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천사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GoddesswiththeThirdEye-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심안의 여신'''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心眼, ruby=しんがん)]の[ruby(女神, ruby=めがみ)]'''|| || 영어판 명칭 ||<-4>'''All-seeing Goddess'''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br]'''Goddess With The Third Eye'''||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백마족 || 천사족 || 1200 || 1000 || ||<-5>이마에 있는 신의 눈으로 모든 것을 꿰뚫어볼 수 있는 여신.|| DM1에서부터 등장.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 [[팔레트 스왑]] 버전인 [[검은 숲의 마녀]]가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유우기 덱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 나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心眼の女神.jpg]] || 한글판 명칭 ||<-4>'''심안의 여신'''|| || 일어판 명칭 ||<-4>'''[ruby(心眼, ruby=しんがん)]の[ruby(女神, ruby=めがみ)]'''|| || 영어판 명칭 ||<-4>'''Goddess With The Third Ey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천사족]] || 1200 || 1000 || ||<-5>이 카드를 융합 소재 몬스터 1장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그 때, 다른 융합 소재 몬스터는 규정한 것이어야 한다.||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중 공격력이 가장 좋지만 별 의미는 없다. 그렇다고 위의 카드들처럼 쓸 이유가 없는 카드인가 하면 그건 아닌데, 이 카드는 레벨 4다. 같은 레벨 3이면 같은 속성의 융합 주술봉인 생물을 쓰고 말지 하는 위의 둘과는 달리 1 높은 레벨로 차별이 가능하다는 것. 그렇다고는 해도 보통 이 장점조차 살리기 힘들지만 [[의식 소환]] 몬스터와 병용해야 하는 융합 몬스터인 [[궁극룡 기사]] 덱에서는 약간 쓸만하다. 레벨 4라 레벨 8 의식 몬스터인 [[카오스 솔저]]의 의식 소재로 하고 나중에 [[용의 거울]]로 융합해버리기 좋다. 어차피 [[궁극룡 기사]]는 [[융합 주술봉인 생물-빛]]의 효과로는 특수 소환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은 값이면 이게 낫다. 이외에도 빛 속성 중심의 [[푸른 눈]] 덱에서도 [[나이트 오브 화이트 드래곤]]의 릴리스 하기 좋으며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융합 소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설의 백석]],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등과 함께 [[샤이닝 엔젤]]로 [[리크루트]]가 가능하다는 건 늪지의 마신왕에는 없는 장점이다. 메인 덱에 투입 가능한 빛 속성 융합 소재 대용 몬스터라는 점에서 [[알버스의 낙윤]] 덱에서도 채용해볼 수 있다. [[낙인융합]] 등장 이후 [[낙인룡 알비온]]의 융합 소재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알비온의 효과로 이 카드의 효과를 적용함으로서 폭넓은 융합 몬스터로 연계할 수 있게 되었으니 중요도가 대폭 늘은 셈. [[이시즈 티아라멘츠]]에서 [[디클레어러 디바이너]]로 덤핑이 가능한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라는 점에서 채용이 고려되기도 했으나, 상위 호환인 늪지의 마신왕 때문에 묻혔다. 이후 금제로 이시즈 티아라멘츠가 몰락하고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이 발매되자 레벨 4라 엑시즈 소환도 할 수 있고 빛 속성이라 튜너 취급으로 앙헬의 소재도 될 수 있다는게 밝혀져 중국 대회에서 잠깐 쓰였다. 여담으로 이 카드의 [[팔레트 스왑]] 버전인 [[검은 숲의 마녀]]는 [[음악의 제왕]]과 [[크릿치]]의 융합 소재인데, 심안의 여신의 효과 덕분에 실전성은 없지만 색놀이 버전인 이 카드로도 이 둘을 융합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오오타 소이치로]]와의 듀얼에서 [[카와이 시즈카]]가 선택한 [[덱 마스터]]로 등장.[* 시즈카는 이 몬스터를 '심안의 여신'''님''''이라 불렀다.] 홀로그램임에도 시즈카의 손을 잡고 시즈카를 응원해주는가 하면, 자신이 직접 덱 마스터 능력을 설명해주기도 했다. 덕분에 시즈카는 이 능력으로 마법 카드 1장을 코스트로 삼아 [[성녀 잔느]]를 융합 소환해내고, 오오타 소이치로의 [[퍼펙트 기계왕]]과 자폭하여 끝내 승리하는 데에 기여하는 활약을 했다. 덱 마스터 능력명은 '퓨저닉 아이(フュージョニック・アイ / Fusionic Eye)'[* [[대원방송]] 방영판에서는 '융합의 눈'.]으로, 능력을 사용할 때 감고 있던 양쪽 눈을 다 뜨는 모습[* [[파일:B3YXbjaCIAA8W6A.png|width=400]]]을 볼 수 있다. [[유희왕 ZEXAL]]에서도 [[텐조 카이토]]가 [[츠쿠모 유마]]와의 1차전에서 패에 있었던 것으로 등장하나 [[포톤(유희왕)#포톤 베일포톤 베일]]의 코스트로 덱으로 되돌리고 등장 끝. 굳이 덱에 투입한 이유는 원작에서 [[포톤 리저드]]만 소재로 지정하던 [[트윈 포톤 리저드]]의 융합 소환을 더 수월히 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31화에서는 [[찰리 맥코이]]가 [[No.7 럭키 스트레이트]]의 능력으로 일으킨 돌풍으로 날아가 찰리의 손에 날아든 카드 중 하나로도 등장. == 관련 카드 == === [[검은 숲의 마녀]] === 심안의 여신의 [[팔레트 스왑]] 버전. === [[심안의 지팡이]] === === [[심안의 제전]]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 version=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