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심장의고동대통령배.jpg|width=100%]]}}}|| ||<-2> 이름 ||심장의고동[br]SIMJANGUI GODONG || ||<-2> 출생 ||2016년 03월 14일([age(2016-03-04)]세) || ||<-2> 마번 ||0038511 || ||<-2> 성별 ||수컷 || ||<-2> 털색 ||밤색 || ||<-2> 아비 ||[[지금이순간]] || ||<-2> 어미 ||하우야유 || ||<-2> 외조부 ||와이와이와이 || ||<-2> 생산자 ||코리아 호스랜드 || ||<-2> 마주 ||오종환 || ||<-2> 조교사 ||지용철→심승태 || ||<-2> 성적 ||38전 11승 ^^진행중^^ || ||<-2> 총상금 ||1,958,600,000 ^^진행중^^ || ||<|1> 주요[br]우승 || G1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2021)''' || ||<-2> 상세 정보 ||[[https://studbook.kra.co.kr/html/info/ind/s_majuck.jsp?mabun=0038511|[[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width=75]]]] | [[https://www.horsepia.com/hp/pa/hh/PAHH2040D01/detail.do?hrNo=0038511&hrsGbCd=00100&eqsthrConvYn=N#none|HORSEPIA]]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경주마. 2012년 코리안더비 우승마 [[지금이순간]]의 자마이며. 2021년 대통령배 우승으로 한국경마사상 최초의 국산마 부자 G1재패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지금이순간]][br]{{{-2 200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px]]]] ||<|2>[[인그란디어]][br]{{{-2 イングランディーレ}}}[br]{{{-2 1999}}}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White Muzzle || ||마를린 모모코[br]{{{-2 マリリンモモコ}}} || ||<|2>솔마루[br]{{{-2 1997}}}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px]]]] ||무자지프[br]{{{-2 Mujaazif}}} || ||칼린올[br]{{{-2 Khalin All}}} || ||<|4>하우아유[br]{{{-2 Howareyou}}}[br]{{{-2 200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와이와이와이[br]{{{-2 Whywhywhy}}}[br]{{{-2 200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Mr.Greeley || ||Thorough Fair || ||<|2>마이터뷸런트보[br]{{{-2 My Turbulent Beau}}}[br]{{{-2 1984}}}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Beau's Eagle || ||My Turbulen Miss || 표에는 안 나와 있지만 4대조에 [[댄싱 브레이브]]가 있는데, 부마 [[지금이순간]]이 [[인그란디어]]의 자마라 댄싱 브레이브 직계다. == 생애 == [youtube(LmT6_mhTPj0)] 2016년 3월 14일에 태어나 2018년 3월 23일에 심장의고동이라는 마명을 부여받았다.[* 이름을 이렇게 지은 이유는 마주가 직접 망아지를 받았을때 심장소리가 굉장히 크게 들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심장의고동의 부마인 [[지금이순간]]은 한국 경마의 황금세대라 일컬었던 2010년대 초반에 [[당대불패]], [[경부대로]]와 함께 활약했던 명마로 그의 자마인 심장의 고동은 이로 인하여 데뷔전부터 주목받았다. === 2019년 === 2019년 1월 27일에 데뷔한 심장의고동은 미승리전 2연패이후 3월 24일 러닝복스를 선입으로 1마신 가량 추월하여 첫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한달 뒤에 1700M 경기에서도 낭만스타를 3마신 차이로 승리하면서 중장거리에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곧바로 트리플 크라운의 두번째 경기인 코리안더비에 출주하였다. 더비에서 원더풀플라이가 선행을 잡으면서 경기를 주도했으며 심장의고동은 선입 위치에서 그 뒤를 따랐다. 최종직선에서 다소 선두와 거리가 떨어지면서 약 100M를 남겨두고 2위까지 추월하는데 성공했으나 이미 선두에 있던 원더풀플라이가 도주하는데 성공하여 13마신의 큰 차이로 패하였다.[* 더비에서 대차로 2위를 기록한 사례는 역대 3번째이다.] 더비 2착이후 한달 뒤에 트리클 크라운의 3번째 대상경주인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에 출전하였지만 최종코너에서 안쪽 코너를 도는것이 마군에 갇혀있어 선두경쟁에서 뒤로 밀렸으며 최종직선에서는 뒷심이 발휘되지 못하여 6착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이후 일간스포츠배 대상경주와 HRI 트로피 특별경주에서 모두 우승하면서 좋은 컨디션을 보여주었다. ||[youtube(DF-kOG3kjkc)]|| 기세를 몰아 제 11회 대통령배회에 출주하였다. 이 대회에는 KRA컵 마일 우승자였던 글로벌 축제는 참여하지 못했지만 트리플 크라운에서 각각 우승하였던 록초이스와 원더풀플라이가 참여하였으며 스테이어 시리즈에서 돌콩과 문학치프 등에게 연달아 패배했으나 중장거리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던 뉴레전드가 첫 대상경주 우승을 노리고 있었다. 심장의 고동은 선행으로 포지션을 잡아 경기를 주도하였다. 심장의고동은 400M를 남겨둔 최종코너까지 선두를 지키며 선전했으나 최종직선 마지막에 뉴레전드와 독도지기에게 각각 반마신과 코차이로 아쉽게 패하였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자신의 라이벌이었던 원더풀플라이나 록초이스가 10착 밖으로 밀려났고 자신을 제외한 모든 3세마들이 중위권 밖으로 성적을 거뒀다는 점에서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youtube(2opTpmcczxI)]|| === 2020년~2021년 === 2020년 1월 단거리 대상경주인 세계일보배에서 머리차이로 우승하면서 좋은 스타트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스테이어 시리즈에 참여하는게 아닌 자신의 거리적성과 다소 거리가 있는[* 부마인 지금이순간이 1400M에서도 잘 뛰었고 1400M는 나라에 따라 마일경주로 취급하기도 한다. 그러나 1200M는 명백히 단거리이고 이 거리는 혈통적으로 심장의고동이 잘 뛸 수 있는 거리인지는 의문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 때문에 혹자는 세계일보배 우승으로 인하여 심장의고동이 스프린터에 적성이 있다고 판단해 단거리~마일 경주위주로 한 해를 보낸것이 말의 성장을 억제한 효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스프린터 시리즈에 해당하는 부산일보배와 SBS 스포츠 스프린트 대상경주에 참여했으나 이 경기에서 각각 6착과 11착을 하면서 최악의 해를 맞이하였다. 특히 전년도에 2000M 대통령배에서 동세대의 경쟁자들보다 중장거리에서 가능성을 더 많이 보여줬다는 점에서 아쉬워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후 21년 4월까지 한 경기도 승리를 하지 못할정도로 큰 부진에 빠졌으며 5월에 열린 일반경주에서 1승을 하는것에 그쳤다. 단거리~마일 경주로 꾸준히 출전하고 간혹 중거리(1800M)를 뛰었던것이 전체적인 승률에 영향을 주었다. 그런 와중에 지난 1년동안 보여준 횡보와는 다소 떨어진 중거리 대상경주인 대통령배를 2년만에 출전한다고 선언했다. ||[youtube(qp9LrpQX1Bg)]|| 심장의고동은 판타스틱맨과 터치스타맨 다음으로 3번 인기마로 선정되었다. 그간에 횡보에 비하면 다소 의아한 것이었지만 말의 능력을 믿는 사람이 많았다. 이 경기에서 심장의고동은 5~6위권에 선입으로 포지션을 잡았으며 터치스타맨과 판타지스타맨이 선두를 이끌었다. 심장의고동은 4코너 지점에서 선두까지 올랐고 최종직선으로 접어드는 시점에 1위를 탈환하여 1마신이상의 거리로 우승하였다. 그 결과 2019년에 뉴레전드와 독도지기에게 아쉽게 패하였던 대통령배 대상경주 우승의 설혹을 풀었다. 동시에 한국경마 사상 최초로 국산마 부자 GI 재패 타이틀을 얻었으며 뿐만 아니라 2010년부터 서울부산 통합경주로써 개최된 대통령배에서 10년동안 부경의 경주마들이 지배했던 대통령배를 12년만[* 코로나로 인한 2020년 경기 중단]에 서울경주마가 우승하게된 역사적인 주인공이 되었다.[* 아버지 지금이순간과 아들 심장의고동이 나란히 G1 대상경주를 석권하며 경마는 혈통의 스포츠라는 점을 다시금 일깨워줬다.] --[[닉스고]]에게 언론지면에선 묻혔지만.-- 기세를 몰아 그랑프리에 출전하여 선행경쟁으로 레이스를 펼쳤으나 4코너가 지나는 시점에서 행복왕자가 청담도끼와 심장의 고동을 추월하여 선두를 탈환하였고 심장의 고동은 최종직선에서 뒤로 쳐지면서 5위로 한해를 마무리하였다.[* 경기 중 다른 경주마의 발굽에 차였던 탓에 바늘로 꿰매야 했다.] === 2022년 === 2월과 3월에 2000M 일반경주를 모두 우승하며 좋은 스타트를 하였다. 단거리 대상경중인 서울마주협회장배에서 4위를 하였지만 이후 중거리 대상경주인 부산광역시장배와 마일경주인 오너스컵에서 각각 2위에 들었다. 좋은 레이스 폼을 보여주어 9월 코리아컵에 출전하였다. 그러나 2022년 최고의 경주마를 다투고 있는 위너스맨과 라온더파이터 등에게 크게 밀리면서 결과적으로 10위로 마쳤다. 하지만 코리아컵에서의 10위을 만회하듯 다음에 뛰게 된 경주인 11월 13일 GI 2000M 대통령배에서 좋은 모습과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그 결과 작년 대통령배 1위라는 것을 과시하듯 2착을 하며 아쉽지만 좋은 모습에 경기를 보여주었다. 12월 11일 그랑프리에 출마했다. 12번 외각 게이트였기 때문에 선입으로 경주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2코너부터 후열로 처졌고 3코너부터는 11위를 유지하였다. 결국은 4코너부터 마지막 결승직선주로까지 추입을 시도했으나 순위를 끌어올리지 못하여 10위의 성적으로 마무리하였다. 부마인 [[지금이순간]]이 그랑프리에서 [[인디밴드(말)|인디밴드]]에게 2위로 아쉽게 우승을 하지 못했는데, 자마인 심장의고동 또한 내년에 7세에 접어들기 때문에 그랑프리 우승의 꿈은 이루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 2023년 === 2023년 1월 28일 날 새해 첫 경주로 1등급 2000M 경주에 출전하였으며 여기서 7세에 나이에도 불구하고 노장은 죽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듯 3위로 입상하여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 2023년 3월 18일 1등급 8경주 2000m에 나간 심장의고동은 여기서 1위를 하며 매우 좋은 성적을 보여줬는데, 이는 심장의고동이 서울경마에서 1년만에 거둔 승리였다. 2023년 5월 21일 대상경주 [[YTN배]] 에서는 나이를 못이기는지 9위로 [[문학치프]]와 같이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2023년 5월 21일 대상경주 [[부산광역시장배]]에 단승 인기 4위로 출전하였다. 6~7마신 차이로 선두권에서 둘만의 승부를 벌이고 있던 [[투혼의반석]]과 [[위너스맨]]를 상대로 최종 직선 주로에서 노익장의 힘을 발휘하여 무섭게 좁혀 나갔으나 끝내 추월하지 못했고 3등에 그쳤다. 그래도 7세라는 고령에 [[위너스맨|2등]]과 1¾마신 차, [[투혼의반석|우승마]]과는 2¼마신 차이며 4등마인 퀸 할리가 심장의고동과 9마신 차임을 감안하면 대단히 선전한 셈이다. 이후 코리아컵 1차 예비 명단이 나왔을 때 출주 신청이 확인이 되었다. 여담으로 1번 게이트를 뽑게 되면서 좋은 자리를 얻었다. 이후 9월 10일 코리아컵에 출전을 하게 되었으며 중위권에서 뛰면서 따라가는 작전으로 전개를 했고 이후 잘 따라갔지만 3코너를 지나 4코너가 나오게 되었을 때 점점 힘이 부치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는 역시 나이를 속일 수 없는지 올라오지 못해 결국 10위를 하게 되었다. 이후 10월 15일에 열리는 [[KRA컵 클래식]](G2) 1차 예비등록에 등록이 되어 있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 이번 년도에 7세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입상권에 드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최하위로 침몰을 하는 경주가 있었던 만큼 입상권에 드는 것만으로도 대단하다는 시각이 팬들 사이에서 지배적이다. 그렇게 10월 15일 열린 KRA컵 클래식에 출전한 심장의고동은 초반 9위권에서 달리기 시작하면서 쭈욱 유지했고, 그렇게 9위권에서 뛰다가 마지막 직선 구조에서 점점 올라오더니 4위로 결승선을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11월 19일. 심장의고동은 국산마 최강자들이 모이는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에 나가게 되었으며 최외각 게이트인 16번 게이트에서 뛰게 되었다. 그렇게 출발한 심장의고동은 외곽쪽 후미인 10위권에 머물면서 달리기 시작했고, 3코너를 지나면서 점점 올라오기 시작하더니 4코너를 지나 마지막 직선 구조에서는 4위권까지 올라왔고 그렇게 외곽으로 힘차게 달린 심장의고동은 4위로 들어오면서 노장의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그랑프리에 등록을 했는데, 마사회 내역에서 벌마의스타와 함께 두바이 출주 등록이 되어 있는 걸 발견했단 글이 올라오더니 얼마 후, 한국 경마를 홍보하는 영국인으로 유명한 알라스테어 미들턴도 본인 트위터가 조만간 두바이행 비행기에 탑승할 것이란 트윗글을 날렸다. 이윽고 12월 02일 무렵에 그랑프리 등록 명단에서 지워졌다. === 여담 === * 심장의 고동이란 이름을 짓게 된 이유는 마주가 직접 태어난 말을 받았을때 심장소리가 굉장히 크게 들려서 이렇게 지었다고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872303|우마무스메 마이너 갤러리의 간단한 썰]]] * 지용철 조교사에 따르면 심장의고동 성격이 부마인 [[지금이순간]]과 닮아서 평소에는 비교적 얌전하고 뛸때는 정신없이 뛰는 그런 스타일이라고 한다. 기성은 담담한 편이라는 우마무스메 마이너 갤러리의 썰도 있다. * 문세영 기수가 심장의 고동에게 장난스럽게 초콜릿을 먹이려는 행위가 쇼츠영상으로 웃음을 준 영상이 있다. [[https://m.youtube.com/shorts/6XH-gyvP3m8|문세영 기수와의 짧은 영상.]] * 심장의 고동은 37조 마방의 심승태 조교사에게 조교를 받기 이전에 부마인 [[지금이순간]]을 담당했었던 지용철 조교사에게 조교를 받았으며, 이 마방에서 부자 G1 재패를 달성했다. == 경기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 그레이드 || 트랙 || 순위 || 기수 || 1착마[br](2착마) || ||<-8> 2019년 {{{-1 (3세)}}} || || 01.27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국6 || 1000m || 3위 || 이혁 || 라온스톰 || || 02.23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국6 || 1300m || 3위 || 이혁 || 흑전사 || || 03.24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국6 || 1300m || '''{{{#RED 1위}}}''' || 이혁 || (러닝복스) || || 04.20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국5 || 1700m || '''{{{#RED 1위}}}''' || 이혁 || (낭만스타) || || 05.12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코리안더비]]''' || '''GI''' || 1800m || 2위 || 이동하 || 원더풀플라이 || || 06.16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농림축산식품부장관배]] || GII || 2000m || 6위 || 이동하 || 록초이스 || || 07.21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일간스포츠배 || L || 1800m || '''{{{#RED 1위}}}''' || 박태종 || (불의고리) || || 09.07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HRI트로피 || 특별경주 || 1400m || '''{{{#RED 1위}}}''' || 문세영 || (해후) || || 10.06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국내산마 최강팀 선발예선전 || 2등급 || 1600m || '''{{{#RED 1위}}}''' || 문세영 || (원더풀잭팟) || || 11.03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2000m || 3위 || 이혁 || [[뉴레전드]] || || 12.22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800m || 7위 || 이혁 || 슈퍼삭스 || ||<-8> 2020년 {{{-1 (4세)}}} || || 01.19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세계일보배 || L || 1200m || '''{{{#RED 1위}}}''' || 박태종 || (도끼블레이드) || || 06.28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일보배]] || GIII || 1200m || 6위 || 박태종 || [[도끼블레이드]] || || 07.26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SBS스포츠 스프린트]] || GIII || 1200m || 11위 || 박태종 || [[모르피스(말)|모르피스]] || || 11.15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200m || 5위 || 문세영 || [[이스트제트]] || ||<-8> 2021년 {{{-1 (5세)}}} || || 01.08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800m || 5위 || 김정준 || 강토마 || || 03.07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400m || 4위 || 문세영 || 메디치글로리 || || 04.11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800m || 10위 || 문세영 || 흑전사 || || 05.30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400m || '''{{{#RED 1위}}}''' || 김용근 || (메디치글로리) || || 08.15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400m || 6위 || 김용근 || 메니히어로 || || 10.03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1800m || 5위 || 이혁 || [[청담도끼]] || || 11.28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2000m || '''{{{#RED 1위}}}''' || 문세영 || (금아애크미) || || 12.26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그랑프리(한국경마)|그랑프리]]''' || '''GI''' || 2300m || 5위 || 이혁 || [[행복왕자]] || ||<-8> 2022년 {{{-1 (6세)}}} || || 02.27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2000m || '''{{{#RED 1위}}}''' || 송재철 || ([[문학치프]]) || || 03.27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2000m || '''{{{#RED 1위}}}''' || 문세영 || ([[행복왕자]]) || || 05.22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서울마주협회장배 || GIII || 1200m || 4위 || 문세영 || [[블랙머스크]] || || 06.26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광역시장배]] || GII || 1800m || 2위 || 문세영 || [[위너스맨]] || || 07.24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Owners` Cup]] || GIII || 1600m || 2위[* 킹오브더매치와 동착] || 빅투아르 || [[라온더파이터]] || || 09.04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코리아컵]]''' || '''GI[br][*국제GIII]''' || 1800m || 10위 || 빅투아르 || [[위너스맨]] || || 11.13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2000m || 2위 || 문세영 || [[라온퍼스트]] || || 12.11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그랑프리(한국경마)|그랑프리]]''' || '''GI''' || 2300m || 10위 || 이혁 || [[위너스맨]] || ||<-8> 2023년 {{{-1 (7세)}}} || || 01.28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2000m || 3위 || 김아현 || 블랙머스크 || || 03.18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2> 1등급 || 2000m || '''{{{#RED 1위}}}''' || 오수철 || (치프인디) || || 05.21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YTN배]] || GIII || 2000m || 9위 || [[문세영(기수)|문세영]] || [[투혼의반석]] || || 07.2 || [[렛츠런파크 부산경남|부산경남]] || [[부산광역시장배]] || GII || 1800m || 3위 || 이동하 || [[투혼의반석]] || || 9.10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코리아컵]]''' || '''GI[br][*국제G3]''' || 1800m || 10위 || 문세영 || [[크라운 프라이드]] || || 10.15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KRA컵 클래식]] || GII || 2000m || 4위 || 이동하 || [[위너스맨]] || || 11.19 || [[렛츠런파크 서울|서울]] || '''[[대통령배(경마)|대통령배]]''' || GI || 2000m || 4위 || 문세영 || [[위너스맨]] || }}} [include(틀:대통령배,grade=GI)] [[분류:경주마/한국 생산]][[분류:경주마/한국 조교]][[분류:2016년 출생/경주마]] [[분류:리파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