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덕구의 법정동]] [include(틀:대덕구의 법정동)] [목차] {{{+1 新灘津 / Sintanjin}}} == 개요 == [[대전광역시]] [[대덕구]] 북쪽 지역.[* 대덕구는 북부의 신탄진, 중부의 [[회덕동(대덕구)|회덕]] 일대, 남부의 [[동구(대전)|동구]] 인접 지역으로 나뉜다.] 대전 내에서도 [[갑천]]을 경계로 [[유성구]]와 인접하며 서쪽으로는 [[구즉동]](봉산동, 송강동, 구룡동 등), 산업단지 너머 서남쪽으로는 [[대덕테크노밸리]](관평동, 용산동, 탑립동)으로 연결된다. 또한 북쪽에 [[금강]]을 끼고 [[청주시]][* 현도면, 2014년 6월 30일까지는 [[청원군]]]와 접한다. 또한 북쪽에서 대전으로 들어오는 주 관문이기도 하다.[* 주 간선 교통망인 [[경부선]], [[경부고속선]], [[경부고속도로]] 모두 신탄진을 통해 대전으로 들어온다. 이는 [[17번 국도]]도 마찬가지.] [[서울특별시|서울]]의 [[영등포]]와 비슷하게 '신탄진'이라는 지명도 '지역으로서의 신탄진', '행정동 신탄진동', '법정동 신탄진동'으로 지칭 범위가 다양하다. 뒤로 갈수록 지칭 범위가 좁아진다. == 유래 == '신탄진(新灘津)'이라는 이름은 '새일(=새여울)나루'의 한자 표기로,[* 새일이란 이름은 새일초등학교 등으로 아직도 쓰이고 있다.] 홍수로 [[갑천]]이 범람하면서 문평동(목상동 최서단) 일대로 유로가 바뀌어 새 나루가 생겼다고 붙은 이름이다.[[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128720|#]] 해당 지명이 언제 붙었는지는 알기 어려우나 '새'가 붙은 걸로 봐서 몇백 년씩 오래된 것은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인근 유성구 덕진동(德津洞) 일대는 반대로 [[삼국시대]] [[백제]]부터 소비포현(所比浦縣)이라 불렸는데 매우 오래 전부터 나루터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또다시 홍수를 맞아 오늘날 신탄진의 중심지는 1905년 건설된 [[경부선]] [[신탄진역]] 일대로 바뀌고 문평동엔 공단이 주로 자리하고 있다. == 특징 == 신탄진권은 [[대전광역시]]의 '''3대 [[부도심]]'''(유성, 진잠, 신탄진) 중 하나로, 대전광역시 북부지역의 끄트머리 중심지이다. 세 곳 모두 역사적으로 대전 중심지와 따로 발전해왔던 동네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신탄진 토박이 사람들에게 어디 사냐고 물어보면 대전 산다고 하지 않고 신탄진 산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진잠의 경우 진잠이라는 개별 현이 있었던 적도 있었다.] 대전광역시에 속해있으나 사실 교묘하게 대전광역시의 시가지와 [[청주시]]의 접경 중간지역에 있다. 일단 날씨부터도 대전 날씨보다는 청주의 날씨와 더 유사하다. 비나 눈 예보도 대전과 따로 놀기도 하고 겨울에는 안개가 엄청나게 짙게 끼는데, 대전 시내에서는 이런 현상을 보기 어렵다. 또한, [[신탄진역]]에서 대전광역시청과 '''청주'''에 있는 [[충청북도청]]에 가는 시간이 차이가 별로 안 난다. 이 때문인지 [[유성구]] [[구즉동]]과 함께 [[청주방송|CJB]]가 선명하게 잡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차후 [[충청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대전광역시청]]이 위치한 둔산지역으로 가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긴 할 것이다. 대전광역시에 속해 있고 [[대전광역시 시내버스]]가 [[대전 버스 목록|운행하지만]], [[청주시 시내버스]]와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도 이곳을 운행하고 있다. 이곳에서 타 시/도행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하려면 비래동지나 용전동에 있는 [[대전복합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 더 가까운 둔산고속/시외정류장이나 도룡고속/시외정류소가 있으나 수도권 외 타 지역 방면의 버스가 일정하지 못해 불편하다. 서쪽 동네 유성과는 [[대덕군]] 시절인 1973년 동시에 [[읍(행정구역)|읍]]으로 승격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두 권역은 오늘날에도 각각 [[유성구]]와 [[대덕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온천1동/온천2동이 예나 지금이나 꽉 잡고 있는 유성구와는 달리 대덕구는 [[대덕구청]]이 저 남쪽에 있고 남부 지역이 동구와 연담화되어 있는 등 북부와 남부가 비교적 대등하게 나뉘어진 편이다. == 세분류 == === 신탄진권(舊 신탄진읍) === [[대덕군]] 북면 → 신탄진읍(1973)으로 이어지는 권역. 이 일대는 1989년 [[대전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신탄진동(행정동), [[석봉동]], [[덕암동(대전)|덕암동]], 목상동 4개 행정동으로 분리되었다. 역사적으로나 인식상으로나 어느 정도 뚜렷하게 구분되는 권역이기는 하나 법적인 행정구역상으로 이 네 지역을 묶는 이름은 없다. 대전 토박이들은 대개 [[대전조차장역]], [[회덕동(대덕구)|회덕동]] 이북을 신탄진이라 칭한다. 신탄진동(행정동), 석봉동, 목상동, 덕암동 4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있다. 'ㅜ'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어 서쪽 목상동, 중앙(신탄진 역 서쪽) 석봉동, 동쪽 신탄진동, 남쪽 덕암동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덕구]] 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동구(대전)|동구]]에 속했던 적이 없는 곳이기도 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대덕구, version=512, paragraph=9.1)] ==== 신탄진동(행정동) ==== ||<-2> '''[[대덕구|{{{#000000,#dddddd 대덕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신탄진동}}}'''[br]新灘津洞 | Sintanji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신탄진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대덕구 || || '''행정표준코드''' || 3680031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용호동, 이현동, 갈전동,[br] 부수동, 황호동, 삼정동,[br] 미호동, 신탄진동}}} || || '''하위 행정구역''' || 27통 120반 || || '''면적''' || 22.99㎢ || || '''인구''' || 14,566명[*A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33.5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대덕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영순]] ,,(초선),, || ||<-2> '''대전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송활섭]] ,,(초선),, || ||<-2> '''대덕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홍태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효서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승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신탄진로 836[* 신탄진동 117-39] || || [[https://www.daedeok.go.kr/dpt/goContents.do?link=/dpt/dpt05/DPT05010402_09&menuId=DPT0501040209|신탄진동 행정복지센터]] || 관할 법정동은 갈전동·미호동·부수동·삼정동·신탄진동·[[용호동(대전)|용호동]]·[[이현동(대전)|이현동]]·황호동이다. 본래 장동까지도 신탄진읍에 속하여, 1989년 편입 당시 신탄진동이 됐겠지만 용호동의 군사시설로 길이 막혀 왕래가 차단되어 현재는 [[회덕동(대전)|회덕동]]에 속한다. [[관평동]]/[[구즉동]]의 개발로 대규모(?)상권이 생겨나고 석봉동 지역 재개발로 인구가 유입되면서 예전만큼 낙후되지는 않게 되었지만... 신탄진동/석봉동에서 늘 같은 동네라고 생각하는 덕암동에 계속 밀리는 경향이 있다. 동쪽에 대청[[댐]]이 있어서 대청호를 끼고 있다. 前 프로게이머이자 방송인 [[홍진호]]와 래퍼 [[머쉬베놈]]이 여기 출신이다. [clearfix] ===== 신탄진동(법정동) ===== ||<-2> '''[[대덕구|{{{#000000,#dddddd 대덕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신탄진동}}}'''[br]新灘津洞 | Sintanji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sintanjin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대덕구 || || '''행정표준코드''' || 3023012600 || || '''관할 행정동''' || 신탄진동 || || '''면적''' || 2.43㎢ || 법정동 신탄진동은 원래 석봉동의 일부였다가, 1997년 [[경부선]] 철도를 기준으로 분리 설치됐다. [[신탄진역]]을 중심으로 하는 그야말로 신탄진의 중심. 갈전동·미호동·부수동·삼정동·[[용호동(대전)|용호동]]·[[이현동(대전)|이현동]]·황호동 7개 동을 더 끼고 있기는 하나 이들 동은 [[대청호]] 인근으로 사람이 거의 살지 않기 때문에 행정동 신탄진동 주민의 대부분은 법정동으로도 신탄진동에 거주한다. 북쪽 남한제지 부지에 [[동일스위트]] 리버스카이 아파트가 지어져 21년 12월부터 입주를 시작했다. [clearfix] ==== [[석봉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석봉동)] ==== [[덕암동(대덕구)|덕암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덕암동(대덕구))] ==== 목상동 ==== ||<-2> '''[[대덕구|{{{#000000,#dddddd 대덕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목상동}}}'''[br]木上洞 | Moks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덕구 목상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대덕구 || || '''행정표준코드''' || 3680034 || || '''관할 법정동''' || 목상동, 문평동, 신일동 || || '''하위 행정구역''' || 13통 60반 || || '''면적''' || 5.79㎢ || || '''인구''' || 6,207명[*A] || || '''인구밀도''' || 1,072.02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대덕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영순]] ,,(초선),, || ||<-2> '''대전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송활섭]] ,,(초선),, || ||<-2> '''대덕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홍태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효서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승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덕대로1470번길 7[* 목상동 184-2] || || [[https://www.daedeok.go.kr/dpt/goContents.do?link=/dpt/dpt05/DPT05010402_12&menuId=DPT0501040212|목상동 행정복지센터]] || 관할 법정동은 목상동·문평동·신일동이다. 앞서 말했듯 '새여울'로서의 나루가 있었던 곳이나 [[을축년 대홍수]]로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과거엔 갑천 변의 수풀 우거진 촌이었는데 3공단이 들어서면서 도시화되었다. [[CJ대한통운]]의 [[CJ대한통운/터미널 목록#s-2.3|대전 HUB]]가 이곳에 있다. [clearfix]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대덕구, version=513, paragraph=9.1.2)] == 주요 시설 (행정동) == === 교육 === * 신탄진용정초등학교: 신탄진초등학교는 [[석봉동]]에 있다. * 대전석봉초등학교: 아이러니하게도 대전석봉초등학교는 [[신탄진동]]에 있다. * 대전새여울초등학교 * 신탄진중학교 * [[대전이문고등학교]] * 대전대청중학교 * [[신탄진고등학교]] * 대전해든학교(용호동) 행정동상으로 [[대청호]] 일대 동쪽 동을 포함하고 있기는 하나 해당 지역에는 학교가 없고 이 둘 학교는 모두 법정동으로도 신탄진동이다. === 주거 === ||
'''{{{#FFFFFF 건설사}}}''' || '''{{{#FFFFFF 아파트}}}''' || '''{{{#FFFFFF 세대수}}}''' || '''{{{#FFFFFF 입주 일자}}}''' || || 복진건설 || 거성아파트 || 38세대 || 1992년 6월 || || 복진건설 || 홍림아파트 || 16세대 || 1992년 9월 || || 한서종합건설 || 흥진아파트 || 96세대 || 1992년 9월 || || [[대우건설]] || 새여울 대우아파트 || 300세대 || 1994년 8월 || || [[라이프주택개발]] || 새여울 라이프아파트 || 308세대 || 1995년 11월 || || [[한신공영]] || 새여울 한신아파트 || 299세대 || 1996년 9월 || || 운암건설 || 골든리버 아파트 || 191세대 || 2004년 5월 || || [[동일스위트]] || 동일스위트 리버스카이 1단지 || 1757세대 || 2021년 11월 || || [[동일스위트]] || 동일스위트 리버스카이 2단지 || 655세대 || 2024년 2월 (입주예정) || 신탄진동 주거구역만 표기함. == 교통 == === 시외버스 === * --[[신탄진시외버스정류소]].-- 대전광역시 북부의 신탄진동에 시외버스의 불편함을 덜기 위한 방편으로 진행중인 사업으로 [[대덕구]] 상서동에 만들어질 시외버스 정류소이다. 해당 위치의 시내버스 정류소명은 상서삼거리. 현재 [[금남고속]], [[한양고속]]이 참여중. 여담으로 [[대덕구]]에만 시외버스정류장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인데 [[유성구]]에는 시외버스정류소가 각지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대덕구]]에 속한 신탄진 지역은 구청이 야심차게 사업 추진을 하고 있음에도 [[그런 거 없다|그런 것도 없는 형편]]이라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세종, 충북 등 대전 외부로 가려는 지역 주민들은 [[대전 버스 711]]을 타고 [[대전복합터미널]]로 향하거나 [[대전 버스 705]]를 타고 [[둔산시외버스정류장]]으로 가게 되어있다. === 시내버스 === 7권역에 해당되는 지역이 바로 이 지역이다.[* 단, [[대전 버스 74|74번]]과 [[대전 버스 706|706번]]은 제외.] ==== 급행 ==== * [[대전 버스 2|대전급행2번]] ==== 외곽 ==== * [[대전 버스 71|대전71번]] * [[대전 버스 72|대전72번]] * [[대전 버스 73|대전73번]] * [[대전 버스 75|대전75번]] ==== 간선 ==== * [[대전 버스 701|대전701번]] * [[대전 버스 703|대전703번]] * [[대전 버스 704|대전704번]] * [[대전 버스 705|대전705번]] * [[대전 버스 711|대전711번]] ==== 지선 ==== * [[대전 버스 712|대전712번]] ==== 세종 지선 ==== * [[세종 버스 300|세종300번]] ==== 청주 공영 ==== * [[청주 버스 32|청주32번]] * [[청주 버스 41|청주41번]] * [[청주 버스 42|청주42번]] * [[청주 버스 43|청주43번]] ==== 청주 좌석 ==== * [[청주 버스 407|청주407번]] === 철도 === *[[신탄진역]] [[신탄진역]]은 [[KTX]] 등급의 열차는 정차하지 않고 [[ITX-새마을]]호 일부와 [[무궁화호]]만 정차한다. 하지만 부산행과 목포/여수엑스포행으로 갈라지기 전에 열차가 정치하기 때문에 지방 접근성은 좋은 편이다. 역 앞에 급행/시내버스 정류소가 있는데 청주공항으로 가는 [[청주 버스 407]]번 버스가 정차한다. 카카오버스 등 버스앱으로 배차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대전 구도심인 은행동과 대전역에서 신탄진으로 가는 버스는 현재 10시 40분이 조금 지나면 막차가 떠났다. 몇 년 전에는 9시 반 정도였다. 대전이 자가용이용 비율이 높은 데는 이런 이유도 있다. 신탄진역앞은 지역의 시내버스 교통의 허브라 할 수 있는데, 대전시내버스와 청주공항, 청주시의 급행, 완행, 농어촌버스에 준하는 버스까지 다 오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10분 이내에서 하루 두 번 정도까지 무척 다양하다. 자운대에서 후반기 교육을 마친 병사들이 자대비치를 받게 되면 대부분 신탄진역에서 흩어지게 된다. [[신탄진역]]과 떨어져있는 덕암동과는 달리, 신탄진동 중심지의, 석봉동과 같이 [[충청권 광역철도]] 27km(계룡~신탄진)이 들어서게 되면서 대전시청~신탄진을 25분대로 연결할 수 있어 교통환경은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 그러나 [[충청권 광역철도]]는 [[티스푼 공사|아직 삽뜰 기약도 없다]]. === 도로 === * [[경부고속도로]] [[신탄진IC]] - 경부고속도로의 주말/휴일/명절기간 [[중앙버스전용차로]] 시종점이다. * [[대청로(대전)|대청로]] - [[신문로]]([[32번 지방도]]) - 청주 시내 쪽으로 가면 [[서산영덕고속도로]] [[문의청남대IC]]와 연계된다. * [[신탄진로]]([[17번 국도]]) * 신탄진로756번길: 지선이긴 하지만 사실 신탄진동로보다 더 길다. * 신탄진로756번안길 * 신탄진북로 * 신탄진동로 * 남경마을로 * 대청호수로 : 동쪽 대청호 인근 신탄진동의 '''유일한''' 도로. [[동구(대전)|동구]]까지 쭈욱 호수를 끼고 가다가 신상로, 옥천로와 교차한다.[* 호수 반대편 회남로는 [[571번 지방도]]이다.] * [[대덕대로]]1527번길: 석봉네거리 약간 서쪽에서 분기하여 [[갑천]] 변을 끼고 신탄진동 북쪽으로 내려오는 길. * [[대덕대로]]1627번길: 대덕대로의 마지막 지선. 이 동쪽 신탄진 네거리부터는 대덕대로가 아니라 [[대청로(대전)|대청로]]로 이름이 바뀐다. 신탄진역에서 청주로 가는 새로운 [[32번 지방도]]와 다리 대청대교가 완공됐다. 지금까지는 현도교를 건너 [[17번 국도]] [[청남로]]로 청주로 넘어가 청주공항으로 갔고, 대청댐 보조댐 위로 금강을 건너 청주 문의면으로 갔는데, 대청댐 쪽 [[대청로(대전)|대청로]]는 도로폭이 좁고 경사과 굽은 모양을 개량하거나 확장하기가 불가능한 왕복 2차선 천변도로였다. 그래서 문의면을 통과하면서 대청댐을 우회해 노산리 평지에 넓은 도로를 건설해 신탄진까지 들어가는 구간 건설이 쉬엄쉬엄 진행되다가 마무리를 보게 된 것. 도로명은 [[신문로]]로 명명되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지명]] * [[대덕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덕구, version=510, paragraph=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