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함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a class corvette.jpg|width=100%]]}}} || || '''Ada sınıfı korvet''' || [목차] == 개요 == [[튀르키예 해군]]이 운용 중인 [[초계함]]. 튀르키예 해군이 추진 중인 [[MILGEM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서 건조 되어 현재 총 4척이 운용되고 있다. MILGEM 프로젝트의 다음 함급으로 아다급을 확대 시킨 [[이스탄불급 호위함]]이 건조되고 있다. '''"Ada" (아다)''' 는 튀르키예어로 섬을 뜻한다. 이에 따라 각 함명은 튀르키예의 섬의 지명에서 가져왔다. == 제원 == ||<-8><:> '''{{{+1 {{{#FFFFFF 아다급 초계함}}} }}} [br]{{{#FFFFFF Ada sınıfı korvet}}}[br]{{{#FFFFFF Ada-class corvette}}}''' || ||<-2> '''이전급''' ||[[데스티엔도르브급 초계함|부라크급]] || ||<-2> '''다음급''' ||미정 || |||| '''함종''' ||[[초계함]] || |||| '''배수량''' ||2,400톤 || |||| '''전장''' ||99.56m || |||| '''전폭''' ||14.42m || |||| '''흘수선''' ||3.9m || |||| '''최대속도''' ||29노트 || |||| '''항속거리''' ||15노트 순항시 3,500해리 || ||<|3> '''동력''' || '''방식''' ||[[CODAG]] || || '''기관''' ||디젤엔진 2기 [br] 가스터빈 1기 || || '''추진''' ||샤프트 CPP 프로펠러 2축 || |||| '''레이더''' ||SMART-S Mk2 3D 레이더 || |||| '''소나''' ||YAKAMOS 선체 탑재 소나 || |||| '''전투관리시스템''' ||G-MSYS[* GENESIS MİLGEM Savaş Yönetim Sistemi] || ||<|5> '''무장''' || '''함포''' ||[[오토멜라라 76mm 함포|오토멜라라 76mm 슈퍼 래피드 함포]] 1문 || || '''대함''' ||[[하푼|하푼 대함 미사일]] 또는 [[ATMACA 대함 미사일]] × 8 || || '''대잠''' ||Mk.32 3연장 어뢰 발사관 × 2 [br] [[Mk.46 경어뢰]] || || '''CIWS''' ||[[RIM-116 RAM]] × 1 || || '''기타''' ||아셀산 12.7mm STAMP × 2 || |||| '''탑재 항공기''' ||[[MH-60 시호크|S70 시호크]] × 1기 [br] UAV || == 파생형 == === [[바부르급 초계함|바부르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부르급 초계함)] 아다급 초계함의 설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파키스탄 해군]]의 신형 초계함이다. === [[히사르급 원양초계함|히사르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사르급 원양초계함)] 아다급 초계함의 설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튀르키예 해군]]의 신형 [[OPV]]이다. == 수출 == === 우크라이나 === 2020년 12월 15일, [[우크라이나 해군]]이 튀르키예로부터 아다급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1척은 튀르키예에서, 나머지는 우크라이나에서 건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에서 건조하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혹은 2번함마저 터키에서 진수할 가능성도 있다.[[https://m.dcinside.com/board/war/3311815|#]]그리고 이는 2023년 사실이 됐다.] 2022년 8월 18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초도함의 함명을 헤트만 [[이반 마제파]]로 명명하였다. 2번함은 헤트만 파블로 스코로파드스키로 명명되었으며 이스탄불에서 건조가 시작됐다. == 동형함 목록 == ||<-10> {{{#FFFFFF '''터키 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 1 || F-511 ||TCG 헤이벨리아다 (Heybeliada) || 2005년 7월 26일 || 2008년 9월 27일 || 2011년 9월 27일 ||<|4> 현역 || || 2 || F-512 ||TCG 뷔윅아다 (Büyükada) || 2008년 9월 27일 || 2011년 9월 27일 || 2013년 9월 27일 || || 3 || F-513 ||TCG 부르가즈아다 (Burgazada) || 2014년 12월 17일 || 2016년 6월 21일 || 2018년 11월 4일 || || 4 || F-514 ||TCG 크날르아다 (Kınalıada) || 2015년 10월 8일 || 2017년 7월 3일 || 2019년 9월 29일 || ||<-10> {{{#FFFFFF '''우크라이나 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 5 || F211 ||헤트만 이반 마제파 (Hetman Ivan Mazepa) || 2021년 9월 7일 || 2022년 10월 2일 || - || 진수 || || 6 || - ||헤트만 파블로 스코로파드스키 (Hetman Pavlo Skoropadskyi) || 2023년 8월 18일 || - || - || 건조 중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 같이 보기 == * [[우크라이나 해군]] * [[튀르키예 해군]] * [[이스탄불급 호위함]] * [[TF-2000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튀르키예 해군, version=132)] [[분류:초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튀르키예군/군함]][[분류:우크라이나군/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