兒童期崩壞性障碍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 국제질병분류기호(ICD-10) ||F84.3 || || 진료과 ||[[정신건강의학과]] || || 관련 증상 || || || 관련 질병 ||[[자폐증]] || [목차] == 개요 == 2~3세까지 제대로 발달하다가 그 뒤 정신발달이 아예 멈추는 증상이 보이는 [[발달장애]]의 일종으로 [[전반적 발달장애]], [[ASD]]에 속해 [[자폐성 장애]]로 분류된다. 소아기 붕괴성 장애라고도 부른다. 즉 '''유아버전 [[치매]]'''이라고 할 수 있으며, 때문에 '유아성 치매'이라는 이명도 있다. [[1908년]] [[오스트리아]]의 교육자인 헬러(Heller)에 의해 처음 보고되어 헬러 증후군(Heller Syndrome)이라고도 부르며, 발견 초기에는 유아기 치매(Dementia infantilis), 붕괴성 정신증, 공생적 정신증이라고도 불렀다. 대부분 [[자폐성 장애]] 1급이며, 약 75% 이상이 [[지적장애]] 1급 수준[* 특히 2~3세까지 정신발달 속도가 지나치게 느린 경우에는 거의 100%이라고 보면 된다.]의 지능을 갖고 있으며, [[자폐증]]보다 더 많은 [[뇌전증]] 증상을 가지고 있는 등 자폐증보다도 예후가 나쁘며, 다른 유형의 자폐성 장애와 비교해도 예후가 가장 나쁘다. 특히, [[분리불안장애]], 기억상실, [[난독증]], [[언어장애]], [[유아퇴행|유아적인 행위]](무언가를 빠는 행위, 제자리에 선 채로 엉덩이를 들썩이거나 이를 보이며 웃는 행위 등.), 배변장애, [[비만]], 극단적인 편식(분유, 모유 외의 다른 음식은 먹지 않음) 등 각종 장애와 질병이 동반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아예 거동 기능까지 상실하기도 한다. CDD를 가진 사람들은 상당히 장애가 있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CDD가 발생하기 전에 습득한 특정 기술과 능력을 유지할 수 있기도 해서 약간의 도움만 있으면 [[https://www.spectrumnews.org/features/deep-dive/the-most-terrifying-childhood-condition-youve-never-heard-of/|일상 생활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의 책을 읽거나 스스로 옷을 갈아입는 등. == 관련 문서 == * [[자폐성 장애]] [[분류:정신질환]][[분류:희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