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싱가포르의 항공사)] ||<-4> '''{{{#white 실크에어 [br] SilkAir Private Limited}}}''' || ||<-4> [[파일:실크에어 로고.svg|width=100%]] || || '''[[IATA]]''' [br] MI || '''[[ICAO]]''' [br] SLK ||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br]SA || '''[[항공사]] [[호출 부호]]''' [br] SILKAIR || ||<-3> '''항공권 식별 번호''' ||629 || ||<-3> '''설립년''' ||1992년 || ||<-3> '''해체년''' ||2021년 || ||<-3> '''허브 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 || ||<-3> '''보유 항공기 수''' ||--30(+37대 주문)-- || ||<-3> '''취항지 수''' ||54 || ||<-3> '''항공동맹''' ||없음 || ||<-3> '''모기업''' ||[[싱가포르항공]] || ||<-3> '''링크''' ||--[[http://www.silkair.com/|홈페이지]]-- || [목차]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실크에어 B738.jpg|width=100%]]}}} || || [[보잉 737-800|보잉 737-8SA]] || == 개요 == [[싱가포르항공]]의 자회사. [[스쿠트 항공]]과는 달리 [[저가 항공사]](LCC)가 아닌 풀 서비스 캐리어(FSC)로 주로 저수요 단거리 노선 위주로 다니는 지역 항공사이다. [[캐세이패시픽항공]]의 자회사인 [[캐세이드래곤항공]]이랑 비슷한 역할을 한다. 싱가포르항공이 운행하는 노선 중 승객이 적은 경우 싱가포르항공 운항 편을 취소하고 실크에어에서 대신 운행하기도 한다. 싱가포르항공의 [[마일리지]] 서비스인 크리스플라이어를 공용하는데, 실크에어는 싱가포르항공과는 달리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가 아니므로 [[아시아나클럽]] 등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 마일리지 적립이 안 된다. 실크에어의 [[코드셰어]]편이나 위의 경우처럼 싱가포르항공 운항편을 실크에어가 대신 운항하는 경우 마일리지 적립이 불가능하다. 2018년에는 [[싱가포르항공]]이 1억 달러 투자와 함께 브랜드 합병을 발표했다.[[https://www.singaporeair.com/en_UK/us/media-centre/press-release/article/|#]] 곧 위의 단락 같은 사례가 사라질 것이다. [[2021년]] 모기업인 싱가포르항공에 흡수합병이 완료되었다. 현재 실크에어가 주문한 항공기들은 모두 싱가포르항공 [[도색]]으로 생산되고 있고 기존 보유항공기도 싱가포르항공 도장으로 [[교체]]가 시작되었다. == 대한민국 노선 == 2018년 8월 한국과 싱가포르 사이에 열린 항공 회담에서 [[김해국제공항|부산]]~[[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직항을 신설하기로 하면서 싱가포르 쪽 항공사에서는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262753|실크에어가 2018년 12월 중 노선 취항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실크에어에서는 주 4회 취항을 원했으나 김해공항 슬롯 확보 문제로 원하는 시간대에 취항하기 어려워져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0476203&viewType=pc|11월 18일, 실크에어가 부산 취항을 포기했다.]] 해를 넘긴 2019년에 슬롯 배정을 받았는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642026|5월 1일부터 주 4회로 취항]]하기로 했다. ~~차라리 실크에어보다는 [[스쿠트 항공|스쿠트]]를 먼저 부산에 취항하였으면 [[보잉 787|보잉 787-8]] 기종을 가지고 [[홍콩]]을 거쳐 부산까지 내려오면 좋았을 듯~~ [[보잉 737 MAX|보잉 737 MAX 8]] 기종을 투입하기로 하였으나, 잇따른 사고로 맥스가 운항 정지를 먹는 바람에 [[보잉 737 NG|보잉 737-800]]으로 취항하였다. 좌석은 30석 가량 줄여서 예약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MI875편과 MI876편 모두 싱가포르항공과 싱가포르항공 카고의 [[코드셰어]]가 걸려있다. 수요 증가로 인해 광동체로 바꿀 목적으로 결국 2019년 10월에 단항을 결정했으며, 단항 이후 편명은 SQ615 / 616으로 바뀌어 [[https://sg.news.yahoo.com/sia-to-take-over-silk-airs-singapore-busan-flights-from-28-oct-due-to-growing-demand-074724168.html|싱가포르항공이 직접 운항]]한다고 한다. 매 비행마다 항속거리 때문에 줄인 30석 가량을 제외한 모든 좌석을 꽉꽉 채우고 다닌다고 한다. 싱가포르항공과 실크에어로서는 이번 결정으로 인해 한시름 던 셈. ||<|2>'''~~[[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공식적으로는 2019년 10월 27일에 [[싱가포르항공]]에게 권리를 넘겨주면서 단항하였으며, 이후에는 SQ615 / 616으로 변경되어 운항. 그러나 특정 날짜의 탑승객 수가 부족할 경우 임시로 싱가포르항공 운항편을 취소시키고 실크에어 항공기를 투입하기 때문에 일단은 취소선으로 처리.]||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발 [[김해국제공항|부산]] 도착~~(MI876)~~''' ||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행 [[김해국제공항|부산]] 출발~~(MI875)~~''' || '''기종''' ||<|2>--'''~~화, 목, 토, 일[* 부산 기준]~~[br]~~주4회 운항~~'''-- || || --07:00-- || --08:00 / 08:30-- || ~~[[보잉 737 NG|B737-800]]~~|| ||<|2>--'''[[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싱가포르항공 공동운항편.]||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발 [[김해국제공항|부산]] 도착(SQ616 / MI5826)'''-- || --'''[[김해국제공항|부산]]발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도착 (SQ615 / MI5825)'''-- || '''기종''' ||<|2>--'''화, 목, 토, 일[* 부산 기준][br]주4회 운항'''-- || || 06:35 (화, 토, 일) / 06:30 (목) || 08:00 (화, 목, 토) / 08:10 (일) || [[A330|A330-300]] || == 이전 보유 기종 == * [[A319]] * [[A320]] *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300]] * [[보잉 737-800]] * [[보잉 737 MAX|보잉 737 MAX 8]] [[광동체]]만 보유한 [[싱가포르항공]][* 현재는 실크에어를 합병하면서 협동체도 보유하게 되었다.]과는 달리 실크에어는 [[협동체]]만 보유하고 있었다.[* 참고로 [[스쿠트 항공]]은 같은 싱가포르 항공 계열 저가 항공사였던 타이거에어와 합병하면서 [[에어버스 A320|협동체]]와 [[보잉 787|광동체]]를 같이 운용하고 있다.] == 사건사고 == * [[실크에어 185편 추락 사고]] [[분류:싱가포르의 항공사]][[분류:202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