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썬더캣츠(2011)'''}}}[br]{{{#ffffff '''Thundercats (2011)'''}}} || ||<-2> [[파일:Thundercats 2011 IMDB.jpg|width=400]] || || '''경영진 프로듀서''' || 샘 레지스터, 제프 프레첸코프스키 || || '''감독''' || [[아시노 요시하루]] || || '''프로듀서''' || 마이클 젤리닉, 이단 스폴딩 || || '''제작사''' ||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STUDIO4℃]] ||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텔레비전 || || '''방영기간''' || 2011년 7월 29일 - 2012년 6월 16일 (시즌 1 총 26화) || || '''방송사''' || [[카툰 네트워크]] || ||[youtube(TDfbLnWGl70)]|| [목차] == 개요 == [[무적의 왕자 라이온]]의 리메이크작. [[2011년]] 7월 29에 첫방영되어 일본의 [[STUDIO4℃]]와 함께 리메이크되었다.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30112214123/doblaje/es/images/9/91/Images_(37).jpg|포스터 그림]] 캐릭터들의 옷차림이나 디자인은 시대에 맞게 현대식으로 리파인되었으며, 악역인 멈라를 제외하곤 메인 캐릭터들의 인상이 쿨해지고 초대작보다도 약간 순하게 바뀌었다. == 평가 == 올드팬들의 반응은 상당히 좋았으며, 분위기도 초대작에 비해 상당히 어둡고 진지한 톤으로 바뀌고 캐릭터들이 모두들 [[회춘]]했다고 호평했다. 그러나 하필이면 이 점이 신규 팬층 어필 실패와 완구판매 부진과 시청률 부진으로 시즌 1에 26화로 [[조기종영]]당했던 비운의 [[명작]]이기도 하다. 게다가 원래 기획된 바로는 1개 시즌이 아니라 2개 시즌 이상도 기획하고 있었다고 하며, 한 시즌 당 총 52회로 계획되어 있었기에 올드팬들은 당연히 [[지못미]]. 추억보정에는 성공했으나 여러 요소들로 인해 회차를 다 방영하지 못하였다는 것이 흠이다. 사족으로 이 애니가 방영될 당시에는 실사영화를 만들려고 하였지만 보류되었다. 그래서 일부 컨셉아트 몇장정도만 있다. 한국에서도 썬더캣츠라는 이름으로 더빙방영 되었으며 심심할 때면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서 재방송하기도 했다. 성우진도 꽤 괜찮았었고 과거 초대작을 먼저 봐왔던 일부 한국 팬들은 이게 라이온의 리메이크라고 알아차리고 좋은 평을 했다. 그러나 과거 초대작의 방영명인 "무적의 왕자 라이온"으로 제목을 로컬라이징했다면 추억보정으로 더 좋았을 것이라며 아쉽다는 평도 있다. 최근 리메이크작인 [[썬더캣츠 로어]]가 방영후 호불호가 갈려서인지 이에 대비되어 평가가 점점 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팬들은 이 작품을 연령대를 잘못 잡은 숨겨진 명작으로 평가한다. == 북미 성우진 == * [[매튜 머서]] * [[케빈 마이클 리처드슨]] * [[로빈 앳킨 다운스]] == 한국판 성우진 == * [[신용우]] - 라이온-오 * [[하성용]] - 타이그라 * [[양정화]] - 치타라 * [[이장원(성우)|이장원]] - 팬더로 * [[조현정(성우)|조현정]] - 월리캣 * [[박신희]] - 월리킷 * [[장광]] - 쟈가 * [[강구한]] - 멈-라 * [[최한]] - 슬리스 * [[시영준]] - 그룬 * [[엄상현]] - 엠릭 * [[이호산]] - 기타 배역 * [[한복현]] - 기타 배역 == 기타 == [[무적의 실버호크]]의 몬스타와 [[타이거 샤크]]의 마코가 카메오로 등장하였다. == 관련 문서 == * [[무적의 왕자 라이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무적의 왕자 라이온, version=191, paragraph=3)] [[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썬더캣츠]][[분류:미완성 작품/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