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신표성}}}'''[br]'''愼杓晟'''}}}}}}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표성(논산 독립운동가).png|width=100%]]}}} || ||<-2> 1926년 8월 5일, [[서울종로경찰서|경성부 종로경찰서]]에서 촬영된 사진. || || '''호''' ||운곡(雲谷) || || '''본관''' ||[[거창 신씨]][* 참의공파 30세 '''성(晟)''' 성(珹) 항렬.] || ||<|2> '''출생''' ||[[1897년]] [[3월 8일]] || ||[[충청남도]] [[논산시|연산군]] 모촌면 남산리[br](현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남산2리 당골마을)[* [[http://nonsan.grandculture.net/nonsan/toc/GC02002560|#]]] || ||<|2> '''사망''' ||[[1947년]] [[10월 16일]] ||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부]] [[대흥동(대전)|대흥동]][* [[https://daejeon-story.tistory.com/m/9868?category=633940|#]]] [[충남대학교병원|충청남도 도립의료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217호 || || '''상훈''' ||건국포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9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7년 3월 8일 충청남도 연산군 모촌면 남산리(현 논산시 양촌면 남산2리 당골마을)의 양반가[* [[http://db.history.go.kr/id/ia_2839_2200|1928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출생지가 논산군 노성면, 신분이 '상민(常民)'으로 기재되어 있다.]에서 아버지 신영흡(愼寧洽, 1859. 1. 10 ~ 1930. 8. 20)[* 초명 신영태(愼寧泰). 1908년 11월 16일 공립 은진보통학교 전과 부훈도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2_11A_16A_00030_2015_004_XML|임명되었다가]], 1910년 3월 18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4_03A_18A_00040_2015_006_XML|사직하였다]].]과 어머니 [[파평 윤씨]](1868. 2. 20 ~ 1936. 8. 23) 사이의 3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파평 윤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 [[고령 신씨]](? ~ ?. 10. 26) 신영호(申永浩)의 딸은 슬하에 ] 위로 맏형 신채성(愼彩晟, 1879. 1. 6 ~ 1960. 8. 3)[* 초명 신의성(愼義晟). 1909년 기호흥학회에서 세운 [[중앙고등학교|기호학교]] 특별과에 재학 중이었다.[[http://db.history.go.kr/id/ma_005_0090_0250|#]] 당시 기호흥학회에 금 1환을 의연하기도 했다.[[http://db.history.go.kr/id/ma_005_0120_0280|#]] [[중앙고등학교|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 후 1916년 5월 충청남도 사립학교 교원시험에 [[http://db.history.go.kr/id/gb_1916_06_17_a11610_0340|합격하였으며]], 1920년 10월 소학교 및 보통학교 교원 제3종 시험에 [[http://db.history.go.kr/id/gb_1920_12_14_a25030_0190|합격하였다]]. 그 뒤 양촌공립보통학교에 발령받아 1921년부터 1922년까지 부훈도를, 1923년부터 1926년까지는 훈도를 [[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6&totalCount=6&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6%84%BC%E5%BD%A9%E6%99%9F&brokerPagingInfo=&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6%84%BC%E5%BD%A9%E6%99%9F&searchKeywordConjunction=AND|역임하는 등]] 10여년간 교원 생활을 하였다. 교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충청남도 대전시 인동(현 [[대전광역시]] [[동구(대전)|동구]] [[인동(대전)|인동]])으로 이주하여 40년간 의원을 경영하였고 슬하에 4남을 두었다. 이후 충남의약협회장 및 한약종상 재교육 강사 촉탁 등을 역임하였다.[[http://db.history.go.kr/id/im_107_20511|#]]]과 둘째 형 신기성(愼杞晟, 1886. 4. 17 ~ 1967. 3. 29)[*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 근무하면서, 1911년부터 1913년까지 동 직장에서 측량과 기수로, 1914년 측지과 서기로, 1915년에는 측지과 기수, 1916년에는 측지과 기수보로 근무하였다.[[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6&totalCount=6&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6%84%BC%E6%9D%9E%E6%99%9F&brokerPagingInfo=&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6%84%BC%E6%9D%9E%E6%99%9F&searchKeywordConjunction=AND|#]]], 아래로 첫째 여동생 신성(愼晟, 1900. 12. 29 ~ ?)과 둘째 여동생 신덕희(愼德凞, 1909. 1. 27 ~ ?) 등이 있었으며, 출생 후 양촌면 모촌리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고, 그곳에서 농업에 종사하며 살았다.[[http://db.history.go.kr/id/had_207_0020_1680|#]] 그는 일찍이 상경하여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경성고등보통학교 부설 교원양성소]] 제1부[* 3년 과정]에 입학, 1914년 졸업하였다. 같은 해 4월 1일, 공립보통학교 훈도에 임명되어[[http://db.history.go.kr/id/gb_1914_04_06_a05020_0290|#]] 전라북도 진산공립보통학교에 발령받은 것을 시작으로, 1917년부터 1918년까지 군산공립보통학교 훈도, 1919년 충청남도 연산공립보통학교 훈도, 1921년부터 1922년까지 강경공립보통학교 훈도를 역임하는 등 10여년간 교원생활을 했다.[[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6&totalCount=6&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6%84%BC%E6%9D%93%E6%99%9F&brokerPagingInfo=&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6%84%BC%E6%9D%93%E6%99%9F&searchKeywordConjunction=AND|#]] 그러다가 사회주의 사상에 눈을 떠 교직에서 은퇴하고 이후 [[서울청년회]] 및 경성노동회(京城勞動會) 등에 가입하여 대중운동과 사회운동을 통한 항일투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25년 1월 20일 군산청년회·군산노동연맹회·민중운동사가 연합 주최한 [[레닌]] 1주기 추도강연회[* [[블라디미르 레닌]]은 1924년 1월 21일 사망하였다.]에서 「朝鮮(조선) 農村(농촌)에서 본 레닌」이라는 제목으로 [[http://db.history.go.kr/id/npda_1925_01_21_v0003_0750|강연하였다]]. 같은 해 4월 전조선노농대회(全朝鮮勞農大會) 준비위원 및 자격심사위원이 되었고, 또 조선사회운동자동맹(朝鮮社會運動者同盟) 상무위원에 취임하였으며, 전진회(前進會) 및 국제청년의 날 기념협의회 준비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이 무렵 [[모스크바]] 공산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중국]] [[상하이]]로 갔다가 [[조선공산당]]에 가입하였다. 1926년 2월 귀국하여, 같은 해 3월 조선공산당 [[대전광역시|대전]] 야체이카[* 세포조직] 책임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같은 해 7월 25일 제2차 [[조선공산당]] 사건에 연루, 체포되어 [[종로경찰서]]에 [[http://db.history.go.kr/id/ia_2838_2200|유치되었다가]] 같은 달 10일부터 [[서대문형무소]]에 [[http://db.history.go.kr/id/had_207_0020_0740|구금되었으며]], 1928년 2월 1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150일 통산)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243&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5836&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 [[파일:신표성(논산 독립운동가)2.png|width=100%]] || || 1928년 2월 18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1928년 9월 16일 출옥하였는데, 같은 해 9월 18일 조선공산당 동지들이 당일 출옥한 신표성을 비롯한 20여 명의 출감자들을 위한 환영회를 식도원(食道園)에서 개최하려다 금지당하는 일도 있었다.[[http://db.history.go.kr/id/su_008_1928_09_18_0680|#]] 1930년 2월 3일, 동아일보사 논산지국에서 논산군 양촌면 인천리에 양촌분국을 설치하자 신표성은 고문에 임명되었다.[[http://db.history.go.kr/id/npda_1930_02_03_v0003_0730|#]] 1932년 5월경 논산군 양촌면 인천리에서 농민 70여명이 머슴계를 조직하고자 양촌주재소에 집회신청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흥분한 군중들이 적기를 흔들며 주재소를 습격하는 등 격렬히 항쟁하였던, 이른바 적기 시위사건이 있었다. 이때 이들을 선동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그해 8월 30일 대전지방법원 강경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혐의없음]]으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279&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5924&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곧 석방되었다. 그는 1933년 9월 20일경에도 양촌면에서 소작계를 조직해 농민을 선동하고 의식화했다는 혐의로 강경경찰서에 또 다시 체포되기도 하였다.[[http://db.history.go.kr/id/npda_1933_10_03_x0003_1660|#]] 이후 조용히 지내다가 1944년 [[여운형]]의 [[건국동맹]]에 참여하여 충청남·북도지부 책임자로 선정되어 [[창씨개명]] 반대 투쟁을 전개하는 등 비밀리에 독립운동을 계속하던 중 [[8.15 광복]]을 맞았다. 해방 후 1946년 [[여운형]]·[[백남운]] 등과 함께 [[사회노동당]] 창당에 관여하여 그해 11월 12일 개최된 임시중앙위원회에서 상임중앙위원 선임을 위한 전형위원에 선출되었다.[[http://db.history.go.kr/id/dh_003_1946_11_12_0110|#]] 11월 15일에는 상임위원 및 농민부 책임위원에 선임되었으며[[http://db.history.go.kr/id/dh_003_1946_11_15_0100|#]], 같은 날 개최된 제1회 상무위원회에서 공산당대회파 상임위원에 선임되었다.[[http://db.history.go.kr/id/dh_003_1946_11_15_0110|#]] 그러나 정세상 사회노동당이 불리해지자 탈당하고 [[남조선로동당]]에 입당하였다. 1947년 10월 [[미군정]] 포고령 위반으로 검거되어 취조 도중 병세가 악화되어 10월 16일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부]] [[대흥동(대전)|대흥동]](현 [[대전광역시]] [[중구(대전)|중구]] [[대흥동(대전)|대흥동]]) [[충남대학교병원|충청남도 도립의료원]]에서 별세하였다.[[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928&docId=2594653&categoryId=54110|#]] 200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당초 논산시 [[벌곡면]] 어곡리에 안장되어 있다가 2010년 4월 23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 여담 == * 장남 [[https://www.kgnews.co.kr/mobile/article.html?no=207772|신극범]](愼克範, 1932. 11. 17 ~ )[* 일명 신재이(愼在爾).]은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양대학교/학부|한양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청와대]] [[수석비서관|교육문화수석비서관]],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광주대학교]] 총장, [[대전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신표성, version=19, paragraph=2)]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동아일보 관련 인물]][[분류:거창 신씨]][[분류:논산시 출신 인물]][[분류:1897년 출생]][[분류:1947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사범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