은 계열이지만 현재는 네온 그린 계열로 교체되었다.] || [youtube(qWhjrvxkSi4)] || * 아쿠아 블랙캣 변신 '''[[블랙캣(미라큘러스)/안습행보|아쿠아 레이디버그와 다르게 생략당했으며 시즌 3이 끝난 지금까지 나오지 않았으며, 시즌 4에도 등장했지만 마찬가지로 변신 장면은 나오지 않았다.]]''' * 아이스 블랙캣 변신 || [youtube(B11o_X9Nbzg)] || * 미스터 버그 변신 || [youtube(nO8FcowurzU)] || * 아스픽 변신 || [youtube(mLQkqD9lqyI)] || * 스네이크느와르 변신 '''[[블랙캣(미라큘러스)/안습행보|드래곤버그와 다르게 생략당했으며 나오지 않았다.]]''' 그래도 이번에는 활약이라도 잘 해서 다행이지.. * 아스트로 캣 변신 || [youtube(-txfI7IQULc)] || * 래빗캣 변신 || [youtube(IchnCyQBNro)] || == [[블랙캣(미라큘러스)/안습행보|안습행보]] == 블랙캣으로 활동하지만 작중 취급이 좋지 않다. 작중 설정은 '주인공'인데 비중이 마리네뜨에 비해 떨어져서 주인공 취급을 잘 못 받고 있다.(...) 오죽했으면 레벅 제작진들 중 하나인 [[삼지 애니메이션]] 운영자가 각 작품에서 주인공들의 수는 얼마인지 퀴즈를 냈었을 때 "레이디버그에서 주인공의 수를 셀 때 레이디버그의 블랙캣도 빼먹지 말아 주세요!"라고 말했을 정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드리앙 아그레스트/안습행보)]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대인관계|대인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드리앙 아그레스트/대인관계)] == 작중 행적 ==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1|시즌 1]] ===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2|시즌 2]] ===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3|시즌 3]] ===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스페셜|뉴욕/상하이 스페셜]] ===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4|시즌 4]] ===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5|시즌 5]] === == 어록 == >[Youtube(ltXQ7mPWfvA)] >'''She's Just a Friend''' >'''우린 그냥 친구야''' >---- >시즌 1 15화 <탄생 레이디버그 2>에서 마리네뜨를 생각하며 한 말.[* 마리네뜨는 항상 이 말에 관해 심한 컴플렉스를 갖고 있다. 시즌 3 종영 이후 한참 아드리앙과 선을 그을 때 마리네뜨 본인이 자신을 세뇌하기 위해 He's Just a Friend를 연발하는 모습도 그려졌었다. 다만 시즌 4에서는 저 발언이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았다.(!!!)](한국어 3:14) >'''"클로이는 어릴 때부터 아는 앤데, 마음에 안든다고 해서 친구를 팔 순 없잖아. 친구라고는 쟤 하난데."''' >---- >시즌 1 15화 <탄생, 레이디버그 2>, 이 말을 들은 니노는 아드리앙에게 악수를 청하고 둘은 친구가 된다. 질 나쁜 친구더라도 배신해서는 안된다는 아드리앙의 가치관을 보여준다. 비판 문서처럼 부도덕한 행동에 대해 방관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어릴 적부터 외출금지된 상태에서 클로이가 그의 유일한 친구였음을 고려해보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나는 단지 네 자리에 있던 껌을 떼주려고 했던 것뿐인데... 정말이야.''' >'''난 학교도 처음 다니고 친구를 사귄 적도 없어서 모든 게 좀 낯설어."''' > >(마리네뜨에게 우산을 건네주고, 천둥이 친다. 우산이 접혀버리고 둘은 웃는다.) > >'''"내일 보자."''' >---- >시즌 1 15화 <탄생, 레이디버그 2>, 이 말을 듣게 된 이후로 마리네뜨는 현재까지도 아드리앙 앞에서 [[사랑|제대로 된 문장을 말할 수 없게 됐다.]] >'''"미안한데, 이 몸은 아무나 막 따르는 고양이가 아니라서 말이야."''' >---- >시즌 1 16화 <변신! 클로이> >"고양이는 목숨이 아홉 개야!" >---- >무모한 짓을 할 때 단골대사. >'''"시는 없어도 돼, 한 마디면 되니까... 사랑해."''' >---- >시즌 1 10화 <큐피트의 화살>, 아드리앙이 집에서 레이디버그한테 줄 연애편지를 쓰는 걸 고민하면서 창문에 기대어 한숨을 쉬고 있을 때, 플랙이 그녀한테 줄 시가 잘 안 쓰여서 그러냐고 놀리자 한 대답이다. 아드리앙이 레이디버그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깊은지 알 수 있는 부분. >(플랙: 너 외출금지 아니였어?) >'''''아드리앙은 외출금지 당했지만, 블랙캣은 아니거든?''''' >---- >아빠한테 외출금지 당했을 때 자주 나오는 단골멘트. 플랙이 이의를 제기할 때 쓰인다. 사랑의 아이스크림 편에서는 플랙이 상기한 발언을 했는데 개무시하고 변신했다(...). >'''"그 사람이 없다면, 우리 둘 사이도 달라졌을까?"''' >---- >시즌 2 20화 <얼어붙은 도시>, 레이디버그에게 고백한 후 >'''"와... 기억이 없어도 난 저 애를 사랑하게 될 거야."''' >---- >시즌 3 6화 <사라진 기억> >'''"마이레이디, 싸우는 방법을 알아야 이길 수 있는 건 아니야.''' >'''즐기는 게 더 중요하지 않겠어?''' >'''현실에선 할 수 없던 것들을 해볼 수 있잖아?''' >'''그러니까 마음껏 즐겨, 마이레이디.''' >'''그럼 게이머는 너를 절대 이길 수 없어."''' >---- >시즌 3 13화 <게이머 2.0 편> 이 대사로 레이디버그를 각성시켰다. 이 대사 이후에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은 게이머를 상대로 연승행진을 이어간다. >'''"나한텐 [[마리네뜨 뒤팽-쳉|중요한 사람]]이야.''' >'''마리네뜨가 나랑 있을때 기분이 좋아지게 해야겠어."''' >---- >시즌 3 21화 <인형술사 마농 2>, 아드리앙이 마리네뜨를 매우 소중히 여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게 어떻게 친구야-- >'''"난 소중한 사람일수록 더 솔직하게 표현해야한다고 생각해."''' >---- >시즌 3 21화 <인형술사 마농 2>, 레이디버그가 소중한 사람에게 어떻게 그렇게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느냐고 묻자 한 대답. 이 대사를 들은 마리네뜨는 아드리앙에게 고백할 각오를 다진다. >(플랙: 하지만 아드리앙? 이 상황은 썪은 치즈 냄새가 나! 영웅끼린 서로 정체를 알면 안되는 거 알잖아!) >'''"내가 레이디버그의 정체를 알았다고 해서, 마리네뜨까지 알 필요는 없어! [[플래그|전혀 문제될 거 없다고]]! 맹세할게."''' >(플랙: 아드리앙! 구린내 나는 치즈는 상자에 넣어도 냄새가 난다고!) >---- >시즌 3 22화 <화이트캣>, 마리네뜨가 레이디버그임을 알게 된 직후 >'''"이제야 알았어. 넌 그냥 친구가 아니었어. 늘 그 이상이라고 느껴졌거든. 이제 그 이유를 알겠다."''' >(마리네뜨: 그럼... 내가 준 선물이 마음에 들었단 얘기야?) >'''"널 사랑한다는 얘기야."''' >---- >시즌 3 22화 <화이트캣>, 마리네뜨에게 키스하며[* 뒤에서 마리네뜨의 친구들이 전부 지켜보고 있다(...)] >'''난 [[마리네뜨 뒤팽쳉|널]] 믿어.''' >---- >시즌 3 22화 <화이트캣>, '''마리네뜨인 레이디버그에게.''' >(레이디버그가 자신의 실수에 대한 자책감으로 절망하자) >'''"잘 들어, 우린 지금 저 상상괴물이 보호막을 깨기 전에 [[마스터 푸]]를 구해야만 해.''' >'''그러려면 무엇보다 네가 필요해. 지난 일은 다 잊어버려."''' > >(레이디버그가 블랙캣을 껴안는다.) > >(레이디버그: 블랙캣, 늘 내 곁에 있어줘서 고마워.) > >'''"언제든 함께할게."''' >---- >시즌 3 26화 <진정한 선물 편>, 레이디버그를 다시 각성시킨 대사. 아울러 서로가 서로를 얼마나 소중히 여기는지 알 수 있다. >'''"우린 절대 서로 싸우지 않아. 대신 함께 싸우지."''' >---- >시즌 3 26화 <진정한 선물> 호크모스의 이간질에 반박하며. >'''"[[마리네뜨 뒤팽쳉]]만큼 날 웃게 만드는 사람은 없을 거야."''' >---- >시즌 4 5화 , 마리네뜨의 사과에 답하며. >'''"어렸을 때 난, 항상 부모님이 바라시는 내 모습이 되고 싶었어."''' >---- >시즌 4 18화 , 빌런의 능력에 당해서 어렸을 때의 꿈을 말할 때. >'''당신 잘못이 아니에요. 이전의 블랙캣은 감정적으로 나섰을지 몰라도 블랙캣이 당신을 사랑한다고 해서 당신이 더 많은 관심을 그에게 쏟아부을 필요는 없어요. 당신은 모든 영웅을 동등하게 돌보니까요. 그리고 이제는 제가 당신을 돌볼 차례예요.''' >---- >시즌 4 23화 , 캣워커의 상태로 레이디버그를 격려한 말. [* 캣워커 본인은 모르지만 레이디버그는 이 때부터 그에게 완전히 반해버려 임무에 집중하지 못한다.(...)] >'''"플랙, 난 이제 사진과 광고 촬영은 질렸어! 더 이상 아빠 브랜드의 모델도 하고 싶지 않아! 나는 그저 아들이고 싶어! 그리고 한 번 정도는 아빠와 함께 아침 식사를 하고 싶을 뿐이라고!"''' >---- >시즌 4 25화 , 빌런의 능력으로 내뱉은 본심. >'''"시도는 해봤는데 그렇게 할 수 없어. 나도 내가 이러는 이유를 모르겠어! 우리 아빠이고 난 아빠를 사랑해. 그리고 아빠가 나를 사랑하신다는 것도 알아. 그냥 뭐랄까... 너무 답답해."''' >---- >시즌 4 25화 , 아빠에게 대항해야 한다는 마리네뜨의 얘기에 한 말. >(레이디버그: 난 모든 걸 잃었어...) >'''"[[마리네뜨 뒤팽쳉|너]]는 나를 잃지 않았잖아."''' >---- >시즌 4 26화 , 자신의 실수에 자책하는 레이디버그에게 큰 힘이 되어준 한 마디 >'''"나는 내가 어색했다고 생각하지 않아. 사실, 더 놀란 것 같아. 네가 뭘 했는지가 아니라, 내가 어떻게 느꼈는지가. 그리고 내가 어떻게 느꼈는지는..."''' >---- >시즌 5 6화 , 마리네뜨에게 >(카가미: 질투심을 느껴?) > '''"잘 모르겠어. 내가 아는 건 내가 루카의 자리에 있고 싶다는 거야."''' >---- >시즌 5 6화 , 루카가 마리네뜨를 껴안았을 때 >(마리네뜨: 아! 나는 모든 걸 엉망으로 만들어! 나는 재앙을 불러온다고) >'''"하지만 왜 그렇게 말해? 네가 날 조각상으로 생각하고 키스했던 것은 전혀 재앙이 아니었어. 나를 믿어!"''' >(마리네뜨: 난 네게 모든 걸 말하고 싶어. ) >'''"마리네뜨, 넌 내게 모든 걸 말할 수 있어."''' >---- >시즌 5 6화 , 모든 걸 말할 수 없어 답답해하는 마리네뜨에게 >'''"네 능력에 대해 잘못 알고 있어, 마이레이디! 네 진짜 힘은 절대 물체 자체에 있지 않았어!''' >'''행운의 부적은 항상 그걸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내야 하는 거잖아!"''' >---- >시즌 5 6화 , 행운의 부적을 사용하지 못하는 레이디버그에게 >(레이디버그: 아까 전엔 고마웠어. 밀랍 인형인 널 없앨 수가 없었어. 우리가 다른 영웅들 없이 다시 둘이 된 이후, 널 다르게 보게 됐거든. 너에 대한 내 감정이... 바뀐 것 같아. 내가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는 것들을 너와 공유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 >'''"네 기분이 어떤지 알아. 이제 우리 사이에 더 이상의 오해는 없어, 마이레이디. 이제 우린 정말로 세계 최고의 파트너야. 그것만큼은 간단해. 정말 고마워. 덕분에, 마침내 내 진심이 무엇인지 깨닫게 됐어. 말이 나와서 말인데... 난 이만 가봐야겠어. 끝내야 할 중요한 일이 있거든."''' >(레이디버그: 정말 지금 가야 하는 거야?) >'''"곧 있으면 변신이 풀릴 거야. 하지만 우린 곧 다시 보게 되겠지"''' >---- >시즌 5 6화 , 레이디버그에게 >'''"나, 사랑에 빠진 것 같아."''' >---- >시즌 5 6화 , 마리네뜨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자각한 후 >'''"그건 너도 같아. 네가 여기 있는 것만으로도 벌써 기분이 좋아져.''' >'''넌... 넌 항상 옳은 말을 해줘. 넌 정말 특별해, 마리네뜨."''' >---- >시즌 5 7화 , 자신을 위로해준 마리네뜨에게 계획 없이 한 고백[* 이 말을 들은 마리네뜨는 분위기가 이상해지자 당황하며 도망가듯 자리를 떠났다.] >'''"라디에이터, 호루라기, 트럼프 카드를 가지고 생각한 기발한 계획을 말해줬어? 모두 나에게 설명 없이 했잖아."''' >'''"그러니 오늘은 나만 믿으면 돼. 믿어줄 거지?"''' >(레이디블랙: 물론 널 믿지.) >---- >시즌 5 7화 , 레이디블랙이 미스터버그의 계획을 의심할 때 한 말. >'''"아드리앙 아그레스트를 사랑했어요?''' >(마리네뜨: 네. 하지만 그건 날 최악의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들었죠. 견디기 너무 힘들었어요.) >---- >시즌 5 9화 , 마리네뜨가 아드리앙을 사랑했음을 알게 된 후 >(마리네뜨: 그러면 블랙캣, 블랙캣은 더 이상 레이디버그를 사랑하지 않아요?) >'''"네. 견디기가 너무 힘들었어요. 그건 단지 날 최악의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들 뿐이었죠. "''' >---- >시즌 5 9화 , 마리네뜨가 블랙캣에게. >'''"마리네뜨, 내게 키스해요!"''' >---- >시즌 5 9화 , 검은 나비에 지배당하기 직전의 마리네뜨에게 >(레이디버그: 정말 마리네뜨를 사랑하게 된 거야?) >'''"그게.. 복잡해.."''' >(레이디버그: 하지만 네가 내게 더 이상 감정이 없다는 건 분명해.) >'''"그건 정말 사실이 아니야, 마이레이디. 그냥 내 감정이 변했다고 말하자. ''' >'''난 여전히 널 사랑해, 친구로서."''' >---- >시즌 5 9화 , 자신의 진심을 전하는 블랙캣[* 이 대화 직후 친구로서 임무완수 동작을 했다.] >'''"오늘 있었던 일들은 미안했어요, 마리네뜨. 마리네뜨 말이 맞아요. 마리네뜨는 마리네뜨가 원하는 누구든 사랑할 권리가 있어요. 심지어 그게 슈퍼히어로일지라도. 하지만 슈퍼히어로에 대한 팬심을 사랑으로 착각하기 쉬워요. 그래서 내가 이 사람을 매우 좋아한다고 해도, 난 그 상황을 이용할 수 있고 그저 위험을 감수할 순 없어요. 그건 옳지 않으니까."''' >(마리네뜨: 하지만 만약 내가 블랙캣에게 키스하길 원한다면..) >'''"그건 당신의 권리예요, 마리네뜨."''' >---- >시즌 5 9화 , 블랙캣이 마리네뜨게[* 이 대화에서 영웅으로서 블랙캣의 책임감이 잘 묻어난다.] === 마이레이디 === >'''milady~''' >---- >'''마이레이디~''' '마이레이디'는 블랙캣이 레이디버그한테 자주하는 말이다. 워낙 자주 쓰는 표현인지라 팬들이 블랙캣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바로 이 대사. 작 중에서도 '마이레이디'는 블랙캣의 상징이자 정체성같은 대사다. 오죽했으면 아드리앙이 카가미에게로 마음을 돌리고 레이디버그를 '레이디버그'로 호칭하자, 레이디버그가 블랙캣보고 왜 이제는 마이레이디라고 안 부르냐고 물을 정도. 그 말을 들은 블랙캣은 혹시 류코를 질투하는 거냐며 흡족해했다. 심지어 <사라진 기억> 편에서는 기억을 잃었음에도 새롭게 이 표현을 떠올리고 다시 사용했다. 이쯤되면 본능인듯. 발음이 비슷해서 오해하기 쉽지만 'My lady'가 아니라 'milady'다. 원래는 여성에 대한 고풍적인 존칭으로 의역하자면 "[[아씨]]" 정도의 뜻을 가지며, 현대에는 진지한 존칭으로서가 아닌 장난섞인 어조로 사용된다. 아드리앙의 국적이 프랑스이며, 프랑스어로 My lady에 해당하는 단어는 Mademoiselle에 가깝다. ~~영어를 쓴다는 설정일 수도 있다.~~ 하지만 영문판 위키조차 [[https://miraculousladybug.fandom.com/wiki/Marinette_Dupain-Cheng|'My Lady'로 소개]]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튜브에도 'cat noir'를 검색하면 'My lady'가 연관 검색어로 뜨지, 'milady'로 뜨지 않는다. 즉, 영어 화자들도 'My lady'로 인지하는 비율이 적지 않다. 다만 영어 더빙을 자세히 들어본다면 발음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아드리앙 아그레스트가 자신의 대표 캐릭터라고 생각하는 [[남도형]] 성우조차도 이렇게 알고 쓴다.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면, 'Milady'라는 표현도 'My Lady'라는 표현이 변천을 거쳐 생긴 단어라는 사실이다. [[https://en.m.wikipedia.org/wiki/Milord|#1]][[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989&cid=42596&categoryId=42596|#2]][* 'milord'가 'milady'의 남성형이며, milady라는 단어의 설명 상당수는 milord라는 단어의 설명으로 갈음되고 있다.] 블랙캣이 레이디버그를 부르는 애칭에는 'Bugaboo'(미국판)나 'Buginette'(프랑스판)도 있다.[* 한국 더빙판에선 때에 따라 다르지만 '무당벌레 아가씨'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프랑스에서는 이름 뒤에 '~에트(~ette)'를 붙이면 애칭이 된다. 절묘하게도 마리네뜨(Marin'''ette''')의 이름도 같은 원리로 지어졌다. == 2D 버전 == '''펠릭스 아그레스트 / Felix Agreste''' [[파일:IMG_20180226_103200[1].jpg|width=400]] [[파일:external/s9.postimg.org/CN_IOYr_UAAEt_Boe.jpg|width=400]] [[파일:external/s7.postimg.org/4b59650c_5cd6_4def_cd3e_ea65daf0ea78.png|width=400]] 초기 남주인공. 공식에서 펠릭스 성은 아드리앙과 같은 '아그레스트'였다는 게 밝혀졌다. 금발 바람 머리라는 점은 똑같으나, 아드리앙과는 '''별개의 인물'''이다. 날카로운 인상을 지닌 단정한 도련님 스타일이다. ~~그리고 모에 소매다.~~ 차분한 이미지와 다르게 가방을 한 쪽 어깨에만 걸치고 다닌다. 초기 설정의 2D 마리네뜨(팬덤명 투디네뜨, 브리지테)보다 연상이었다고 한다. 성격은 아드리앙에 비해 어둡고 과묵한 편. 조금 소심하다고도 하며, 웃는 법을 잘 모른다고. 하지만 블랙캣으로 변신하면 밝고 활발해지는 것은 동일하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며, 자신에게 주어진 불운한 힘(저주)을 싫어하며 벗어나고 싶어하고, 파리가 어떻게되든 관심없다는 생각을 한다는 걸 보니 상당히 염세적인 성격으로 보인다. 그리고 키가 상당히 크고 체격도 좋아보인다. 특기는 육상과 복싱. 미라클스톤은 본편과 동일하게 반지이나, 디자인이 지금과는 상당히 다른데, 검은 스핑크스 고양이 얼굴 모양이며, 이마는 빨간색의 보석이, 눈은 초록색의 보석이 박혀 있다. 이 반지에 불행의 저주가 걸려있고, 레이디버그의 키스를 받지 못하면 반지를 뺄 수 없다는 설정이 있었다. 그러니 이쪽은 처음부터 레이디버그에게 진심으로 사랑 고백을 한 게 아니라 저주를 풀기 위해 구애해왔던 것. 블랙캣 복장은 현재와 많은 차이가 있다. 우선 머리카락이 변신 전보다 길어져 뻗친 장발이 되 원래 귀가 있던 자리를 덮고, 긴 바보털과 가르마가 생기고, 머리 위에 고양이 귀가 돋아난다. 인간 귀는 사라지는 걸로 보아 반 수인화가 되는 듯. 덧붙여 송곳니가 생기고, 눈동자가 벽안이 되며, 목깃이 길게 세워져있고, 옷의 방울이 크다. 그리고 딱 달라붙는 쫄쫄이 옷인 아드리앙의 블랙캣과는 달리, 이쪽은 옷 주름이 있다. 또, 허리에 벨트로 비스듬히 반 감겨진 눈에 초록색 보석이 박힌 고양이 모양 장식이 있고, 벨트를 2개 착용하며, 긴 벨트가 마치 꼬리처럼 감정에 따라 움직이기도하고 롱부츠(!)를 신고 있으며, 손바닥과 부츠의 바닥에 분홍색 고양이발살(!!)이 있다! 다만, 레이디버그와 달리 따로 무기를 보이진 않았다. 당시 제대로 된 설정이 잡히지 않아서 그런 듯. 레이디버그에 비해 허당인 점은 여전하다. 마임이 일으킨 폭발에 휘말렸을 때 여유로운 미소를 지으며 날아가는 레이디버그와 달리 입을 벌리며 맥을 못 추고 나가 떨어졌다… 다만, 이 블랙캣은 자신이 허당이고 싶지 않아도 저주의 힘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게 차이. 펠릭스라는 이름은 팬들이 요술고양이 펠릭스에서 따온 이름이 아드리앙과의 구분을 위해 정착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감독이 요술고양이 펠릭스가 아닌 행복이나 행운이란 뜻의 라틴어 단어에서 따왔다고 밝혔다. || [[파일:firstscrteofadrian.jpg|width=100%]] || ||<-2> 펠릭스가 남주인공 자리를 박탈 당하자[br]감독이 다시 고안해 낸 '아드리앙 아그레스트'[* 다리가 불편하다는 초기 컨셉에 맞추어 지팡이를 짚고 있다.] || 결국 본편에서 남주인공은 아드리앙으로 교체되었다. 감독은 한동안 이 캐릭터를 다시 내보낼 것을 고려했으나 현재는 그 생각을 완전히 접은 모양.[[https://twitter.com/OrangeRux/status/647421010296238080|#]][[https://twitter.com/Thomas_Astruc/status/698923032044269568|#]] 인용한 트윗 외에도 펠릭스는 클리셰적인 캐릭터이며 장편 애니메이션엔 어울리지 않는다고 트위터에서 수 차례 언급했다. 그와 제작진이 펠릭스 대신 아드리앙을 본편에 등장시킨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팬이 업로드한 텀블러 글을 공유한 적도 있다. [[http://marblegreensreviews.tumblr.com/post/134120632411/felix-and-why-adrien-is-the-better-character-and|#]] 다만 남주인공이 아드리앙으로 교체되면서 펠릭스와 상반되는 건 다정하다는 것밖에 없다는 게 마음에 걸렸는지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의 초기 설정은 일상생활이 제한되는 몸을 가진 장애인이었으며 목발에 의존하는 캐릭터였다. 위의 컨셉 아트를 자세히 보면 아드리앙이 오른쪽 손으로 뭔가를 짚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후에는 목발은 영구적인 컨셉에 맞지 않아, 지팡이를 짚고 다니는 것으로 변경되기도 하였지만 결국 스토리 영향과 이후 영웅활동에 오차가 있을 것을 생각하여 아드리앙이 장애인이라는 설정은 삭제되었다. 그리고 마냥 다정하기만 하는 아드리앙의 캐릭터성에 후에는 아버지에게 반항할 줄도 안다는 설정을 부하하였다고 했지만 아직까지는 관련 에피소드가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아버지에게 반항하지 못하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 최근에는 펠릭스 관련 질문을 할 때마다 고양이가 죽는단 말을 하며 질문 자체를 거부했다. 감독의 펠릭스 배척 태도는 유명한데, 펠릭스에 관한 질문은 무조건 날이 서 있거나 심드렁한 반응에, 심지어 질문한 팬에게 펠릭스를 비꼬는 말을 하거나, 팬이 쓴 아드리앙과 비교하며 펠릭스를 까내리는 글을 동의한다며 자신의 공식 계정에 가져오는 등 유독 냉랭한 태도를 보인 적이 많다. 그 정도가 지나치며 논란이 잦으니 팬덤에 피바람을 몰고 온 적이 몇 번이나 있었다.. 이 캐릭터가 사라진 것을 많이 아쉬워하는 팬들도 많아 지금 현재 해외에서는 아드리앙과 형제로 밀어주는 2차 창작물이 많은 편이다. 주로 아드리앙이 동생, 펠릭스가 형 역할. 시즌 3의 23화에 아드리앙의 사촌인 [[필릭스 파톰|필릭스]]가 등장한다. ~~2차 창작이 공식화되는 위엄~~ 헤어스타일이 2D의 펠릭스와 판박이며 외모도 아드리앙과 동일하다 보니 필릭스가 아드리앙으로 분장해서 마리네뜨를 곤란하게 만들기도 한다. 팬들의 우려와 마찬가지로 악역이 되어 팬들은 대실망 중이다. 하지만 성이 '아그레스트'에서 '파톰'[* 초기에는 '그레이엄 드 바닐리'로 알려져있었다.]으로 바뀐데다가 번역이 되는 과정에서 펠릭스가 필릭스가 되어버린 것에 "다행이다" 라는 반응도 있었다. == [[아드리앙 아그레스트/비판|비판]] == == 기타 == === 센티몬스터 설 === [[호크모스|가브리엘]]의 과잉 보호로 인하여 한 때 센티몬스터설이 돌았는데[* 가브리엘과 에밀리는 과거에 아드리앙을 잃었고, 에밀리는 아드리앙을 센티몬스터로 만들었으나 진짜 인간과 똑같은 삶을 살길 원한 에밀리가 너무 과도한 힘을 써서 혼수상태에 빠졌다는 설이다. 아드리앙(몬스터)을 소멸시키면 에밀리도 다시 살아난다는 의견도 있다.], 시즌 4 13화 옵티가미 편에 따르면 센티몬스터는 거울에 약간 투명하게 보이는 반면 아드리앙은 거울에 투명하게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닐 것이라며 떡밥은 잦아들었다. 그러나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4|Mega Leech, Wishmaker]] 에피소드가 공개된 이후 해외 팬들이 이 센티몬스터설을 다시 언급하기 시작했다. 토마스 감독이 말하기를 아드리앙이 센티몬스터여도 나이를 먹는 것과 마리네뜨와 이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후사를 낳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다만 만약 검은 깃털이 들어간 물건이 파괴되면 후사까지도 사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리고 시즌 4 22화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시즌 4 #s-22|에페메랄]]> 에피소드에서 [[가브리엘 아그레스트]]가 왼손 약지에 끼인 결혼반지를 돌려가며 아드리앙을 자신의 명령에 따르도록 완전 복종하게 하는 모습이 두 번이나 그려지게 된다. 이 때부터 반지에 깃털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냐는 설이 다시 제기 되었고 이보다 후에 공개된 시즌 4 9화 <가브리엘 아그레스트> 에피소드에서 가브리엘이 조카인 필릭스에게 반지와 능력으로 필릭스의 존재를 협박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시즌 4 25화 <리스크> 에피소드에서는 시즌의 피날레인 만큼, 여러 떡밥이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 되었다. 역시나 이 에피소드에서 가브리엘은 아드리앙을 자신의 계획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런던으로 몇 달 씩이나 보내며 그런 아드리앙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가브리엘 자신이 착용하던 결혼 반지를 나탈리에게 넘겨주며 아드리앙과 동행하도록 하는 모습이 보여졌다. 게다가 아드리앙으로 변장한 필릭스가 가브리엘의 요구에 대항하자 여느 때와 같이 명령하려던 가브리엘은 갑자기 당황하며 말 하는 것에 주저하고 반지가 안 끼워진 자신의 약지를 무의식중에 만져댄다. 이를 인지한 나탈리가 명령하자, 바로 수긍하고 순순히 따르는 아드리앙으로 변장한 필릭스의 모습에, '''아드리앙과 필릭스, 이 둘의 센티몬스터설이 재점화되고 있으며 이미 확실시 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화이트캣 편에서 파리가 초대형 테러를 당했었는데 아드리앙은 사라지지 않은 걸 보면 만약 아드리앙이 센티몬스터가 맞을 경우 설정오류가 된다. 초대형 고대의 재앙에 맞아 호크모스가 죽었으면 반지도 파괴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이트캣 에피소드와 아드리앙이 센티몬스터라는 설정이 시즌2에서부터 구상되었다는 관계자들의 얘기로 보아 제작시기에 따른 설정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만약 필릭스도 센티몬스터라면 깃털이 들어간 오브젝트는 자신이 시즌 3에서 훔쳤다가 다시 가브리엘에게 돌려준 그 반지일 가능성이 크다. 즉 지금의 필릭스는 조종 받지 않는 상태라 가브리엘에게 반항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일부 관계자들은 아드리앙이 진짜 센티몬스터가 맞냐는 팬들의 질문에 시인하는 답장이나 이모티콘을 올리고 있어 팬덤이 불타고 있다. 이후엔 공식 엠베서더조차 트윗을 통해 가브리엘과 아드리앙이 함께 있는 사진들을 올리며 "가브리엘도 한때는 센티몬스터에게 감정적이었던 적이 있었다"라는 글을 남겨 아드리앙이 센티몬스터가 맞음이 사실화 되었다. === 작품 내 === * 시즌1 10화에서 나온 서명은 다음과 같다. [[파일:아드리앙_아그레스트_서명.jpg|width=50%]] * 시즌3 25화에 따르면 아드리앙에 대응하는 아이스크림은 페퍼민트 맛이다. * 아드리앙은 처음 학교를 다니기 전에는 주로 집에서만 있었다 보니 다른 사람들과 만날 기회가 없었고, 주로 텔레비전을 보거나 만화와 일본 애니메이션을 봤었다고 한다. 게다가 요정 티키를 처음 만났을 때는 놀라며 첫 변신 때 서툴었고 요요를 초반에는 잘 다루지 못했던 마리네뜨와는 달리 [[오타쿠|아드리앙은 일본 애니를 본 영향인지]] 요정 플랙을 만나니까 신기해하고 처음부터 자연스럽게 변신 포즈를 취했으며, 처음부터 봉을 잘 다루고 적극적이었다. 레이디버그한테 하는 행동도 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혹은 일본 애니를 보고 배웠으며 사회성 부족은 여기서 왔다고 한다. --그것도 없었으면 부족은커녕 없었을지도 모른다.-- * '''아버지가 호크모스'''다. 처음에 레이디버그가 가브리엘이 호크모스로 추측하고 그의 회사 로고 나비를 증거로 보여줬을 때 흔들리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자신의 아버지가 빌런화한 걸 보고 호크모스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안심한다. 그 이후로 계속 악당인 아버지와 영웅인 아들 사이의 눈치싸움이 계속 벌어지는 중이다.[* 물론 서로의 정체는 서로 모른다.] * 아버지인 가브리엘이 [[포켓몬 GO]] 게임을 금지시켜서 하지 못한다. 어지간한 외출도 다 금지. 시즌 2 4화 '사랑의 아이스크림'에서 식사시간에 자신을 기다리라 해놓고 오지 않아서 아드리앙이 이럴 거면 대체 왜 기다리게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투덜댔다. * 시즌 2 19화 '악몽을 부르는 샌드보이'에서 밝혀진 아드리앙의 악몽은 '감금당하는 것'. 집의 창문이 모두 쇠창살로 바뀌고, 더 나아가 더 좁아져서 감옥처럼 되는 악몽을 겪었다. 본인이 자유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기에 플랙에게는 자유를 완전히 보장한다. 한편 블랙캣으로서의 악몽은 '레이디버그와 적으로 만나는 것'. 불행 중 다행히도 이 악몽은 '''레이디버그가 세뇌되는 것'''이 아니라 '''가짜 레이디버그가 등장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사실 이때 레이디버그가 세뇌당하는 스토리로 갔으면 블랙캣은 100% 졌다. 이미 고대의 재앙도 쓴 데다가 '변신 클로이' 편에서 증명된 것처럼 본인보다 전투력이 높은 레이디버그에게 밀리다 미라클스톤을 뺏길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런 스토리로 간 듯하다.][* 한편, 마리네뜨는 마리네뜨로서의 악몽은 아드리앙이 클로이를 사랑하는 걸로 나왔고, 레이디버그로서의 악몽은 초능력을 잃는 것으로 나왔다. 이 때문에 신체능력이 일반인 수준으로 너프되고 요요도 쓸 수 없었다.] 이 레이디버그는 블랙캣을 가루로 만들겠다고 하면서 다시는 사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 음식은 과일(특히 패션후르츠), 반려동물은 [[햄스터]]를 좋아하는 듯하다. 본인의 망상 속에서 레이디버그에게 고백할 때는 "다 버리고 평생 과일만 먹고 사는 거지! 그리고 우리 작은 햄스터도 키우자! 어 이름은 뭘로 좋을까?"였다. 공교롭게도 마리네뜨도 망상 속에서 아드리앙에게 햄스터를 키우자고 했다. ~~사랑하면 닮는다더니...~~ * 고양이라는 컨셉 때문인지 블랙캣으로 변신한 상태에서 고양이 같은 행동을 하기도 한다. 레이디버그가 턱을 긁어주면 정말로 좋아하며, 네 발로 달리기도 한다. 시즌 1 1화 '분노의 폭풍'에서 레이디버그가 자신의 벨트 꼬리를 당기자 어루만졌고, 시즌 1 25화 '향수 공주'에서는 물에 젖은 자신의 손을 혀로 핥았으며, 시즌 2 3화 '시청률의 여왕'에서는 갸르릉거렸다. * 잘 부각되지는 않지만 이쪽도 '고대의 재앙' 기술을 쓸 때 머리를 잘 쓴다. 그러나 레이디버그가 작중에서 혼자만 돋보일 정도로 워낙 똑똑한 모습을 많이 보여준 데다가 블랙캣은 머리를 쓰는 것보다는 행동으로 먼저 나갈 때가 더 많았다 보니 브레인 취급을 받지 못한다. * 겉보기와는 다르게 평소에도 힘이 꽤 센 듯하다. 당장 클로이의 어깨를 잡은 채 클로이를 들어올리면서 옮긴 것과 클로이가 악어를 발견하자 무서워 아드리앙 어깨 위에 올라탔는데도 아드리앙이 균형을 잃지 않고 자신의 어깨 위에 올라온 클로이를 잘 잡아준 것을 보면... * 공식에서도 작품 내적으로도 언급했듯이 아드리앙 모습일 때는 마리네뜨를 포함한 사람들 사이에서 미남 소리를 듣는 편이지만 변신 후일 때는 사람들 사이에서 예쁘다, 멋지다는 언급이라도 있는 레이디버그와는 달리 외모에 대한 그러한 말이 전혀 없는 걸보면 의외로 블랙캣 모습일 때는 설정상 외모가 가려지는 듯하다. * 시즌 2 12화 '새로운 영웅'에서 블랙캣이 '유제품은 소화가 잘 안 되는데...'라고 한 걸 보면, [[유당불내증]]이나 비슷한 걸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는 고양이가 유당불내증이 있다는 것에서 한 농담일 가능성이 더 높다. 원판대사는 그냥 생크림에 유당이 들어있으면 안 된다는 것이였다. 시즌 4 2화에서는 우유를 멀쩡히 마셨다.--우유 곱빼기-- 이 외에도 깃털 알레르기가 있다. * [[사랑 때문에 개고생]] 속성도 있다. 자세한 이유는 [[클로이 부르주아]]와 [[라일라 로시]] 문서 참고. 오죽 했으면 위안이 되는 인물이 마리네뜨밖에 없냐는 정도. * 마리네뜨(레이디버그), 클로이, 라일라, 카가미 등 꽤 많은 여성인물들이 그를 좋아하며, 모델로서 팬도 많다. 이 때문에 마리네뜨에 비해 아드리앙은 너무 많은 여성과 엮인다며 불만을 제시하는 해외 팬들이 꽤 있을 정도.[* 한국에도 이런 구도에 불만을 가진 팬들이 많다] 클로이와 라일라가 자신을 좋아하는 건 알지만, 모두가 다 눈치 챈 마리네뜨의 짝사랑은 잘 모른다. 카가미와도 새로운 관계가 되는지 제작진의 시즌 2 Overview에 따르면 "아드리앙은 시즌 2 7화 '펜싱의 고수' 편에서의 첫 등장 이후 전학 오게 된 카가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고, 마리네뜨가 그걸 눈치 챈다."라고 한다. * 레이디버그의 미인계에 약하다. <인형술사 마농2> 편에서는 밀랍인형 레이디버그가 키스를 하는 척하며 미라클스톤을 빼려들자, 밀랍냄새를 맡기 전까지 꼼짝없이 당하고 있었고, <억울한 누명> 편에서도 감정괴물 레이디버그가 키스를 하는 척하며 미라클스톤을 뺏으려 했을 때 완전히 속아넘어갔다. <화이트캣> 편에서는 레이디버그보다 압도적인 전투력을 지닌 상태였음에도 레이디버그가 키스를 시전하려들자 무방비 상태로 있다가 검은나비가 들어있는 방울을 뺏기고 정화당했다. 반면 <큐피드의 화살>에서는 고백을 하려다가 화살에 맞은 뒤에 싸우자고 하더니, (갑자기 전투에서 밀려나던) 레이디버그가 '야옹아, 우리 심심한데 뽀뽀나 할까'하고 다가오자 '이런 짐승'하면서 달아나는 면모를 보인다. * 발냄새가 심하다. 그 비위 좋은 플랙이 아드리앙의 신발 냄새를 맡고는 '''[[까망베르 치즈]]보다 지독하다'''고 평했다. * 시즌 1 3화 '두 명의 블랙캣'에서 알 수 있는 아드리앙의 전화번호는 +33635124이고, 시즌 2 9화 '고릴라가 된 경호원'에서 알 수 있는 아드리앙의 이메일 주소는 'adrien@agreste.mode'이다. * 카가미가 키스하려 들었을 때 첫키스가 상상한 것과는 다르다며 거부한 것을 보아 아직 키스를 해본 적이 없는 듯. 정확히는 '사랑의 큐피드' 편과 '사라진 기억' 편, 레이디버그를 상대로 총 두 번이나 해본 적 있지만 기억을 못하니 예외... * 매 시즌 22화마다 수난을 당하고 있다.(...) 시즌 2에서는 스타일 퀸에 의해 황금 동상이 되어 '''변신도 못한 데다가''', 시즌 3과 시즌 4에서는 '''[[호크모스|호크모스]]에게 지배당한다...''' ~~Catch-22[*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을 뜻하는 영어표현이 Catch-22이다.]~~ 22화에서 아드리앙이 고생하지 않았던 건 시즌 1이 유일하다. 이때는 오히려 아드리앙이 다른 인물들보다 멀쩡했다.[* 시즌 1 22화에서 아드리앙(블랙캣)은 비중이 살짝 적긴 하지만 공격을 당하거나 구르는 모습은 단 한 번도 안 나왔다. 반면 레이디버그는 픽셀레이터의 빛에 스쳐 한쪽 팔과 한쪽 다리를 못 쓰는 채로 전투하는 수난을 당하였고, 빌런이 미라클스톤을 뺏는 일보다 자그드 스톤을 잡는 일을 더 중요시해서 초반부에는 자그드 스톤이 더 굴욕을 당하였다. ~~[[스톤|라임이 맞는다]]~~] === 작품 외 === * 팬서비스 차원으로 [[https://www.instagram.com/adrienagrestebrand/|공식 인스타 계정]]도 생성됐다. * 블랙캣의 모티브는 [[배트맨 시리즈]]의 [[캣우먼]]이라고 한다.[* 하지만 블랙캣은 레이디버그의 모티브인 스파이더맨과 닮은 점이 더 많다. 전투 중 수다스럽고 농담을 잘하지만 평소엔 내성적인 모범생이고 온갖 불행이 닥쳐오는데다 소중한 사람 중 한 명을 잃은 것까지 정말 닮은 점이 많다.] * 시즌 1에서는 블랙캣일 때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에게 반말을 하였지만, 시즌 2에서는 번역가가 바뀌어서인지 레이디버그와 빌런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에게 존댓말을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새로운 히어로인 레나 루즈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 어느 나라에서나 공통적으로 레이디버그라고 불리는 [[마리네뜨 뒤팽-쳉|레이디버그]]와는 달리 블랙캣은 나라마다 명칭이 다르다. 프랑스판과 일본판에서는 샤 누아르(Chat Noir/シャノワール), 영미판에서는 캣 누아르(Cat Noir), 우리나라에서는 블랙 캣(Black Cat), 러시아판에서는 슈퍼 캣(Super Cat)으로 불린다. * 아드리앙의 성우의 목소리 톤, 느낌이 프랑스, 미국, 한국 다 다르다. 프랑스판 아드리앙 목소리는 순수하고 허스키한 목소리인 반면 북미판은 톤이 높고 까부는 느낌이 드는 목소리이다. [[남도형|한국판의 목소리]]는 담백하고 상냥한 목소리로, 소년 같은 프랑스, 미국판과는 달리 부드러운 저음이다. 또한, 변신 전/후 목소리가 별로 달라지지 않는 프랑스, 미국판과는 달리 한국판은 변신 전에는 차분하고 상냥한 목소리라면 변신 후에는 톤을 높여 밝고 장난끼 있는 목소리가 된다. * 컨셉 아트에 따르면 '블랙 홀'과 '블랙 스톰'이라는 필살기를 가지고 있었지만 고대의 재앙으로 대체됐다. 블랙 스톰은 광역기로, 블랙 홀은 트랩으로 보인다. *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아드리앙은 예전부터 실망을 많이 겪어봐서 기대를 하지 않기 때문에 빌런화될 가능성은 적을 거라고 밝혔다. 정확히 해석해보자면, '그는 실망에 매우 익숙해서 '''아직까지는''' 빌런이 된 적이 없다'이다.[* Adrien '''has not yet been akumatized''' because he is so used to disappointment.] 시즌 2에서 밝혀진 호크모스의 정체가 아드리앙의 아빠, 가브리엘 아그레스트였기에, 아드리앙이 아무리 속상해했어도 호크모스가 그에게 검은 나비를 보내지 않았던 이유도 알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시즌3에서 '화이트캣'으로의 빌런화되었다. 아드리앙 또한 알리야, 니노, 알릭스(미래에 토끼 미라클스톤을 보유하게 된다.), 막스(시즌 3 14화 한정으로 미라클스톤을 보유), 킴(막스와 동일), 클로이, 가브리엘 아그레스트(가브리엘은 원래도 악당인 호크모스이지만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시즌 2 2화 때 컬랙터로 스스로 빌런이 된다.), 나탈리 생쿼(시즌 3부로는 악당인 마유라로 자리 잡았지만, 그 전에 호크모스를 돕기 위해 시즌 2 25~26화 중반까지 카탈리스트로 빌런화 된 적이 있다.) 루카(막스, 킴과 동일), 카가미(용 미라클스톤을 잠시 보유)를 이어 열한 번째로 미라클스톤 보유자인 동시에 빌런화된 경험이 있는 인물이 된다. 하지만 신비한 치유의 힘으로 없는 미래가 됐다.[* 참고로 아드리앙이 빌런화된 화이트캣은 가장 긴 시간 동안 빌런화된 빌런이며, 가장 많은 킬카운트를 가졌으며 유일하게 자신의 가족을 죽인 빌런이다. 게다가 킬카운트가 '''우주 전체가 될 수도 있었다.'''] * 해외 팬들은 '시나몬 롤'이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 이름 'Adrien'은 'Hadria' 출신의'라는 뜻인데, Hadria라는 지역 근처에 있는 해변인 Adriatic Sea의 모래 색이 검은색이어서 보통 '어두운 자'로 해석이 된다고 한다. 성 'Agreste'는 프랑스어로 '시골의, 지방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나비의 일종인 '[[https://ko.m.wikipedia.org/wiki/%EC%82%B0%EA%B5%B4%EB%9A%9D%EB%82%98%EB%B9%84|산굴뚝나비]]'[* [[https://fr.m.wikipedia.org/wiki/Agreste|프랑스 위키백과의 Agreste 문서]] 한국에도 서식한다. 멸종위기등급이 LC(최소관심)인 걸 보아 세계적으로는 흔한 것 같은데 한국에서는 희귀종.] 의 프랑스어 이름이기도 하다. 즉, '아드리앙 아그레스트'에 담긴 의미를 적절히 해석해보면 '''검은 나비'''다. 아빠인 가브리엘 아그레스트가 호크모스라는 것의 복선일 수도 있다. * 여담으로 폴란드어로 Agreste를 발음하면 구즈베리(gooseberry)를 의미한다고 한다. * 세례명(혹은 다섯번째 미들네임)인 '아타나시우스'는 '삼위일체'라는 이름을 정립한 성인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adybug1&no=2449|관련글]] * 세일러문에 등장하는 [[치바 마모루|턱시도 가면]]이랑 닮은 점이 많다. 변신 전에는 인기많은 미소년/미청년이지만 [[츠키노 우사기|단 한]] [[마리네뜨 뒤팽-쳉|사람]]만을 바라보는 순정남이고, 변신 후에는 검은 계열의 복장이다. 또 사용 무기가 봉이고, 칼싸움을 잘하는데다 붉은 장미와 연관이 많이 된다. 그리고 둘 다 변신후에 안습한 포지션이 된다... * 2021년 담당 성우 남도형이 [[릴카]]와 합방한 이후 릴카에게 프랑스어에 관한 부분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 == 관련 문서 ==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 [[미라큘러스/등장인물]]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이디버그/등장인물, version=531)] [[분류:아드리앙 아그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