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730년 출생]][[분류:1802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송 심씨 안효공파]][[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분류:이조판서]][[분류:예조판서]][[분류:병조판서]][[분류:형조판서]][[분류:노론]]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순조-고종))] || '''{{{#f0ad73 심환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영조-정조))] ---- [include(틀:노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문충공(文忠公)[br]{{{+1 심환지}}}[br]沈煥之'''}}}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age.munhwa.com/20090209010703300740040_b.jpg|width=100%]]심환지 초상,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480호}}} || || '''출생''' ||[[1730년]]([[영조]] 6)|| || '''사망''' ||[[1802년]]([[순조]] 2)|| ||<|2> '''재임기간''' ||제214대 영의정|| ||[[1800년]] [[8월 23일]] - [[1802년]] [[11월 13일]][br]{{{-2 (음력 [[순조]] 즉위년 7월 4일 - 순조 2년 10월 18일)}}}|| || '''[[시호|{{{#fff 시호}}}]]''' ||문충(文忠)|| || '''[[본관|{{{#fff 본관}}}]]''' ||[[청송 심씨]]|| || '''[[자(이름)|{{{#fff 자}}}]]''' ||휘원(輝元)|| || '''[[아호|{{{#fff 호}}}]]''' ||만포(晩圃)|| || '''[[붕당|{{{#fff 붕당}}}]]''' ||[[노론]] (청명당, [[벽파]])|| || '''부모''' ||부친 - 심진(沈鎭)[br]모친 - [[거창 신씨]] 신무일(愼無逸)의 딸|| || '''부인''' ||[[안동 김씨]] 김이복(金履福)의 딸|| || '''자녀''' ||장녀 - [[전주 이씨]] 이의헌의 처[br]차녀 - [[청풍 김씨]] 김원선의 처[br](양자) - 심능종(沈能種)[* 동생 심찬지(沈燦之)의 아들]||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영조]]와 [[정조(조선)|정조]] 시대의 [[문신]]. [[노론]] [[벽파]]의 지도자로 도승지와 영의정 등을 지냈다. [[심의겸]]의 형 심인겸의 8대손으로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심진(沈鎭)의 아들, 교리를 지낸 심태현(沈泰賢)의 손자이다. [[청송 심씨]] 안효공파(安孝公派)로 잘 알려져 있다.[* 안효공파는 정치적으로 [[서인]] 노론에 속했다. 한때 서인의 거두였던 심의겸, [[김효원]]의 반대로 이조정랑에 등용되지 못한 [[심충겸]], 노론 벽파의 영수였던 심환지 등이 안효공파 벌족이었다.] == 생애 == 의외로 벼슬길이 매우 늦었다. 1762년(영조 38) 식년시 소과 진사시에 3등 60위로 입격하고[[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762_023487|#]] 정7품 세자익위사 부수(世子翊衛司副率)를 지냈다가[* 그런데 막상 그 자리에 오르고 보니 [[임오화변]]이 터졌다.] 1771년(영조 47) 정시(庭試) 문과에 병과(丙科) 4위로 급제하였는데[[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771_010139|#]] 이때 나이가 42세. 항상 노신으로 등장하는 심환지는 "청년 관료" 시절이 없었다.[* 물론 조선시대에는 관료가 되는 것이 반드시 과거 급제만 있는 것은 아니였다. 대체로 [[고려시대]]에 비하여서 [[음서]]의 영향이 약해졌지만 하급 관리로 먼저 시작하고 이후에 과거 급제하여 청요직을 비롯한 중요 직책으로 나아가는 것이 일반적인 조선의 관리 생활이였다. 하지만 세도정치기 안동김씨들조차 임금의 특은을 통해 관직에 나아가고, 과거 합격 후에야 초고속 승진이 가능했다는 것은 이전에 비하면 음서의 영향력이 매우 낮았다는 증거다. 심환지는 심지어 급제를 기다리며 하급직에서 소일하는 케이스도 아니었다.] 하지만 이후로 빠르게 [[승진]]하기 시작한다. 당시 노론 벽파의 수장은 [[김종수(조선)|김종수]]였는데 심환지는 50대에 이르러서야 정치적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흥미로운 것이 사실 김종수도 과거 급제는 40세인 1768년에야 했다. 청명당의 주력은 이러한 경력급 신인들이었던 셈.] 이후 정언, 교리, 대사성 등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언관직을 맡았으며 의리와 공의를 강조하는 격렬한 [[언론]]을 펼쳤다. 1779년 부수찬, 부교리를 거쳤고 1784년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대사성(大司成)이 되었다. 이후 사간원대사간,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이조참의를 거쳐 형조참판으로 승진하였으나 평택안핵어사(平澤按覈御史)로 있던 김희채(金熙采)의 [[탄핵]]으로 금갑도(金甲島)에 위리안치되었다. 1793년 풀려나 복직되었고 이조참판, 도승지, [[규장각]]제학, [[비변사]]제조를 역임했다. 1795년 병조판서로 승진되었으며 대사헌, 예조판서, 형조판서,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내고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 때 [[남인]]의 영수 [[채제공]], [[이가환]](李家煥), [[소론]] [[서명선]] 등을 탄핵했다. 1795년 [[우의정]]이 되었으며 1799년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경모궁]]도제조(景慕宮都提調)를 겸하였고 곧이어 [[좌의정]]으로 자리를 옮겼다. [[순조]] 즉위년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 김씨]]의 [[수렴청정]]으로 인해서 벽파가 집권하게 되자 [[영의정]]이 되었다. 순조 1년에 일어난 [[신유박해]]를 주관하기도 했는데 [[시파]]와 남인들의 [[숙청]]으로 이어졌으며 [[장용영]] 또한 혁파하였다. [[김관주]](金觀柱), [[정일환]](鄭日煥) 등 노론 강경파를 등용하여 반대파를 공격하게 했으며 [[권유]](權裕)를 대사헌에 임명하면서 [[김조순]][* 김조순의 장인이 되는 심건지는 심환지의 재종형이다. 그리고 그 심건지의 직계 6대손이 배우 '''[[심영]]'''이다.]을 공격했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나 정순왕후 김씨 사후 김조순이 집권하면서 관직을 추탈당하였다. 이후 [[고종(대한제국)|고종]] 1년(1864년)에 관직이 복구되었다. == 기타 == * 정순왕후 김씨와 더불어 정조를 [[독살]]시킨 [[용의자]]로 의심받았으나 2009년 2월 [[정조 어찰첩|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어찰 299건]]이 발견되어 정조와 비밀 [[편지]]로 내통한 사실이 드러나 혐의가 완전히 사그라들었다.[* 정조는 심환지뿐만 아니라 남인의 영수 채제공에게도 어찰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환지에게 보낸 어찰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에서 [[정조 어찰첩]]이라는 이름으로 탈초해 번역하여 출판되었다. 1796년 8월 20일부터 1800년 6월 15일까지 보낸 어찰로서 총 6첩 297건에 달하는 분량이다. 심지어 이마저도 나머지 흩어져 있는 첩들의 합으로 따졌을 때 약 350첩이 넘는 양으로 추정된다.] 정조는 겉으로는 [[탕평책]]을 내세우면서 노론의 영수인 심환지와 대립하는 척하였지만 막후에서는 심환지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이 심환지와 같은 성향임을 드러내고 뒤로 각본을 짬으로써 심환지와 함께 정국을 주도하였다. * 심환지는 노론 벽파의 강경파였고 [[남인]]인 [[채제공]]을 배척하며 심지어 [[소론]]인 [[서명선]]을 탄핵하는 등 비타협적이라 [[수구꼴통]]이라 불렸으며,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앞장서서 남인들을 적극 숙청했을 정도로 강경했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심환지는 기본적으로는 청렴하고 유능하였다. * 일례로 가혹한 혹정으로 무고한 사람들을 장살한 탐관오리인 [[이여절]]에 대한 대응이 있다. 정조 때 남인인 채제공과 같은 노론인 [[이병모]]가 "이여절을 주살하면 국가와 관리의 위신이 떨어진다"하여 극형을 반대하자 심환지가 반대하기를 "무고하게 죽은 사람이 넷이 되었는데 그런 자를 살려주면 법의 기강이 무너진다" 하였다. 결국 이여절이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로 판단하여 공적인 일로 밝혀지자 마무리되어 [[유배]]형으로 보냈다. 결국 나라에서 이여절의 죄를 계속 봐주니 이여절은 더더욱 강력한 법비, 물고 전문가가 되었으며 나중에 순조 때 정순왕후가 심환지에게 의견을 물으니 반대적으로 일률은 곤란하다하여 충군이 되었다.[* [[신유박해]] 때의 일인데 이여절의 사례로 수령들이 천주교 박해에 소홀해진다면(!) 조정의 입장이 곤란하다라는 정무적 판단이 개입된 것이다.]이여절을 차라리 심환지 말대로 사형에 처했으면 이여절의 혹정도 없을 것이고 이러한 사고도 안났을 것이다. == 대중매체 == * 1989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 파문》에서는 배우 [[문회원]]이 연기했다. * 1995년 개봉한 영화 《영원한 제국》에서는 배우 [[최종원]][* 최종원이 심환지 초상과 닮은 곳이 많다.]이 연기했다. 당시에는 [[정조 어찰첩]]이 아직 발견되기 전이었고 [[노론 음모론]]이 대중 문화계에 한참 대세였던 시대였으므로 극 중에서도 [[정조(조선)|정조]]를 암살할 기회만을 노리는 능구렁이 같은 인물로 묘사되었다. * 2000년 [[KBS]] 드라마 《[[소설 목민심서(드라마)|소설 목민심서]]》에서는 배우 [[임혁]]이 연기했다. * 2007년 [[CGV]] 드라마 《정조암살미스터리 - 8일》에서는 배우 [[박찬환]]이 연기했다. 정조의 [[정적]]으로 그야말로 꽉막힌 [[벽파]] 자체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정치인]]답게 계산된 모습이 나오는데 불리한 상황에서도 여유로운 미소를 보여주기까지 한다. 김종수의 뒤를 이을 [[노론]]의 유망주로 나오는데 김종수와 심환지는 겨우 2살 밖에 차이가 안난다. 결국 정조 [[암살]]이 실패로 돌아가고 자신의 목숨마저 위험에 처해지자 재빠르게 동조한 훈련대장을 참하고 그에게 모든 것을 뒤집어씌워 살아남는다. * 2007년 [[MBC]] 드라마 《[[이산(드라마)|이산]]》에서는 배우 [[조경환]]이 연기했다. 노론 세력의 수장인 최석주라는 가상의 인물로 묘사되었다. * 2014년 개봉한 영화 《[[역린(영화)|역린]]》에서는 성우 겸 배우인 [[이종구(배우)|이종구]]가 연기했다. * 2021년 [[MBC]]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드라마)|옷소매 붉은 끝동]]》에서는 배우 [[김병춘]]이 연기했다. 정조어찰을 통해 밝혀진 사실대로 정조를 무조건 적대하는 것이 아니라 따를 일은 따르는 인물로 묘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