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include(틀:신칸센)] [include(틀:신칸센 차량 목록)] ||<-3> [[JR 도카이|[[파일:JR 도카이 로고.svg|height=15]]]][br][[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navy,#0072BC '''신칸센 {{{+1 300계 전동차}}}'''[br]{{{-1 新幹線}}} 300系 電車[br]{{{-1 Shinkansen}}} 300 Series}}} ||}}} || ||<-3> [[파일:external/userdisk.webry.biglobe.ne.jp/132868037630813217686_20110118shinkansen10.jpg|width=100%]]|| ||<-3> {{{#navy,#0072BC 2000년 [[도카이도 신칸센|{{{#navy,#0072BC 도카이도 신칸센}}}]] [[노조미(열차)|{{{#navy,#0072BC 노조미}}}]] 운행 시절}}} || ||<-3> [[파일:external/www.agui.net/jrcS300-14h-tosaka.jpg|width=100%]]|| ||<-3> {{{#2F4963 초도생산분 J1편성}}} || ||<-3> '''차량 정보''' || || {{{#005daa '''열차 형식'''}}} ||<-2><:> 신칸센 [[전동차]]/[[고속철도|고속철도차량]] || || {{{#005daa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 || {{{#005DAA '''생산량'''}}} ||<-2><:> 1,120량(70편성) || || {{{#005daa '''편성'''}}} ||<-2><:> 16량 1편성 || || {{{#005daa '''운행 노선'''}}} ||<-2><:> [[파일:JRC-SKS.svg|width=16]] [[도카이도 신칸센|{{{#1d5ba9 도카이도 신칸센}}}]][br][[파일:JRW-SKS.svg|width=16]] [[산요 신칸센|{{{#100f84 산요 신칸센}}}]] || || {{{#005daa '''도입시기'''}}} ||<-2><:> 1990년~1998년 || || {{{#005daa '''제작사'''}}} ||<-2><:> [[가와사키 중공업]][br]긴키 차량[br]기샤제조[br][[히타치 제작소]] || || {{{#005daa '''퇴역시기'''}}} ||<-2><:> [[2012년]] [[3월 16일]] || ||<:><-6><#ddd,#212121>'''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3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005daa '''전장'''}}} ||<-2><:> 25,000㎜[* 선두차의 경우 26,050㎜] || || {{{#005daa '''전폭'''}}} ||<-2><:> 3,380㎜ || || {{{#005daa '''전고'''}}} ||<-2><:> 3,650㎜(0번대, 3000번대)[br]3,600㎜(9000번대) || || {{{#005daa '''궤간'''}}} ||<-2><:> 1,435㎜ || || {{{#005daa '''급전방식'''}}} ||<-2><:>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방식 || || {{{#005daa '''신호장비'''}}} ||<-2><:> ATC-1형, ATC-NS || || {{{#005daa '''제어방식'''}}} ||<-2><:> [[도시바]]제 [[VVVF]]-[[GTO(반도체)|GTO]][* 도시바제 GTO 중 특이하게도 1C4M 제어이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1~5차분과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1~3차분의 소자도 동일한 도시바제 VVVF-GTO 소자를 채택하였다.] || || {{{#005daa '''동력장치'''}}} ||<-2><:>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005daa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br]와전류제동 || ||<|2> {{{#005daa '''최고속도'''}}} ||<-1><:> 설계 || 300㎞/h[* 시제차량의 주행시험에서 '''325.7㎞/h'''를 기록한 바 있으나, 상당한 위력의 소음공해, 차량 수명 단축, 승차감이 다소 불안정해지는 등 수많은 문제로 인해 300㎞/h 이상은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270㎞/h로 증속하는 데에 그쳤다.] || ||<-1><:> 영업 ||<-1><:> 270㎞/h || || {{{#005daa '''기동[br]가속도'''}}} ||<-2> 1.6㎞/h/s || || {{{#005daa '''MT 비'''}}} ||<-2><:> 10M 6T ||}}}}}} || [목차] [youtube(HP6YqOwep0w)] [clearfix] == 개요 ==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운행하던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의 열차. 주된 개발 목적은 0계의 교체와 함께 도카이도 신칸센의 속도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1992년 [[노조미(열차)|노조미]] 등급과 함께 그 모습을 처음 드러냈다. 당시까지 기껏해야 220~230km/h 정도에 그쳤던 신칸센의 영업최고속도를 한번에 확 끌어올린 차량이다. 사실상 [[JR 도카이]] 표준형 신칸센의 기준을 마련한 차량으로, 1323석 이상의 좌석, 팬터그래프 커버, 알루미늄 차체 등은 300계 이후로 생산된 모든 도카이도 신칸센 차량에 적용되어 있다. '''JR 민영화 이후 최초로 신규 개발된 신칸센''' 차량이기도 하다. == 상세 == [[http://shinkansen50.jp/history/history_20.html|관련 일화 #1(일본어)]] 영업최고속도는 270km/h이나, 본 차량의 시작차(프로토타입)가 각종 테스트에서 300km/h을 훨씬 뛰어넘은 325.7km/h를 기록한 적이 있어 300km/h 주행 자체는 가능하나 상당한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300km/h 영업 운전은 불가능하다.[* 사실 300km/h급인 [[KTX-1]]도 평지에서 350km/h를 넘을 수 있으며 320km/h급인 [[TGV POS]]도 시운전 시 380km/h로 주행한 바가 있다. 당장 일본 내에서도 275km/h급인 JR 동일본의 E2계 또한 360km/h로 주행한 적이 있다.] 안정된 고속 주행을 실현하기 위해 차체의 공력 특성 향상과 경량화에 크게 성공한 모델. [[http://shinkansen50.jp/history/history_21.html|관련 일화 #2(일본어)]] 또한 이전 [[신칸센 0계 전동차]], [[신칸센 100계 전동차]]의 들쑥날쑥한 좌석 수를 모든 등급을 막론하고 1323석으로 통합한 차량이기도 하다. 양사 도합 총 70편성이 재적하고 있었는데 각각 JR 도카이는 편성기호 J로 총 61편성, JR 서일본은 편성기호 F로 총 9편성을 보유하였다. 이 중 JR 도카이의 J1편성은 프로토타입 모델, 즉 위에서 한번 언급한 시작차로써 외형적인 면이나 적용된 기반기술 등이 양산차와는 다른 면이 있다. 또한 초기편성과 중·후기 편성은 도어 형상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어 이 점이 초기형과 중후기형 차량을 구분하는 좋은 구분 포인트가 된다. 차량 조성은 3량 1유닛으로 구성되며, 하카타방면 선두차가 무동력 차량(T)이다. 기술적으로는 차체가 기존 마일드 스틸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 더블암 팬터그래프에 방음커버 장착[* 700계 양산이후 개조를 통해 700계와 같은 싱글암 팬터그래프와 방음커버로 개조되었다.], 100계와 동급 출력이면서 크기가 작아진 모터 등 종래 모델에 비해 커다란 발전을 이룬 모델이지만, 승차감 면에서는 기존 0계나 100계보다 다소 떨어진다는 게 승객들의 평. 기존 모델에 비해 최고속도를 올리다 보니 진동이 심해져서 생긴 부작용이다. 이는 카르만 소용돌이에 의해 발생한 난류가 차량의 측면에 부딪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진행방향에서 후미에 있는 차량일수록 진동이 심해진다. 이런 우수한 성능을 바탕으로 등장한 지 20년도 채 안 되어서 JR 도카이의 주력 고속철도 차량의 입지를 차지하면서 0계와 100계의 도카이 퇴출을 가속화 시켰다. 이렇게 일본 철도 역사에 새롭게 한 획을 쓴 차량이지만 이후 700계, N700계에 이르기까지 승차감과 거주성을 개선한 고속화 차량이 등장하면서 퇴역 직전에는 주로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코다마(열차)|코다마]]나 [[히카리(열차)|히카리]]에 주로 충당되면서 구형차량의 말로를 걸었다. [[JR 도카이]]는 이에 그치지 않고 무서운 속도로 N700계를 증비하면서 2011년 2월부로 0계와 100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쓸쓸하게 퇴역을 맞이했다.[* 0계는 44년, 100계는 27년을 현역으로 뛰었지만 300계는 불과 22년밖에 현역으로 뛰지 않았다. 참고로 0계 다음으로 오랜기간 활동한 200계의 경우는(약 32년) 300계보다 9년이나 먼저 만들어져 300계보다 1년 뒤에 퇴역했다.] 도카이와는 달리 니시니혼 소속 차량은 1년 정도 산요 신칸센 운영을 유지했는데 2012년 3월 시각표 개정에 따라 [[코다마(열차)]] 로 운용중인 [[신칸센 100계 전동차]]와 함께[[http://www.youtube.com/watch?v=NA2Wlyz4Q_o&feature=youtu.be|역사의 뒤안길]]로 퇴역하였다. 노후된 100계를 단량화 시켜 [[코다마(열차)]] 등급으로 운영하던 짠돌이 [[JR 서일본]]이 300계를 순순히 은퇴시킨 이유는 300계는 단편성 개조가 어려웠는데다 [[JR 도카이]]에서 N700계 증비에 따른 잉여 700계 일부편성을 양도 받았으며 500계를 8량화 개조로 [[코다마(열차)]] 전용 편성으로 격하, [[히카리(열차)|히카리 레일스타]]로 운용되던 700계 7000번대를 유용함으로서 코다마용 열차가 부족하지 않았고 [[큐슈 신칸센]] 직결에 따른 N700계 8000번대 증비로 인해 큰 필요도 없었다. 특히나 도카이도 신칸센과 같이 5분 수준의 '''지하철 배차'''(...)로 운용되는 노선이나 300km/h의 고속운전이 가능한 산요 신칸센에서는 앞에 300계가 물려 있을 경우 뒤에 따라오는 다른 열차가 시속 270km/h대에 줄줄이 물리게 된다.[* 도카이도 신칸센에 비해 한참 부족한 산요 신칸센의 수요 때문에 JR서일본은 300계 투입이 늦었고 도쿄로 직통하는 히카리 편성까지 0계로 운용하는 상황이 벌어져 다이아에 문제가 생길걸 우려한 JR 도카이측이 G편성 개조차 일부를 1996년에 양도한적이 있다.] 한국의 [[KTX]] [[대한민국의 고속열차 개발사|차량 선정]] 당시 일본이 제시했던 모델이기도 하다. 당시 한국 정부에서 제시한 조건이 최고시속 300km/h 이상이었기 때문에 최고시속을 300km/h로 올린 모델을 제시했는데, 정작 해당 기종은 [[베이퍼웨어]]였기 때문에 철도청에서는 [[TGV]]나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처럼 300km/h 시운전 이력을 요구했으나 이에 대한 응답이 없어서 300km/h 주행 가능 여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기술 이전과 라이센스 생산 허용 조건을 제안한 [[TGV]] 및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와 달리 경정비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술을 제외한 기술이전을 일체 거부했고 중정비를 일본에서 받아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던 점과 미진한 협상력을 자주 노출해 한국 정부를 '일본 컨소시엄은 정말 입찰할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의심하게 만든 점도 한몫했다. 결국 신칸센은 가장 먼저 떨어졌다. 한국 철도는 고속철도를 기획하기 훨씬 이전부터 오랫동안 일본 철도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기 때문에 이 때 일본 정부가 기술이전 등에 조금만 협조적이었다면 TGV가 아닌 신칸센이 선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랬다면 KTX의 첫 모델은 물론이고 이후 개발한 후속 모델들도 신칸센과 비교적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 보존 == [[파일:external/kura3.photozou.jp/163900070_624.jpg|width=600]] 322-9001 : J1편성 선두차 Mc차로 [[JR 도카이]] [[리니어 철도관]]에 보존되어있다. 유일한 보존차량. 원래는 옆에 양산형 선두차 하나가 더 있었는데 [[신칸센 700계 전동차]]의 선행양산차인 723-9001이 들어오면서 폐차되었다. == 대중매체 == 일본 애니메이션, 특히 [[용자 시리즈]]에 많이 등장해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매우 높다. 용자 시리즈가 한창 방영하던 90년대엔 바로 이 열차가 사실상 일본 신칸센의 얼굴마담격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사실상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일본 열차 차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지경. * [[전설의 용자 다간]] - [[다간|어스라이너]]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가인(용자특급 마이트가인)|가인]] * [[용자지령 다그온]] - [[라이너팀|다그 터보]] * [[용자왕 가오가이가]] - [[존더/목록#3.6.|EI-08]] * [[Real Train Mod]] - 기본 열차이다. == 기타 == * [[주식회사 관수금속|KATO]]에서 [[철도 모형]]화 되었다.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300kei|링크]]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신칸센]]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고속철도 차량]][[분류:1990년 출시]][[분류:1998년 단종]][[분류:도카이도 신칸센]][[분류:산요 신칸센]][[분류:헤이세이 시대]] [include(틀:포크됨2, title=신칸센 300계 전동차, d=2023-01-11 16:4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