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다다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1980년 이후 제작))] ----- [include(틀:백치 아다다 시리즈)]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대상'''}}} || || 제23회[br]([[1987년]]) || {{{+1 →}}} || '''제24회[br]([[1988년]])''' || {{{+1 →}}} || 제25회[br]([[1989년]]) || || [[달빛 사냥꾼]] || {{{+1 →}}} || '''아다다''' || {{{+1 →}}} || [[서울무지개]] || ||<-5> {{{#ffffff '''영화부문 작품상'''}}} || || 제23회[br]([[1977년]]) || {{{+1 →}}} || '''제24회[br]([[1988년]])''' || {{{+1 →}}} || 제25회[br]([[1989년]]) || || [[달빛 사냥꾼]] || {{{+1 →}}} || '''아다다''' || {{{+1 →}}} || [[서울무지개]] || ||<-5> || }}} || ||<-2> {{{+2 '''아다다'''}}} (1988)[br]''Adada'' || ||<-2> [[파일:아다다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임권택]] || || '''원작''' || [[계용묵]] 《[[백치 아다다]]》 || || '''각본''' || 윤삼육 || || '''제작''' || 박종찬 || || '''제작사''' || 화천공사 || || '''기획''' || 김재웅 || || '''촬영''' || 정일성 || || '''조명''' || 강광호 || || '''편집''' || 박순덕 || || '''음악''' || 김영동 || || '''미술''' || 김유준 || || '''출연''' || [[신혜수(배우)|신혜수]], [[한지일]], [[이경영(1960)|이경영]], [[전무송]], [[김지영(1938)|김지영]] || || '''개봉일''' || [[1988년]] [[3월 19일]] || || '''개봉관''' || 아세아극장 || || '''관람인원''' || 22,709명 || || '''상영시간''' || 118분 || || '''OTT''' || [[카카오페이지|[[파일:카카오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70]]]] || || '''상영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25]]]] {{{#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계용묵]]의 소설 〈[[백치 아다다]]〉를 [[임권택]] 감독의 연출로 영화화한 1988년 개봉 영화. 소설 〈[[백치 아다다]]〉의 영화화는 1956년 이강천 감독의 《[[백치 아다다(영화)|백치 아다다]]》에 이어 두 번째다. 드라마로는 1972년 [[MBC]] [[일일 드라마]]와 1983년 [[KBS 1TV]] [[TV 문학관]] 버전이 있다. 제24회 [[백상예술대상]] 대상과 작품상을 받았고, 아다다 역을 연기하며 영화에 데뷔한 신인 [[신혜수(배우)|신혜수]]는 제11회 몬트리올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줄거리 == 벙어리이라는 이유로 눈총을 받으며 자란 아다다([[신혜수(배우)|신혜수]])는 떠밀리다시피 지참금과 함께 영환([[한지일]])이라는 몰락한 양반 가문의 사내에게 시집보내진다. 시집에서 그녀는 시부모와 남편을 정성껏 모시고 열심히 일해 집안 살림을 일으켜 세운다. 그러나 남편 영환은 아다다를 귀찮아 하기 시작하여, 술집으로 겉도는 생활을 하더니 급기야는 한 해 수확한 돈을 쥐고 중국으로 달아난다. 세월이 흐르고 외지에서 돈을 번 영환은 퇴폐적인 냄새를 풍기는 신여성 미옥(강정아)과 함께 귀향한다. 미옥의 갖은 아양과 선물 공세에 시부모의 마음은 완전히 돌아서서, 아다다가 시집올 때 가져온 지참금을 돌려줌으로써 정을 끊고 만다. 친정에서도 쫓겨난 아다다는 어린 시절 오빠처럼 지내던 수룡([[이경영(1960)|이경영]])에게 의지를 하며 수룡은 가난한 생활이나마 그녀를 맞아들여 사랑과 행복을 약속한다. 그러나 그녀가 시집에서 돌려받은 지참금을 본 수룡은 돈에 욕심을 갖고 물질적 풍요의 생활을 꿈꾼다. 돈으로 인하여 재앙을 얻었다고 믿는 아다다는 어렵게 얻은 자신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는 돈을 없애버려야 한다고 굳게 믿으며 강물에 뿌려버린다. 뒤늦게 달려온 수룡은 이를 보고 거의 미치다시피하여 아다다를 끌고 강물 깊숙이 빠져 들어간다. == 수상 == * 1987년 제26회 [[대종상]] 편집상(박순덕), 신인연기상([[신혜수(배우)|신혜수]]) * 1988년 * 제2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 작품상, 기술상-촬영(정일성), 신인연기상([[신혜수(배우)|신혜수]]) * 제12회 [[황금촬영상]] 특별상-신인얼굴([[신혜수(배우)|신혜수]]) * 제11회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신혜수(배우)|신혜수]]) [[분류:한국 영화]][[분류:1988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분류:백상예술대상 대상 수상자]][[분류:미성년자관람불가 영화]][[분류:임권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