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츄오 본선]][[분류:1972년 개업한 철도역]] || {{{+1 [ruby(新, ruby=しん)][ruby(府, ruby=ぷ)][ruby(駅, ruby=えき)]}}} || {{{+1 Shimpu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50&align=left]]]]}}}[[JR 동일본|{{{#fff JR 동일본}}}]] [[대도시근교구간#s-4.1|[[파일:JR-kin.svg|width=20]]]][br] '''{{{#fff {{{+2 신푸역}}}}}}'''|| || [[타카오역(도쿄)|{{{#000000,#e5e5e5 {{{#!html
타카오 방면
}}}}}}]][[니라사키역|니라사키]][br]← 4.2 km || [[츄오 본선|[[파일:JRE-CO.svg|width=20]]{{{#ffffff {{{#!html
츄오 본선
}}}}}}]]{{{#ffffff {{{#!html
(CO 47)
}}}}}} || [[시오지리역|{{{#000000,#e5e5e5 {{{#!html
시오지리 방면
}}}}}}]][[아나야마역|아나야마]][br]3.5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新府駅, 너비=100%, 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新府[br](しんぷ) || || 영어 ||<-2> Shimpu || ||<-3> '''주소''' || ||<-3> [[야마나시현]] [[니라사키시]] 나카타마치 나카조 4103-1[br]山梨県韮崎市中田町中條4103-1 || ||<-3> '''역 운영기관''' || || [[츄오 본선|{{{#ffffff 츄오 본선}}}]] ||<-2>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180px]]]] || ||<-3> '''개업일''' || ||<-3> 1972년 9월 10일 || ||<-3> '''노선거리표''' || || [[도쿄역|{{{#000000,#e5e5e5 {{{#!html
도쿄 방면
}}}}}}]][[니라사키역|니라사키]][br]← 4.2 km || '''[[츄오 본선]]'''[br]신 푸 || [[나고야역|{{{#000000,#e5e5e5 {{{#!html
나고야 방면
}}}}}}]][[아나야마역|아나야마]][br]3.5 km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hinpuSt1.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야마나시현]] [[니라사키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츄오 본선]]의 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때 시치리이와 평지에 대규모 지하수로를 파고 육군이 군수공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 신호장이었던 이 역은 계획에 따라 츄오선의 수송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이후에는 여객 취급을 진행하였다. 역 주변은 주택지 및 농경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푸 성터가 근처에 있다. == 역 구조 == 10% 경사 위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보유한 지상역. 승강장은 쌓아 올려지지 않았다. 예전에 신호장이 있었을 무렵에는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의 [[니야마역(홋카이도)|니야마역]]에 남아 있는 듯한 하행선 전용 가속선이 있었다. 승강장은 성토 위에 설치되어 있어서 그 곳에서 계단을 이용해 바깥으로 나갈 수 있다. 두 승강장은 직접 접속되지 못하고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할 때는 계단을 이용해 바깥으로 나가는 선로 아래로 들어가는 길을 경유해 계단을 또 올라가야 한다. [[니라사키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으로 이와 같은 구조인 관계로 역사는 없다. 대합실은 없고 승강장 위에 짧은 헛간과 벤치만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의 계단을 오른 곳에는 간이 Suica 개찰기와 승차역 증명서 발행기가 각자 1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