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orable.jpg|width=100%]]}}} || ||<-2> 이름 || アドラーブル[br]Adorable || ||<-2> 출생 || [[1989년]] [[3월 28일]] || ||<-2> 죽음 || [[2005년]] [[4월 23일]] (16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밤색 (栗毛, 쿠리게) || ||<-2> 아비 || [[노던 테이스트]] (Northern Taste) || ||<-2> 어미 || 에코르셰 (Ecorche) || ||<-2> 외조부 || 빅 스프루스 (Big Spruce)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샤다이 팜]] || ||<-2> 마주 || 네기시 하루오 (根岸 治男) || ||<-2> 조교사 || 코바야시 미노루 (릿토) || ||<-2> 성적 || 9전 3승 (3-2-1-3) || ||<-2> 총상금 || 2억 2545만 9000엔 || ||<|2> 주요[br]우승 || G1 || [[우준 빈마|오크스]] (1992) || || 오픈 || [[튤립상]] (1992)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59 (1992)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89107799/|[[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225086/|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1992년 오크스 우승마. 아도라블은 프랑스어로 사랑스럽다는 뜻이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노던 테이스트]]'''[br]{{{-2 Northern Taste[br]1971}}}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2>'''[[노던 댄서]]'''[br]{{{-2 Northern Dancer[br]1961}}}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니어크틱'''[br]{{{-2 Nearctic}}}|| ||나탈마[br]{{{-2 Natalma}}}|| ||<|2>레이디 빅토리아[br]{{{-2 Lady Victoria[br]1962}}}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빅토리아 파크[br]{{{-2 Victoria Park}}}|| ||'''레이디 안젤라'''[br]{{{-2 Lady Angela}}}|| ||<|4>에코르셰[br]{{{-2 Ecorche[br]198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빅 스프루스[br]{{{-2 Big Spruce[br]196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에르바제[br]{{{-2 Herbager}}}|| ||실버 사리[br]{{{-2 Silver Sari}}}|| ||<|2>아이드먼[br]{{{-2 Idmon[br]197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닥터 페이거'''[br]{{{-2 Dr. Fager}}}|| ||아라크네[br]{{{-2 Arachne}}}|| ||<-3>* 레이디 안젤라 S4×S3 18.75%[br]* [[네아르코]] 4×5 9.375% || || 주요 전형제[* 중상마만 서술.] ||<-2> 노던 레인보우[* 52전 14승(장애물 16전 7승), 1998년 [[나카야마 대장해]](봄) 우승마.]^^(1990)^^ || 에코르셰는 미국에서 21전 5승을 거두고 은퇴 후 샤다이 팜에서 번식 암말로 수입되었다. 아도라블은 첫번째, 노던 레인보우는 2번째 산구마다. == 생애 == === 데뷔 전 === 에코르셰의 첫째 산구마는 체고가 높았지만 어미를 닮아 몸이 가늘고 체중이 적어 눈에 띄는 말은 아니었다. 식욕이 없는 것은 아니고 주는 건 남김없이 먹었는데도 살이 찌지 않았다. 3세(현 2세) 때 샤다이 팜에 방문한 조교사 코바야시 미노루[* 주요 조교마로 롱 그레이스(1983 엘리자베스 여왕배), 스즈카 코반(1985 타카라즈카 기념), 아도라블, 타케노 벨벳, [[후사이치 콩코르드]] 등이 있다.]눈에 띄어 네기시 하루오에게 추천했다. 네기시 하루오는 회계사로 몇몇 조교사들의 경리 고문을 맡았는데 릿토나 미호 트레이닝 센터에 들어가려면 검역이나 승부조작 등의 이유로 여러 절차를 걸쳐야 입장할 수 있었다. 이 문제를 얘기하니 코바야시 조교사는 마주가 된다면 그런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며 권유했고 네기시는 경주마에는 관심이 있었지만 자금 때문에 고민하고 있었는데 코바야시가 마주가 되는데 필요한 절차들을 적극적으로 도와줘서 결국 마주 자격을 취득했다. 코바야시는 암말을 사면 경주에서 성적이 안나오더라도 번식암말로서 활용할 수 있다며 혈통에 비해 저가였던 에코르셰의 첫째 산구마를 추천했고 이렇게 네기시의 첫 소유마가 되었다. 릿토의 코바야시 마사에서 밤색 털을 가진 이 말을 처음 본 네기시는 훌륭하다고 생각해 프랑스어 사전을 펼쳐보고는 아도라블이라 이름지었다. === 커리어 === 1991년 7월 데뷔전, 코바야시 조교사는 아도라블이 중,장거리 적성이라고 생각했지만 일정 상 적당한 경기가 없어 잔디 1000m 경기로 선택되었다. 불량마장이었던 경기에서 아도라블은 2착에 6마신 차 승리를 거두며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이에 바로 3세 중상에 도전했으나 여기서 [[니시노 플라워]]가 레코드를 세우는 가운데 9착으로 부진했고 몬베츠초 시라이 목장에서 4개월 휴양한다. 이 후 12월 더트 경기에서 3착으로 첫 해 경주를 마쳤다. 1992년 1월 코바이상에서 베테랑 기수 무라모토 요시유키[* 니치도 타로(1980 천황상 가을), 스즈카 코반(1985 타카라즈카 기념), [[메지로 듀렌]](1986 킷카상, 1987 아리마 기념), 럭키 겔랑(1988 한신 3세S), [[이쿠노 딕터스]], 단츠 시애틀(1995 타카라즈카 기념) 등의 기수.] 기승으로 2착을 하고 이 후로는 무라모토가 전경기에서 기승하게 된다. 여기까지 클래식 경주에 나갈 자격이 부족했기 때문에 더트 적성이 아님을 알았지만 강행으로 나간 칸자쿠라 상에서 7착으로 부진했다. 현재는 [[튤립상]]에서 3착 이내에 들면 [[오카상]]에 나갈 수 있지만 이 당시는 튤립상이 오픈 경주였고 2착 이내에만 오카상에 나갈 수 있었다. 비가 내리는 약간 중마장이 된 튤립상 경주에서 아도라블은 바깥 쪽으로 나와 4코너를 돌고 직선 주로에서 선두로 내달렸다. 마군 속에서 길을 잃다 겨우 나온 1번 인기 [[니시노 플라워]]의 추격을 3.5마신 차로 뿌리치고 승리, 니시노 플라워에게 5경기만의 첫 패배를 안기며 오카상 출주권을 따냈다. 한편 이 경기에서 같은 코바야시 조교사 담당의 타케노 벨벳이 3착을 했다. 튤립상에서의 패전으로 니시노 플라워의 기수였던 사토 마사오가 자진 강판하며 암말의 명수 [[카와치 히로시]]로 변경되어 오카상에서 여전히 니시노 플라워는 1번 인기를 받는 가운데 아도라블은 6번 인기라는 저평가였다. 중단에 자리잡은 아도라블은 3코너 부터 선행하던 니시노 플라워를 추격, 직선 주로로 들어서며 반마신까지 따라붙었지만 여기서 니시노 플라워가 강력한 말각을 발휘해 완패, 2착을 기록한다. 양마장이었지만 소나기가 내렸던 [[우준 빈마|오크스]], 슬로우 페이스의 경주에서 아도라블은 니시노 플라워의 약간 뒤쪽에 자리잡고 중단의 앞쪽에 위치했다. 좌우로 길게 늘어선 직선 주로에서 먼저 니시노 플라워가 스퍼트 했으나 곧 힘을 잃었고 인코스의 [[산에이 생큐]]가 일시 선두에 섰다. 아도라블은 코스 가운데 쪽에서 스퍼트, 산에이 생큐를 제치고 반마신 차 승리로 클래식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우승 당시 마체중 410kg은 1971년 카네 히무로[* 23전 4승. [[카네 미노부]]의 모마다.]의 384kg, 1978년 파이브 호프의 406kg에 이은 3번째 우승마 저체중 기록이었다. 이후 시라이 목장에서 휴양 도중 폭우로 훈련용 언덕길을 사용할 수 없어 이동 중에 허리를 다쳐 결국 전초전 없이 [[엘리자베스 여왕배]]에 나가게 되었다. 경기에서는 선행으로 나왔으나 직선에서 힘을 내지 못했고 튤립상 3착으로 오카상, 오크스에 나오지 못하고 조건전 승리로 올라 온 17번 인기의 타케노 벨벳이 승리했다. 아도라블은 이 경기 4착을 끝으로 은퇴했다. === 번식마 생활 === 몬베츠초 시라이 목장에서 번식마 생활을 시작해 1994년부터 10년간 매년 산구마를 내어 둘째인 이모시온(エモシオン,父 [[토니 빈]])이 21전 5승에 1999년 [[교토 기념]]에서 승리하며 중상마가 되었다. 이모시온은 아도라블과 같은 마주, 조교사의 경주마다. 아도라블은 2004년에 유산을 겪었고 2005년에 4월 23일에 죽었다. == 기타 ==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1년 {{{-1 (3세, 현 2세)}}} || || 7.13 || 니가타 || 3세 신마 || || 잔디 1000m || 3.3 || 2 || '''{{{#red 1착}}}''' ||<|2> 시오무라 카츠미 || (유니언 보이) || || 7.28 || 삿포로 || [[삿포로 2세 스테이크스|삿포로 3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200m || 7.4 || 2 || 9착 || [[니시노 플라워]] || || 12.1 || 한신 || 3세 500만 이하 || || 더트 1200m || 10.1 || 3 || 3착 || [[마츠나가 미키오]] || 타이 드리머 || ||<-10> 1992년 {{{-1 (4세, 현 3세)}}} || || 1.6 || 교토 || 코바이(紅梅)상 || 오픈 || 잔디 1200m || 20.1 || 8 || 2착 ||<|6> 무라모토 요시유키 || 코가네 테스코 || || 2.2 || 교토 || 칸자쿠라(寒桜)상 || 500만 이하 || 더트 1200m || 2.2 || 1 || 7착 || 니시노 올리비아 || || 3.15 || 한신 || [[튤립상]] || 오픈 || 잔디 1600m || 14.8 || 3 || '''{{{#red 1착}}}''' || (니시노 플라워) || || 4.12 || 한신 || [[오카상]] || GI || 잔디 1600m || 14.7 || 6 || {{{#blue 2착}}} || 니시노 플라워 || || 5.24 || 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GI''' || 잔디 2400m || 15.1 || 4 || '''{{{#red 1착}}}''' || (니시노 플라워) || || 11.15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400m || 12.2 || 5 || 4착 || 타케노 벨벳 || }}} [include(틀:오크스(일본),grade=GI)] ---- [include(틀:튤립상,grade=OP)]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씨암말/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9년 출생/경주마]][[분류:2005년 죽은 동물]][[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노던 테이스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