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룩셈부르크 대공)] ---- ||<-2> '''룩셈부르크 나사우 왕조 초대 대공[br]{{{+1 아돌프}}}[br]Adolphe, Groussherzog vu Lëtzebuer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룩셈부르크의 아돌프.jpg|width=100%]]}}} || ||<|2> '''출생''' ||[[1817년]] [[7월 24일]]|| ||[[나사우]] 공국 비브리히 성|| ||<|2> '''사망''' ||[[1905년]] [[11월 17일]] (향년 88세)||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호헨부르크 성|| ||<|4> '''재위기간''' ||[[나사우]] 공작|| ||[[1839년]] [[8월 20일]] ~ [[1866년]] [[9월 20일]]|| ||[[룩셈부르크 대공]]|| ||[[1890년]] [[11월 23일]] ~ [[1905년]] [[11월 17일]]|| || '''서명''' ||[[파일:아돌프(룩셈부르크) 서명.svg|width=20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 || '''이름''' ||아돌프 빌헬름 카를 아우구스트 프리드리히[br](Adolph Wilhelm Carl August Friedrich) || || '''아버지''' ||나사우 공작 빌헬름 || || '''어머니'''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루이제 || || '''형제자매''' ||테레제, 마리 || ||<|2> '''배우자''' ||[[러시아 제국|러시아]]의 옐리자베타 미하일로브나 여대공[br],,(1844년 결혼 / 1845년 사망),, ||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이트 마리 ,,(1851년 결혼),, || || '''자녀''' ||[[기욤 4세]], 힐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사우]] [[공작(작위)|공작]]이자 [[룩셈부르크]] [[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초대 [[대공(작위)|대공]]. == 생애 == === 나사우 공작 시절 === 나사우의 공작 빌헬름(Wilhelm I. von Nassau 1792~1839)과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루이제(Luise von Sachsen-Hildburghausen 1794~1825)[* [[바이에른 왕국]]의 국왕 [[루트비히 1세(바이에른)|루트비히 1세]]의 왕비인 테레제의 여동생이다. 따라서 아돌프는 루트비히 1세의 아들인 [[막시밀리안 2세(바이에른)|막시밀리안 2세]], [[오톤]], [[루이트폴트 폰 바이에른|루이트폴트]] 등과 이종사촌간이며, [[루트비히 2세(바이에른)|루트비히 2세]]는 아돌프 대공의 오촌 조카가 된다.]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독일왕]] [[아돌프(신성 로마 제국)|아돌프]]의 직계 후손이다. 아버지를 이어 22살에 나사우 공작이 되어, [[비스바덴]]을 공국의 수도로 삼고 통치했었다. 1844년 [[니콜라이 1세]]의 조카딸 옐리자베타 미하일로브나[* 미하일 파블로비치 대공([[파벨 1세]]의 막내아들)과 [[뷔르템베르크의 샤를로테]]의 차녀.]와 결혼했으나 첫딸을 사산한 채 사망, 1851년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리트-마리와 재혼해 3남 2녀를 두지만 무사히 성인이 된 건 장남 기욤 4세와 막내딸 힐다 뿐이었다. [[1848년 혁명]]이 터지자 '나사우인의 9개조 요구'를 받아들였다. 몇 년 지나지 않아 자유주의적 관점을 취소하고 강경 보수 성향으로 돌아섰지만, 그럼에도 인기 있는 통치자였다. 그렇게 27년간 재위하다가 [[1866년]]에 벌어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지원했다가 [[프로이센 왕국]]의 눈 밖에 나, 오스트리아가 패하면서 바로 멸망당해 프로이센에 합병되어, 그 해 9월 20일 49세의 나이로 폐위당했다. 아돌프는 그 대가로 [[1867년]] 9월 28일에 1,500만 굴덴과 4개의 성채 소유권을 보장받았다. 그 후 주로 [[빈(오스트리아)|빈]]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바이에른 왕국]] 등에서 머무르며 여행과 사냥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 [[룩셈부르크 대공]] 즉위 이후 === [[네덜란드 왕국]]과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빌럼 3세]]에 의한 [[동군연합]]이었으나, 아들을 두지 못하고 [[1890년]] 사망, 외동딸 [[빌헬미나 여왕]]이 즉위하는데... 네덜란드는 여왕 즉위가 가능해도 룩셈부르크는 [[살리카법]]인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빌럼 3세의 머나먼 친척인 아돌프가 대공위를 잇게 됐는데 아돌프는 남계로 빌럼 3세의 37촌 조카였다.[* 이 분야 세계기록이다. 빌럼 3세와의 공통 조상이 [[https://en.m.wikipedia.org/wiki/Henry_II,_Count_of_Nassau|나사우 백작 하인리히 2세]]로, 당시 기준 700년 전 사람이다. 아돌프의 조상([[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이 장자 계열이고, 빌럼 3세의 조상([[오라녀나사우 왕조|오라녜나사우 가문]])이 차자 계열이다.] 이때 그는 이미 73세의 노인이었고, 평생 [[독일 연방|독일]]에서 생활해 룩셈부르크 정치는 전혀 몰라 그날그날의 정무에서는 손을 뗐고, 사실상 당시 총리대신 폴 아이셴[* Paul Eyschen, 1888년부터 1915년 사망시까지 27년간 재임하면서 [[빌럼 3세|기욤 3세]]부터 [[마리아델라이드]]까지 4명의 대공을 모셨다.]이 정무를 대행하게 된 것이 이후 관례로 내려오게 됐다.[* 여담으로 [[영국]]이 [[입헌군주국]]이 된 것도 비슷한 이유이다. [[하노버 왕조]]의 개창자인 [[조지 1세]]는 본래 [[신성 로마 제국]]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하노버 선제후로 군림하고 있다가 50세에 [[영국 국왕]]으로 추대되어 즉위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영국에 대해 아는 것이 단 하나도 없었다. 때문에 일 잘하는 신하들에게 정무를 대행하도록 했고 이 것이 관례가 되어 오늘 날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1902년 아들 기욤을 섭정으로 세웠으며 1905년 바이에른의 여름 별장에서 별세했다.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남''' || [[기욤 4세]][br]{{{-2 (William IV, Grand Duke of Luxembourg)}}} || [[1852년]] [[4월 22일]] || [[1912년]] [[2월 25일]] ||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미겔 1세]]의 5녀.][br]슬하 6녀[* [[마리아델라이드|룩셈부르크 여대공 마리아델라이드]], [[샤를로트(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여대공 샤를로트]] 등] || || '''1녀''' || 바덴의 대공비 힐다[br]{{{-2 (Hilda, Grand Duchess of Baden)}}} || [[1864년]] [[11월 5일]] || [[1952년]] [[2월 8일]] || [[프리드리히 2세(바덴)|프리드리히 2세]] || == 기타 == * 아돌프 대공 즉위 130여년 뒤에 [[영국 국왕]]으로 즉위한 [[찰스 3세]]도 73세로 즉위했는데, 즉위한 2022년 당시 세계 최고령 왕세자이자 즉위자였다. 아돌프 대공의 즉위는 두말 할 것도 없는 고령의 즉위였는데 15년이나 재위하고 88세로 사망하며 룩셈부르크 대공들의 장수 유전자를 보이기 시작했다. 병으로 생을 마감한 아들 [[기욤 4세]]와 손녀인 [[마리아델라이드]]를 빼고 룩셈부르크 대공가는 다들 장수했다. * [[나사우|원래 다스리던 나라]]가 망하고 세월이 지나 [[룩셈부르크|다른 나라]]의 군주로 즉위한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현재도 룩셈부르크 대공은 아돌프가 나사우 공작에서 폐위되기 전까지 실존했던 나사우 공작위를 명목상 겸임한다. * 또다른 특이한 기록으로는 37촌 아저씨(...)[* 아돌프의 증조할머니는 [[빌럼 1세]]의 아버지 오라녀 공 빌럼 5세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8촌이다. 그렇기에 불과 5개월 차이가 나는 것.]의 뒤를 이어 무려 73세의 나이에 룩셈부르크 대공이 되었다는 것[* 과거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형제 승계라면 그런 사례가 흔하지만 유럽 기준으로는 매우 늦었다.]이 있다. [[분류:룩셈부르크 대공]][[분류: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분류:1817년 출생]][[분류:1905년 사망]][[분류:망국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