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닥스속]] ||<-2> '''{{{#white {{{+1 아닥스}}}[br]Addax}}}'''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_big_male_Addax_showing_as_the_power_of_his_horn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Addax nasomaculatus'' '''[br](Blainville, 1816)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목(Cetartiodactyl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소과(Bov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아닥스속(''Addax'')||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아닥스'''(''A. nasomaculatus'')||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급.svg|width=240px]]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아닥스, 나사뿔영양, 아닥크스, 에닥스 || || '''[[영어]]''' || Addax || || '''[[중국어]]''' || 旋角羚 || || '''[[일본어]]''' || アダックス || || '''[[아랍어]]''' || مها أبو عدس || }}}}}}}}}|| [[파일:792px-Addax_mit_kalb.jpg|width=400]] [목차] [clearfix] == 개요 == 지중해 인근 [[사하라 사막]] 원산의 영양의 일종이다. 본래 분포지는 사하라 사막 전역이었지만 현재는 [[차드]], [[니제르]], [[모리타니]]로 한정되어 있으며 [[이집트]], [[리비아]], [[수단 공화국|수단]], 서사하라에서는 더 이상 찾아볼 수 없다. [[모로코]], [[튀니지]]에서는 [[긴칼뿔오릭스]]와 함께 아닥스의 재도입을 추진하여 현재 일부 국립공원 한정이나마 다시 서식하고 있다. == 상세 == 사막에서 4~20마리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지낸다. 주로 밤에 분주하게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특히 여름에 더 활발해진다. 낮 동안에는 그늘진 자리를 잡고 모래 구덩이를 파고 쉰다. 이 구덩이는 햇빛도 막아 주지만 이따금 모래 폭풍을 피할 수 있는 방공호 역할도 한다. 평소에는 느릿느릿하게 행동하는 까닭에 천적들의 좋은 표적이 되며, [[카라칼]]의 공격으로 어린 개체를 잃을 수 있다. 자극하지 않으면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지는 않으나 위협을 가하면 뿔을 앞세워 달려드는 것으로 자기 방어적인 공격을 할 수 있다. 수컷의 어깨 높이는 105-115cm, 암컷은 95-110cm로 암컷의 덩치가 약간 더 작은 성적 이형성을 지니고 있다. 몸길이는 양쪽 성별이 균일하게 120-130cm 정도이며, 꼬리 길이는 25-35cm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100-125kg, 암컷의 몸무게는 60-90kg이다. 뿔은 암수 모두 있으며 얇고 나선형으로 자라서 길이가 1m에 이른다. 앞머리에 검은색의 총모와 짧은 갈기가 있으며, 얼굴에 X자 모양의 흰 무늬가 있다. 몸빛깔은 회색을 띤 갈색으로, 배쪽은 흰색이고, 여름털은 모랫빛이다. == 국내 보유 현황 == 현재 국내에선 살아 있는 개체를 볼 수 없다. 과거 [[서울동물원]] 제2아프리카관에서 보유하던 개체들의 두개골을 대동물관 내실에서 볼 수 있었으나 최근 대동물관 내실이 리모델링을 거치며 더 이상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