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4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2010년 은퇴]][[분류:임바부라주 출신 인물]][[분류:에콰도르의 축구선수]][[분류:에콰도르의 정치인]][[분류:바르셀로나 SC/은퇴, 이적]][[분류:CD 나시오날/은퇴, 이적]][[분류:크루스 아술/은퇴, 이적]][[분류:클루브 네카사/은퇴, 이적]][[분류:사우스햄튼 FC/은퇴, 이적]][[분류: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은퇴, 이적]][[분류:LDU 키토/은퇴, 이적]][[분류:에콰도르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분류:1997 코파 아메리카 볼리비아 참가 선수]][[분류:1999 코파 아메리카 파라과이 참가 선수]][[분류:2001 코파 아메리카 콜롬비아 참가 선수]][[분류:2004 코파 아메리카 페루 참가 선수]]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에콰도르의 정치인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f31WAC.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 아구스틴 델가도 '''}}}[br]''' Agustin Delgado ''' || ||<-2> {{{#000000,#e5e5e5 ''' 본명 ''' }}} ||아구스틴 하비에르 델가도 찰라 [br] Agustín Javier Delgado Chalá || ||<-2> {{{#000000,#e5e5e5 ''' 출생 ''' }}} ||[[1974년]] [[12월 23일]] ([age(1974-12-23)]세) / [br] {{{-1 [[에콰도르]] 임바부라주 암부키 }}}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에콰도르)]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8cm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스트라이커]] / ^^은퇴^^) [br] [[정치인]] || ||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CD 에스폴리 (1991~1992) [br] ''' [[바르셀로나 SC]] (1993~1994) ''' [br] ''' CD 엘 나시오날 (1995~1996) ''' [br] 인데펜디엔테 메데진 (1997) [br] ''' [[바르셀로나 SC]] (1997~1998) ''' [br] [[크루스 아술]] (1998) [br] ''' [[클루브 네카사]] (1999~2001) ''' [br] [[사우샘프턴 FC]] (2001~2004) [br] SD 아수카 (2004) [br]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2004) [br] 바르셀로나 SC (2005) [br] ''' LDU 키토 (2006~2008) ''' [br] CS 에멜렉 (2009) [br] CD 바예 델 초타 (2010)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71경기 31골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콰도르]] / 1994~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콰도르의 전 축구선수. 정치인. == 클럽 경력 == 현역 시절 남미의 득점 기계로 알려졌었다. 자국 리그를 평정하고 멕시코의 [[리가 MX]]로 건너가 [[클루브 네카사]]에서 폭발적인 활약을 하고 350만 파운드에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사우스햄튼 FC]]로 이적했다. 이적 배경으로는 멕시코에서의 퍼포먼스도 반영됐지만 월드컵 남미 예선에서 폭발적인 활약을 선보인 것이 스카우터의 눈길을 사로 잡았다고 한다. 당시 에콰도르 선수로는 이례적인 빅리그 입성이었기에 큰 기대를 받았으나 결과는 좋지 못했다. 리그 적응 문제는 몰론이고 영어조차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등 영국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쓸쓸히 자국 무대로 리턴해야만 했다. 이후 다시 멕시코 등을 거쳐 마지막 전성기를 LDU 키토 시절에서 보내고 2010년 은퇴하였다. == [[에콰도르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1994년 A대표팀에 데뷔하였으며 12년 동안 대표팀의 주포였다. 그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지역예선에서 무려 9골을 득점하며 조국의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견인했는데, 8골 중 한 골은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을 상대로 기록한 결승골이었다. 이후 본선 무대에서는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와 함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G조|G조]]에 들어가게 되었다. 2차전인 멕시코전에서 선제골을 기록했으나, 팀이 역전패를 하며 빛이 바랬다. 그래도 완전히 탈락이 확정된 것은 아니었고[* 멕시코 역시 에콰도르전 승리에도 불구하고 16강이 100% 확정된 게 아니었다. 만약 본인들이 이탈리아한테 패하고 크로아티아가 에콰도르를 이긴다면 16강에 못 갈 수도 있었다.], 만약 본인들이 3차전 상대 크로아티아를 잡고 같은 시간 열리는 이탈리아와 멕시코의 대결에서 멕시코가 이탈리아를 이기면 극적으로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그렇게 치르게 된 최종전에서는 승리는 하였지만, 애석하게도 이탈리아와 멕시코의 대결이 1대1 [[무승부]]로 끝나면서 16강에는 가지 못했다. 그래도 에콰도르는 훈훈한 [[논개]] 역할이나마 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는 데에는 성공했다. 이후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도 참가하였는데, 이번 대회에서는 개최국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북중미의 [[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코스타리카]], 동유럽의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와 함께 [[2006 FIFA 월드컵 독일/A조|A조]]에 속해서, 폴란드와 코스타리카를 연속으로 잡아내고 사상 첫 16강 진출이라는 기록을 이뤄냈다. 특히 1차전 폴란드전과 2차전 코스타리카전에서 골을 성공시키며 에콰도르 선수로는 두 대회 연속으로 득점을 기록한 선수로 기록됐다. 이후 2007년 가을, 공식적으로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 == 정치 활동 == 2006년 [[라파엘 코레아]]가 창당한 [[자랑스럽고 자주적인 조국]] (조국동맹)에 당원으로 가입하고 에콰도르 징병제 폐지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에콰도르는 2007년 개헌 국민투표를 통해 2008년 징병제를 폐지했다. 2013년에는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고 고향이 있는 임바부라 주를 대표하는 국회의원으로 한 회기동안 재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