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페라]] [목차] == 개요 ==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프란치스코 칠레아(Francesco Cilea, 1866~1950)가 실제로 존재했던 [[여배우]]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1902년 작곡한 4막 [[오페라]]다. == 배경 == 오페라의 제목에 나온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의 본명은 18세기 초 [[프랑스]]의 유명한 연극배우 아드리앙 르쿠브뢰르(Adrienne Lecouvreur, 1692~1730)로,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연기로 명성을 얻었으나, 작센의 백작이면서도 프랑스의 [[원수(계급)|원수]]였던 모리스 드 삭스(Maurice de Saxe, 1696~1750)와의 로맨스와 모리스 드 삭스를 좋아하던 부용 공작부인 루이즈 앙리에트 프랑수아즈 드 로렌(Louise Henriette Françoise de Lorraine, 1707~1737)에게 독살당했다는 소문으로도 유명하다. 이 이야기는 칠레아 이전에도 유명하여 르쿠브뢰르의 일생을 바탕으로 칠레아 이전에도 오페라가 적어도 3곡이 작곡되었으나, 이 곡의 존재와는 별개로 오늘날에는 완전히 잊혀진 상태다. 대본은 외젠 스크리브[* Eugène Scribe, 1791~1861, 프랑스의 극작가 겸 대본 작가. 19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그랜드 오페라와 오페라 코미크 대본 작가로 불후의 명성을 알렸으며, [[지아코모 마이어베어]]와의 협업으로도 유명하고, 무려 300~500여편에 달하는 무대 작품의 대본을 남긴 다작가였다.]와 에르네스트 레구베[* Ernest Legouvé, 1807~1903, 프랑스의 극작가. 후에는 프랑스에서 여성의 권리와 아동의 고급 교육의 선도자가 되었다.]가 1849년 쓴 연극 '아드리앙 르쿠브뢰르'를 바탕으로 아르투로 콜라우티(Arturo Colautti, 1851~1914)가 작성했는데, 이 대본은 상술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허구가 상당히 가미되어 있고, 무대를 위해 쓰여진 가장 혼란스러운 텍스트 중 하나로 비난받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작곡은 손초뇨(Sonzogno) 악보출판사의 위촉으로 [[1899년]] 2월부터 시작되었으나, 작곡자와 대본작가와의 협력에서 문제가 생기면서 작곡이 지연되어 [[1902년]] 가을에야 겨우 완성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초연은 1902년 11월 6일 [[밀라노]]의 테아트로 리리코에서 클레오폰테 캄파니니[* Cleofonte Campanini, 1860~1919. 1903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뒤를 이어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감독이 되었다.]의 지휘로 치러졌는데, 초연은 '신이탈리아 악파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고귀한 선율에 넘치고 있다'라는 평을 들으며 대성공으로 끝났다. 이 공연에서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역은 안젤리카 판돌피니[* Angelica Pandolfini, 1871~1959, 이탈리아의 리리코 소프라노. [[1896년]]에는 [[자코모 푸치니]]의 '라 보엠'의 초연에서 미미 역을 맡기도 했다.], 마우리치오 백작 역은 [[엔리코 카루소]][* 1897년 초연된 칠레아의 전작 '아를의 여인'에서도 남주인공 역으로 출연했다.]가 맡았으며, 공작부인 역은 에드비지 기바우도(Edvige Ghibaudo, 생몰년 미상)가 맡았다. 타이틀 롤인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역은 테시투라[* tessitura, 특정 가수의 음역 중 가장 안정적인 음색을 내는 부분.]가 비교적 낮으면서도 강한 성악적 힘과 극적인 연기를 요구하고 있는데, 특히 2막을 제외한 모든 막에 아드리아나 역의 소프라노가 노래가 아니라 대사를 낭독하는 부분이 있기에, 이 부분에서 드라마틱함을 요구한다고 한다. 길이도 2시간 30분 내외로 오페라치고는 그리 긴 편은 아닌 데다가, 음악도 매우 아름답고 다소 대중적인 감각이 가미된 편이니 오페라 입문용으로 가장 추천할 만한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음악의 빼어난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인지도가 없다는 것이 신기할 지경. == 내용 == 배경은 [[1730년]] 3월의 파리이다. === 1막 === 배경은 코미디 프랑세즈의 백스테이지다. === 2막 === 배경은 세느 강 인근에 있는 여배우 뒤클로의 별장이다. === 3막 === 배경은 부용 공작의 저택이다. === 4막 === 배경은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의 저택이다. == 주요 음악 == 곡 전체에 굉장히 아름답고 서정적인 [[아리아]]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관현악의 음향은 감미로우면서도 극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음악적으로는 쥘 마스네[* Jules Émile Frédéric Massenet, 1842~1912, 프랑스의 작곡가. 대중적으로는 오페라 '타이스' 속의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타이스의 명상곡'으로 유명하다.]를 위시한 프랑스 작곡가들의 요소들과 나폴리 악파의 전통적인 요소, 베리스모적인 요소가 칠레아적인 즉흥적인 선율과 같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주요 등장인물마다 [[라이트모티프]]도 마련되어 있다.[* 물론 [[리하르트 바그너]]류의 복잡한 것은 절대 아니고, 매우 간단한 수준이다.] === 1막 === 아드리아나의 아리아 'Io son l'umile ancella(나는 창조주의 미천한 종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하 프랑코 카푸아나(Franco Capuana, 1894~1969)가 지휘하는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오케스트라의 [[1961년]] 7월 녹음. 참고로 이 녹음은 전곡 최초의 스튜디오 전곡반이었으며, 이 오페라에 주역으로 출연한 성악가들은 요즘말로 [[역대급]] 정도를 넘어선 전설적인 성악가들이었다. 아드리아나 역은 [[마리아 칼라스]]의 라이벌(?)로 유명했던 전설적인 리리코 스핀토 소프라노인 레나타 테발디(Renata Tebaldi, 1922~2004)가 맡았고, 마우리치오 역은 '황금의 트럼펫' [[마리오 델 모나코]]가 맡았으며, 공작부인 역 역시 전설적인 메조소프라노 줄리에타 시미오나토(Giulietta Simionato, 1910~2010. 100세 생일 1주일 전에 사망했다.)가 맡았다.] ||[youtube(jKuT6n4_s0A)]|| 마우리치오의 아리아 'La dolcissima effigie(참으로 감미로운 미소)' ||[youtube(6myh6ixq0Fo)]|| === 2막 === 공작부인의 아리아 'Acerba voluttà(쓰디 쓴 쾌락)' ||[youtube(VPZEeRWeS9U)]|| 마우리치오의 아리아 'L'anima ho stanca(내 마음은 지쳤고)' ||[youtube(PTsIv5QSCpA)]|| === 4막 === 아드리아나의 아리아 'Poveri flori(불쌍한 꽃)' & 아드리아나와 마우리치오의 이중창 'No, più nobile(아니, 더 고귀한)' ||[youtube(jPedlGtG8FU)]|| == 기타 == * 초연 직후인 1902년 12월 1~3일 무렵, 초연에 참여한 엔리코 카루소는 작곡자의 피아노 반주로 4막 후반의 아드리아나와 마우리치오의 이중창을 테너 독주로 편곡한 버전을 어쿠스틱으로 녹음해 음반으로 발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