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장 부호 == [include(틀:문장 부호)] || {{{+5 :}}} || || {{{+1 [[雙]][[點]]}}} || {{{+1 Colon}}} || 쌍점이란, 문장 부호의 일종이다. ||<#FFD8D8,#010101> {{{#010101,#FFD8D8 '''틀린 표기'''}}} ||'''발표자 : 아무개''' 또는 '''발표자:아무개'''|| ||<#CEFBC9,#010101> {{{#010101,#CEFBC9 '''옳은 표기'''}}} ||'''발표자: 아무개'''||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일상생활 및 나무위키에선 잘못된 사용 방법이 많이 퍼져 있다.]] [[나무위키]]에서는 리스트나 문단 제목에 쌍점을 자주 쓰곤 하는데, 앞까지 띄어서 쓴 경우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더구나 바른 표기를 그른 표기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으며 의도적으로 틀린 표기로 고치는 편집도 많이 보인다. 방송에서도 이를 틀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쌍점은 앞엔 붙여서, 뒤는 한 칸 띄어서 써야 한다.''' 국립국어원에서 내놓은 쌍점의 띄어쓰기 관련 답변을 참고하면 앞은 붙여서 씀을 알 수 있으며, 2015년에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쌍점의 띄어쓰기 규정이 새로 추가되었다.[* [[http://krdic.naver.com/rescript_detail.nhn?seq=1509|온라인 가나다 질문 답변 초안]]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37023|2018년 온라인 가나다 답변]]] 이는 [[쉼표]]와 용법이 같다. [[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97&mn_id=30|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의 쌍점에 대한 규정]]의 붙임 참고. 다만 대중 매체 등에서는 정식 유통된 원작, 미디어 믹스, 형식으로 제작된 작품 중 정식 유통된 것을 우선하기 때문에 '발표자:홍길동'이나 '발표자 : 홍길동' 같은 것도 표제어로 쓸 수 있다.[* 예시로 온라인 게임 던전앤파이터는 그간 쌍점을 '극 귀검술 : 폭풍식', '계약소환 : 정복자 카시야스'식으로 표기해왔다가 선계 업데이트로 새롭게 나온 仙 에픽을 '仙: 근원을 삼킨 광검'으로 문법에 맞게 표기한다. 그래서 던전앤파이터 관련 문서에서는 쌍점의 앞뒤를 모두 띄어 쓴 표기는 나무위키 내 문서에서도 똑같은 표기를 따르며 仙 에픽은 정석 표기를 따르고 있다.] 프랑스어 등의 일부 언어권에선 앞뒤 둘 다 띄어쓰는 것이 옳은 표기법인 경우도 있다. [[파일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 중 하나다.[* 파일명 저장시 사용 불가 문장 부호는 /, \\, ?, :, ", <, >, *이 있다.] === 용례 === 시간에서 시와 분, 분과 초의 구분(예: 오전 10:30)이나 책에서 장과 절의 구분에 사용할 수 있다. 의존명사 '대(對, [[Versus]])'를 대체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앞과 뒤를 붙여 쓴다. * (예) 10:45, 청군:백군 대화문 등에서 인물 이름의 오른쪽에 쓰인다.[* 국어 화작에서 많이 보인다.] 세부 항목의 나열, 예시 등으로 쓰인다.(한국어, 영어 공통) === 영어 === [[부제목]]을 나타낼 때 많이 쓰인다.[* '[[줄표|대시]](—)'를 쓰기도 한다.] 특히 드라마나 영화 제목에도 많이 쓰이는데,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이나 [[어벤져스: 엔드게임]],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나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등 시리즈물로 나오는 작품들에서 자주 쓰인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자주 써먹었고, 굳이 시리즈물이 아니더라도 영화의 부제를 이렇게 표기하는 방식으로 쓴다. 목록을 늘어놓을 때나 인용문을 표시하기 위해서 쓴다. 이는 콜론 뒤의 문장을 주목시키는 효과를 낸다. > 1) The garden contained the following plants: carrots, lettuce, and tomatos. > 2) Don't forget my grandpa's words: "Look before you leap." 콜론 앞에 있는 문장에 대해, 보충 설명해 줄 때 쓴다. > 1) Love is blind: sometimes it keeps us from seeing the truth. > 2) Many of the students worked in the evenings: six of them were waitresses. == 중국어 == 중국어에서도 사용되는데, 내포되는 종류를 열거하거나, 작은 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을 붙일 때 사용된다. 이를 冒号[màohào, 모호]라고 한다. 아래는 예문.[* 출처: [[중국 드라마]] [[삼국연의(1994)|삼국연의]] 31화 중.] > 曹操曾发誓曰:我平生有二愿:一愿扫平四海,成就帝业;二愿得江东二桥置于铜雀台,以娱万年,虽死无恨矣! >---- > 일찍이 [[조조]]가 맹세하길, "내게 2가지 평생 소원이 있으니, 하나는 천하를 평정하여 대업을 이루는 것이며, 또 하나는 [[강동이교]]를 얻어 [[동작대]]에서 평생을 향유한다면, 죽어도 한이 없겠도다!"고 하였소. == [[나무위키]]에서 == 나무위키에서는 [[틀]]이나 [[분류]], [[템플릿]], [[나무위키]]([[나무위키:대문]] 등 나무위키 관련 문서), [[사용자 문서|사용자]]와 내용 사이를 구분하는 기호로서 주로 쓰인다. 틀이나 분류 문서로 링크를 걸려면 :분류와 같은 식으로 앞에 쌍점을 걸어야 한다. == 수학 기호 == ||[math(f \colon \mathbb{R}\mapsto\mathbb{R})]|| [[함수]] 이름 뒤에 함수의 정의역과 공역을 나타낼 때 쓰인다. ||[math(\mathbb{R}^+ := \{ x\in\mathbb{R} : x>0 \})]|| [[집합]]을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낼 때의 경계선으로 보통 : 기호를 쓰며, 가끔 |도 쓰인다. 또한 등호 바로 앞에 :이 붙으면 좌변의 대상을 우변과 같이 정의한다는 뜻이 된다. 비례식을 세울 때 주로 사용하기도 한다. [math(2 : 4 = 3 : x)] 이면 [math(x = 6)] 이런 식으로. 다만, 수학용 기호 '∶'(U+2236)는 유니코드에서는 쌍점(:, U+003A)과는 별개의 문자로 따로 배정되어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그냥 쌍점(:, U+003A)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 프로그래밍 == 당신이 프로그래밍을 한다면 평생 타이핑할 :이 몇 배로 늘어날 수가 있다. 특히 [[OOP]]에서 쌍쌍점(::)는 상당히 자주 쓰인다. === [[C언어|C]] === switch-case 문에서 'case'가 들어가는 줄의 끝에 쓰인다. {{{#!syntax cpp switch(val) { case 0: DoSomething1(); break; case 1: DoSomething2(); break; default: DoSomething3(); } }}} [[GOTO|goto문]]에도 쓰이긴 하는데, goto 자체가 사용하지 않기를 권장되는 문법이다 보니 goto 쓰려고 : 타이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Java]] === 배열 객체나 Iterable 객체의 for-each문을 통한 참조 {{{#!syntax java for (Object a : array) { System.out.println(a); } }}} 다중 반복문에서 지정한 반복문을 끝내거나 continue를 사용하기 위한 label문에서의 사용 {{{#!syntax java labelA: for (int i = 0; i < 100; i++) { for (int j = 0; j < 100; j++) { if (j > 50 && j == i) { break labelA; // continue labelA; } } } }}} 람다식의 메소드 참조 {{{#!syntax java IntBinaryOperator op = (a, b) -> Main.staticvoid(a, b); IntBinaryOperator op2 = Main::staticvoid; // 두 코드가 동일하게 작동 }}} === [[C++]] === C++에서 자주 쓰인다.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안에 있는 식별자를 사용할 때(가리킬 때) 또는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의 이름이 겹칠 때 전역변수를 사용하고 싶을 때 변수명 앞에 ::를 붙인다. ||전자의 구문 네임스페이스이름::식별자|| ||후자의 구문 ::변수명|| 문자열 출력 {{{#!syntax cpp std::string txt = "Hello World!"; std::cout << txt << std::endl; }}} === [[PHP]] === C와 비슷한데, PHP에서는 내부적으로 쌍쌍점을 '''[[히브리어]]'''인 ''T_PAAMAYIM_NEKUDOTAYIM''으로 쓴다.[[http://phpsadness.com/sad/1|#]] === [[Python]] === 클래스 정의, 메서드 정의, 함수 정의, 조건문, 반복문 등에서 쓰인다. 아래는 계산기를 만들면서 사용된 예제 {{{#!syntax python answers = [] x = 0 #클래스 정의 class calculator: #메서드 정의 def add(self, num1, num2): self.num1 = num1 self.num2 = num2 return num1+num2 def sub(self, num1, num2): self.num1 = num1 self.num2 = num2 return num1-num2 def mul(self, num1, num2): self.num1 = num1 self.num2 = num2 return num1*num2 def div(self, num1, num2): self.num1 = num1 self.num2 = num2 return num1/num2 a = calculator() #함수 정의 def use_calculator(order, num1, num2): #if 조건문 if order == '더하기': return a.add(num1, num2) #elif 조건문 elif order == '빼기': return a.sub(num1, num2) elif order == '곱하기': return a.mul(num1, num2) elif order == '나누기': return a.div(num1, num2) #else 조건문 else: return '잘못된 명령' #while 반복문 while True: order = input('사용할 명령: ') if order == '끝내기': break num1 = float(input('첫번째 숫자: ')) num2 = float(input('두번째 숫자: ')) n = use_calculator(order, num1, num2) if n == '잘못된 명령': pass if order == '더하기': y = '+' if order == '빼기': y = '-' if order == '곱하기': y = 'x' if order == '나누기': y = '/' answers.append('{0} {1} {2} = {3}'.format(num1, y, num2, n)) print(answers[x]) x += 1 x = 1 print('=====기록=====') #for 반복문 for i in answers: print('{0} {1}'.format(x, i)) x += 1 }}} === 선택적 타입 명시 === 타입 추론(Type inference)가 존재하는 언어에서 주로 쓰인다. 해당 기능이 없는 언어의 경우 모든 변수, 파라미터 등마다 타입을 명시하기 때문에 '{{{타입명 식별자}}}' 식으로 쓰는 경우가 많고 추론이 있는 언어의 경우 '{{{식별자: 타입명}}}'처럼 쓰거나 '{{{식별자}}}'만 써서 타입을 자동으로 추론하도록 한다. 명시적으로 선언할 경우, 이를 타입 어노테이션(type annotation)이라 부른다. [[OCaml]]{{{let t: int = 123 }}} [[TypeScript]]{{{#!syntax typescript const t: number = 123}}} [[Rust]]{{{#!syntax rust let t: usize = 123;}}} == 관련 문서 == *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쌍반점]] [각주] [[분류:문장 부호]][[분류:프로그래밍 언어 문법]][[분류:수학 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