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양시의 버스회사)] [include(틀:서대문구의 버스회사)] ||<-2> '''{{{+2 신촌교통 주식회사}}}'''[br]新村交通 株式會社[br]Sinchon Transportation Co.,Ltd. || || '''설립일''' ||[[1961년]] [[2월 10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이강호, 이강식 || || '''주요 주주''' ||'''동진네오'''[* 舊 (주)동진씨엔지. 2021년 7월 27일자로 (주)동진네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35.61%'''[br]이강식: 15.64%[br]이강호: 15.63%[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242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6억 5,440만 5,000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220억 2,301만 4,503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3억 8,375만 9,468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13억 485만 6,715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171억 1,791만 3,693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40억 6,698만 4,347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31.16%^^(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로 112 ([[덕은동]])[br]'''면허등록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로]] 42, 가동 101호 ([[남가좌동]], 좌원상가)[* 상법상 본점][br]'''[[일산영업소(신촌교통)|일산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로(고양)|고봉로]]678번길 47 ([[설문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서울7727일렉.jpg|width=100%]] || [[파일:740신촌.jpg|width=100%]] || || '''[[서울 버스 7727|{{{#ffffff 지선버스[br]7727번}}}]]''' || '''[[서울 버스 740|{{{#ffffff 간선버스[br]740번}}}]]''' || [[서울특별시|서울]] [[7권역(서울)|7권역]] 지역[*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과 [[경기도]] [[고양시]] 일원을 중심으로 운행하고 있는 업체다. 현재 [[간선버스(서울)|간선버스]] 노선 2개, [[지선버스(서울)|지선버스]] 노선 3개, 맞춤버스 2개 등 총 7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본사는 [[마포구]] [[상암동(서울)|상암동]] 경계 근처인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옛 [[국방대학교]] 근처에 있으며, [[일산동구]] 설문동에 영업소가 있고 같은 계열의 [[고양시 버스 목록/고양시 마을버스|마을버스]] 회사인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도 설문동 차고지를 쓰고 있다. == 연혁 == 1961년 2월 10일 설립된 시내버스 업체다. 당시에는 [[신촌]]뿐만 아니라 [[관악구]]에도 별도의 영업소를 차려서 영업했는데, 관악영업소는 1970년 6월 12일 [[관악교통|성진상운]]으로 독립했다. 1976년 본사 차고지를 모래내에서 덕은동으로 이전했다. 1992년에는 903번 심야좌석버스로 한참 건설 중이던 [[일산신도시]]에 진출했으며, 1994년에는 771번 좌석버스를 신설했다가, 얼마 안 돼서 [[고양 버스 921|921번]] 심야좌석버스로 운행했다.[* 당시 903번은 [[동해운수]]와, [[고양 버스 921|921번]]은 [[명성(버스회사)|명성운수]]와 [[공동 배차]]했다.] 이 회사 역시 [[동해운수]], [[선진운수]], [[신수교통|신성교통]],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 이외에도 후일 [[선진운수]]에 합병되는 선진여객과 더불어, 일산 - [[김포국제공항]] 간 310번 좌석버스를 운행하던 [[김포교통]]도 있었다.] 등 일산에 진출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좌석버스 노선을 굴렸는데, 현재의 [[고양 버스 108|1008번]] 직행좌석버스[* 1008번 직행좌석버스는 이후 일반좌석버스로 다시 바뀌었다가 2009년부터 108번으로 번호 변경, 지금은 폐선되었다.] [[공동 배차]]에도 참여한 바 있으며 [[선진운수]] 외 유일하게 남은 회사였다.[* [[동해운수]], 범양여객, 신성교통도 [[공동 배차]]에 참여했지만 범양여객은 [[선진운수]]에 인수되고 [[동해운수]]와 [[신수교통|신성교통]]은 [[공동 배차]]에서 빠지며 운행차량([[동해운수]] 서울 74사 2461, 2462 BH115H, [[신수교통|신성교통]] 서울 74사 4200, 4211, AERO E)과 면허 모두 [[선진운수]]에 넘겼다.] 1999년에는 903번의 [[공동 배차]]를 청산하면서 [[서울 버스 7727|903-1번]] 심야좌석버스로 분리한다. 특이하게도 다른 좌석버스 노선들과 달리 거의 일직선의 선형을 보여준 노선인 셈이다. 그러나 2001년 이후 명성운수의 운행 질서 방해를 비롯한 물량 공세 등과, 회사의 자금난 등을 겪으며 [[부산여객|회사는 내리막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부산여객으로 링크를 걸어놨는데, 이 회사 역시 후술하겠지만 [[준공영제]]가 회사를 살려놓은 케이스다.] 결국 [[고양 버스 921|921번]]의 [[공동 배차]]를 포기하면서[* 물론 과거 신촌교통이 그랬던 것처럼 921-1번 등으로 직선화 노선으로 분리했으면 광역버스를 1개 노선 정도 굴릴 수도 있었겠으나(심지어 직선화 노선이라면 서울역까지 연장해도 살아남을 수도 있었다. 합정, 홍대, 신촌, 충정로 등 2호선 주요 역을 경유하는 경의중앙선 바이패스 노선이 되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니...), 이 때 신촌교통이 부도 직전까지 갔던 걸 생각해보자.] 사실상 일산에는 [[서울 버스 7727|903-1번]] 심야좌석버스만 남기게 됐다. 그나마도 2002년에 [[서울 버스 7727|903-1번]]을 일반버스로 전환했지만 2003년 4월 14일에는 [[서울 버스 7727|903-1번]]이 시속 100km/h로 과속하다가 능곡지하차도 위에서 마을버스와 충돌한 후 지하도로 추락하는 대형 사고를 냈고, 설상가상으로 차고지를 마련하지 못해 기존 탄현동 종점에서 노숙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또한 자신들의 차량들을 [[김포교통]]에 팔아서 어떻게든 회사를 살려 보려는 등[* 2003년에 추락 사고를 낸 74사 8353호를 포함해서 74사 1323, 1324, 5891, 5892, 5893, 5895, 5897, 75사 1852, 70사 7299호 등을 [[김포교통]]에 매각했다. 특이하게도 1979년에 확보했던 5890호 단위 차량들 상당수를 팔아 버렸다. 이 때문에 [[서울 버스 750|142번 도시형버스]]에 [[유성운수]]가 [[공동 배차]]에 참여했던 이유이기도 했다. 신촌교통이 차량을 싸그리 팔아 버리면서 결과적으로 차가 부족해졌기 때문.][* 2004년 개편 초기에 651번에 BH115H, BS106(전문형) 좌석버스가 투입된 것은 신촌교통에서 넘어간 차들을 김포교통이 651번에 몰빵했기 때문이다. 물론 진짜 목적은 면허만 파는 것이었던지라 새 차가 나오자마자 사라졌다.] 크게 어려움을 겪었다.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개편으로 준공영제에 들어선 이후로는 차츰 경영 상황이 나아졌으며, 개편과 함께 [[일산동구]] 설문동에 영업소와 CNG 충전소를 차렸다. 그 전까지 [[서울 버스 7727|903-1번]]의 CNG 차량이 저 멀리 일산에서 [[은평공영차고지]]까지 회송해서 가스 충전을 했다는 점을 보면 장족의 발전이라 할 수 있겠다. [[경성여객]]과 함께 차파트너스 투자에 참여하고 있는 회사다. 2014년 8월부터 [[신수교통|신성교통]]이 자금난에 허덕이면서 [[한국brt]] 지분을 신촌교통에 팔았고, 11월 18일 이강식 신촌교통 전무이사가 [[한국brt]]의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이후 한국brt의 지분 80%를 차파트너스에 매각함과 동시에 차파트너스 투자에 참여하고 경영진으로 합류해서, 차파트너스의 서울지역 계열사들은 신촌교통(이강식 이사), 경성여객(김정환 이사)측에서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선일교통은 김정환 경성여객 대표이사가 경영하고 있으며, 나머지 서울특별시 면허 계열사들은 이강식 신촌교통 전무이사가 경영하고 있다.] 7권역에서 친절 업체로 상당히 언급되는 업체이기도 하다. 2010년 무렵에는 [[국토교통부]] 선정 우수 운송업체에 선정되기도 했다.[* 2021년까지도 친절 업체로 꼽히고 있으며 거의 매해 우수 운송업체 마크를 차량 전면에 부착할 정도로 친절하다. 회사 자체적으로도 노력하기 위해 시민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정도.] == 특징 == 특이하게도 [[고양시|고양]] [[일산신도시]] 내에 운행하는 몇 안 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임에도, 정작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는 없다. '''심지어 2004년 7월 1일 개편 당시에도 일산신도시 운행 노선을 가지고 있는 서울 버스 업체임에도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는 없었다.''' 이 회사의 노선들 중 [[서울 버스 7727|7727번]]만 [[일산동구]] 설문동 소재 영업소 출발이며, 나머지 노선은 [[덕양구]] 덕은동 소재 본사 출발로 사실상 서울에서만 운행한다. [[서울 버스 7727|7727번]] 역시 말이 [[지선버스(서울)|지선버스]]지 [[간선버스(서울)|간선버스]]나, 심지어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급의 노선 길이 혹은 일직선형의 선형을 자랑하며, 운행 거리도 [[지선버스(서울)|지선버스]] 치고는 사내에서 가장 길다. 덕은동 본사에 별도의 CNG 충전소가 없었던 탓에 초창기 덕은동 노선은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충전했지만, 지금은 바로 앞에 있는 [[상암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고 있다. 설문동 차고지 오픈 전의 [[서울 버스 7727|903-1번]]도 [[은평공영차고지|수색]]에서 충전했다(...) 반면 일산 영업소에는 자체 CNG 충전소가 있다. 충전소 이름은 "동진CNG충전소"다.[* 정작 해당 충전소에서 가스를 충전하는 신촌교통 소속 노선은 없다. 해당 영업소 소속 노선인 [[서울 버스 7727|7727번]]은 전 차량 전기버스로 운행하기 때문.] 바로 옆인 명성운수 성석영업소의 11번과 3400번 차량들이 신촌교통 일산 영업소로 들어와서 가스 충전을 하고 있다. 계열사로는 탄현, 중산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인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가 있다. 이 회사들 역시 [[일산동구]] 설문동을 본사로 두고 있으며, 신촌교통과 함께 차고지로 이용 중이다. 특이하게 [[군포교통]](74사 83##호) 차적의 면허 차량이 꽤 있는 편인데, 이는 1988년 [[군포교통]]에서 [[서울 버스 5624|99번 도시형버스]]를 종로2가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단축하면서 해당 잉여 차량들을 신촌교통에 팔아넘겼기 때문이다. 과거 비슷한 이름의 [[신촌운수]]라는 회사가 있었으나 전혀 다른 업체며, 해당 회사는 2000년 5월 [[중부운수]]에 합병되어 [[중부운수]] 문래동영업소가 됐다. [[공영 차고지]]에 별도로 입주하지 않았지만 개편 초기 [[서울 버스 750|750번]] 때문에 [[은평공영차고지]] 사무소가 존재했으나, 2007년 신촌교통 노선이[* 사실 충전 문제는 둘째치고, 750번 1개 노선 때문에 은평공영차고지에 인력을 두고, 임대료까지 내는 것이 썩 좋지는 않았을 것이다. 게다가 신촌교통은 코 앞 덕은동에 자체 차고지도 있었다.] [[은평공영차고지]]를 앞두고 덕은동 본사로 노선을 꺾어 버리면서(...) [[서울 버스 750|750A번]]으로 분리되고, 해당 사무소도 폐쇄됐다. 그리고 [[서울 버스 750|750A/B번]]은 [[공동 배차]]임에도 각자 회사마다 '''몰빵 시간이 따로 있는 등(...)''' 굉장히 엉성하게 운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는 부분 중 하나다. --[[공동 배차]]의 폐해-- [[상암공영차고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차고지가 있지만, 이 회사의 노선들은 [[상암공영차고지]] 방향으로 직진하는 노선이 없다. [[서울 버스 7727|7727번]] [[버스 기사]]들은 특히 [[일산신도시]]나 탄현동, 중산동 거주자들이 많다고 한다. 아무래도 노선 자체의 역사가 워낙 오래된 데다가,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에서 3년 동안 무사고로 운행하면 신촌교통으로 곧바로 채용 자격을 준다고 한다지만 3년동안 힘겨운 갑질을 견뎌내야 하며 채용 가능성이 없다.[* 서울 시내버스인데 자리가 나올 리가 거의 없다.] 물론 100% 그런 건 아니고 일산에 거주하면서 덕은동 본사로 출근하는 케이스도 있고, 반대의 케이스도 있다. 또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회사 자체적으로 시민 모니터링단을 꾸려서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촌교통 소속 몇몇 버스 출입문에는 아직도 모니터링 요원 모집 공고가 붙어 있으며, 상시 모집 중이라고 쓰여 있다. 이 회사가 몇 년째 7권역 내에서 가장 친절한 업체라는 명성을 얻고 있는 것은 모니터링 제도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명성운수와의 [[고양 버스 921|921번]] 공동배차 시절 당시의 손님 쟁탈전이나 [[서울 버스 7727|옛 903-1번]]의 사고도 그렇고, 신촌교통 역시 7권역 업체인 만큼 운행 속도는 매우 빠른 편이다. 여전히 고양시(일산, 탄현, 덕양 등.) 노인들 중에는 신촌교통 하면 잘 밟는 회사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 어떻게 보면 수도권 버전 [[경남고속뉴부산관광|경남고속]]인 셈이다. 원래 경남고속도 [[부산교통]]이나 [[경원여객(경남)|경원고속]] 못지 않는 경상남도 버스의 지배자였기 때문이다. 물론 오늘날에는 경상남도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정속운행을 추구하는 경남 최고의 시외버스 업체가 되었다.] 이 회사는 '''아예 격벽 뒤에 기사의 바스트 샷과 성함을 달고 다닌다.''' 이것은 신촌교통의 지분이 약간 첨가된 주간선업체인 [[한국brt]]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승객을 친절 또는 안전하게 모시겠습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버스운전자격증명이 있다. +바스트 샷. [[삼성여객(서울)|삼성여객]]도 비슷하게 달고 다니지만 버스운전자격증이 아닌 회사에서 제작한 운전사원증으로 사용하고 있다. [[안동시 시내버스]] 3사 역시 기사 얼굴이 들어간 커다란 바스트 샷과 자체 제작한 명패를 격벽이나 출입문에 부착했다. 다만 안동의 경우에는 안동 특유의 양반 문화를 첨가하여 한글과 한자를 같이 병기해서 바스트 샷을 만들었다. [[경안여객]]이라는 한글 글자와 더불어서 [[경안여객|慶安旅客自動車 株式會社]] 이라고 버스기사의 이름과 버스회사의 사명을 표기할 때 한자와 한글을 같이 혼용해서 표기하는 식으로 버스기사의 바스트 샷을 만들었다. [[아산시 시내버스]]를 담당하는 [[온양교통]]과 [[아산여객]]도 거대한 버스기사 얼굴 사진과 기사의 버스운전자격증을 가지고 바스트 샷을 만들어서 격벽이나 출입문에 게시했으나 아산 회사들의 한가지 특이한 점으로 바스트 샷을 사용하는 다른 회사들이 커다란 버스기사 사진에 말풍선을 그려 넣어서 표기하는 '친절히 모시겠습니다' 가 아닌 천안이나 아산 등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천안시 시내버스/문제점#s-2|'타시려는 버스가 오면 승차표시로 손을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라고 버스기사의 말풍선을 그려 넣어서 바스트 샷을 만든 것이 특이한 점. 그 외에도 [[임순여객]], [[대한고속]], [[동해상사고속]] 또한, 바스트 샷을 사용하고 있어 신촌교통을 포함한 언급한 업체들의 소속 노선을 탑승할 경우, 탑승한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기사의 신원을 손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억지웃음을 지으며 사진을 찍었던 기사들의 사진에서 소소한 재미가 느껴진다-- 알다시피 덕은동이 들어가 있는 대덕동의 특성상, 이 회사의 덕은동 본사 차고지 전화번호도 [[고양시]] 소재이나 [[국번/서울특별시|서울통화권인 02국]]으로 지역번호가 되어 있다. 다만 일산영업소는 경기도 통화권에 있으므로 [[국번/경기도|지역번호가 031로]] 되어 있다. 예전에는 [[자일대우버스]]도 있었으나 모두 대차되고 현재는 100% 현대차량으로만 운용한다. [[자동변속기]]는 [[선진운수]]와 마찬가지로 7권역에서 몇 안되게 [[ZF 에코맷 변속기|에코맷]] 시절부터 [[ZF]]를 고집하고 있고 [[자동차용 에어컨]]은 고상은 두원공조, 저상은 동환산업으로 출고하며 2017년식 이후 의자는 고상은 로우백 시트, 저상 기존형은 하이백 시트였으나 개선형 출시 이후로는 로우백 시트도 조금씩 혼용하다 2020년부터는 아예 저상버스도 로우백 시트로 출고한다. [[신인운수]], [[김해BUS]]와 더불어서 전국 최후의 동글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2019년 10월 초까지 굴렸던 업체다.[* 신인운수, 신촌교통은 저상형, 김해BUS는 일반형. 디젤은 [[통영교통]]에서 2019년 6월 말까지 굴렸다.] NSAC F/L 개선형 차량들은 경기도 시내버스에서 운행중인 개선형 차량들처럼[* 그렇다고 아예 없는건 아니다. 마을버스 노선들에 검정색 베젤 옵션이 적용된 차량이 소수 있긴 하다.] 앞부분에 검정색 베젤이 없다. 그 대신 회사의 로고를 현대 로고 위에 부착한다. 서울에서 유일하게 베젤 옵션을 적용하지 않는 업체다. 또, 보통 람보질을 하는 업체라면 뒷부분의 엔진룸에 뚫을텐데 이 회사는 특이하게도 고상버스는 람보질을 하지 않으나, [[저상버스]]의 경우에는 엔진룸이 아닌 가스통에 람보질을 하는 경향이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닭장질이다. 구멍을 뚫는게 아닌 방열판을 끼워놓은 형태이기 때문이다.] 특히 2022년 기준 [[아진교통]], [[서울교통네트웍]],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와 함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 람보질을 하는 몇 없는 회사이다. 그동안 [[서울 버스 7727|7727번]]에는 [[저상버스]]가 한 대도 운행하지 않았지만 2019년 10월에 최초로 저상버스가 투입됐다. 이후 2023년 12월에 NSAC 개선형 저상버스 모두 다른 노선으로 이동하면서 7727번은 전 차량 일렉시티 전기버스로 운행한다. 2022년 12월에 [[전기버스]]인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15대를 처음으로 출고했고 2023년에도 전기버스 7대를 배정받았는데, 일렉시티로 출고해 모두 7727번에 투입됐다. 7726번은 저상버스 예외 노선으로 지정되었지만 7726번의 대차분들도 타 노선으로 옮기고 타 노선에서 쓰던 NSAC을 받아오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모든 노선의 운행 차량을 대형 차량으로 바꾸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형차 2대로 운행하는 [[서울 버스 8777|8777번]] 관련한 여러 카더라가 나오기도 했다. 이후 공개된 공문에 의하면 8777번은 대형버스 투입이 불가능해 노선이 대폭 변경되지 않는 한 사실상 2023년 10월 22일이 마지막 운행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었고, 실제로 그렇게 됐다. 결국 신촌교통은 8777번 운행에서 손을 뗐으며 2023년 10월 28일부로 [[보광교통]]과 [[원버스]]에 노선을 넘기게 됐다. 잉여예비 11년식 그린시티 1대는 유상감차에 동참하지 않고 면허유지를 위해 [[신일산운수]] 출신 17년식 그린시티로 대차했다. 승차문 위와 운전석 창문 위에 차량번호를 표기한다. [[전기버스]]를 운용하는 서울시내버스 업체 중 [[중국산]] 버스(반조립 포함)를 거들떠보지도 않는 몇 안되는 업체 중 하나다. == 운행 노선 == >__밑줄__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 덕은동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740|{{{#3d5bab 740}}}]]''' ||<|2> 덕은동 || 대덕동행정복지센터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신촌로터리 - [[공덕역]] - [[전쟁기념관]] - 용산구청 - {{{#aaa 잠수교}}} - [[교대역(서울)|교대역]] - [[강남역]] - [[선릉역]]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7~11 || || '''[[서울 버스 750|{{{#3d5bab 750A}}}]]''' || 대덕동행정복지센터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세대학교]] - [[서대문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신용산역]] - 노들섬 - [[상도역]] - [[숭실대입구역]] - 관악구청 || [[서울대학교]] || 5~14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7711|{{{#5bb025 7711}}}]]''' ||<|2> 덕은동 || 대덕동행정복지센터 - 상암초등학교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성산2동주민센터 - 경성중고 || [[홍대입구역]] || 8~10 || || '''[[서울 버스 7726|{{{#5bb025 7726}}}]]''' || 하늘초교 - 현천동 - __항공대학교__ - 덕은지구 - 대덕동행정복지센터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DMC래미안 → 모래내시장.[[가좌역]] →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 → 남가좌현대아파트 → 모래내삼거리 → DMC래미안 || [[가좌역]] || 18~20 || || '''[[서울 버스 8762|{{{#5bb025 8762}}}]]'''[*공동배차 [[유성운수]]와 공동배차.]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상암초등학교 → 누리꿈스퀘어 →/← SBS.YTN ← MBC ← ) - 상암고등학교 - 월드컵파크7단지 || [[가양역]] || 평일 10~15 || === 일산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7727|{{{#5bb025 7727}}}]]''' || 설문동 || 중산1단지 - 탄현마을 - 일산시장 - 일산동구청 - [[백석역]] - 행신동 - 항공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연세로]]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신촌로터리 || 9~13 || == 과거 운행 노선 == * 일반입석 141 : 덕은동 - 고속터미널 - 은마아파트[* 개편 전까지 운행했던 2기 141번(구 7725, 덕은동 - 모래내 - 신촌로터리)과는 무관한 노선.] / 1997년 12월 폐선 * 일반입석 141-1 : 덕은동 - 고속터미널 - 삼성동 / 2001년 폐선 * 일반좌석 773 : 덕은동 - [[강남구청]] - 가락시장 / 2001년 10월 폐선.[* [[서울여객(고양)|신성운수]]에서 운행했던 [[고양 버스 73|773번]], 및 현재 운행중인 [[서울 버스 773|제일여객 773번]](당시 907번)과는 관련없다. 초창기에는 연대앞을 기점으로 삼던 노선이나, 2000년 덕은동까지 연장했다가 6호선 개통으로 몰락했다.] * [[고양 버스 921|심야좌석 921]] : 탄현, 중산 - 화정 - 신촌, [[이대역]] / 2001년 [[공동 배차]] 포기 및 명성운수에 양도. * [[고양 버스 108|직행좌석 1008]] : 일산신도시 - 화정 - [[여의도]] / 2001년 공동 배차 포기. * [[서울 버스 740|{{{#3d5bab '''730'''}}}]]: 덕은동 - 신촌오거리 - [[잠실역]] / 2011년 노선 단축[* [[잠실역]] - 삼성역 구간]으로 740번으로 번호 변경. * [[서울 버스 7725|{{{#5bb025 '''7725'''}}}]]: 덕은동 - 수색 - 신촌 / 2007년 7726번에 노선 통폐합.[*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의 7725번과 무관하며, 당시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 노선은 7023번으로 운행했다. 이 노선이 단축되면서 7725번 번호를 승계했다가 이 노선도 폐선(...) --번호의 저주--] * [[서울 버스 8663|{{{#bdb092 '''8663'''}}}]] : [[서울 지하철 9호선]] 출근 맞춤 버스(...) 항목 참조.[* 신촌교통 노선 중에 유일하게 한강 이북 지역을 경유하지 않았다.] * [[서울 버스 8761|{{{#5bb025 '''8761'''}}}]] : 신촌로터리 - 국회의사당역 ([[서부운수]], [[유성운수]]와 공동 배차 / 2023년 1월 27일 폐선) * [[서울 버스 8777|{{{#5bb025 '''8777'''}}}]] : 난지한강공원 - 월드컵경기장 (2023년 10월 28일부로 철수) == 면허 체계 == * 서울 70 사 '''7309'''호 * [[서대문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증차면허로서는 유일하며 740번에 있다. * 서울 74 사 '''5801''' ~ '''5901'''호 * 신촌교통 주 면허. * 서울 75 사 '''2697''' ~ '''2704'''호 * 신촌교통 증차 면허. 구.772번 좌석 증차분이다. === 타 회사 출신 면허 === * 서울 74 사 7305, 7390 ~ 7392호 * 구.[[유진운수(서울)|유진운수]] 면허. 구.704번(좌석)이 폐선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8314, 8321 ~ 8322, 8324, 8326 ~ 8327, 8332, 8342, 8346, 8355, 8376 ~ 8377호 * [[군포교통]] 면허. 구.99번 단축 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8505, 8508, 8534 ~ 8535, 8559호 * [[한남여객운수]] 면허. 구.95-2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 == 사건 사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GBngeJAA0Q)]}}} || 계열사인 신일산교통, 신일산운수에서 근무했던 민성원 기사가 직장 내 괴롭힘, 주 52시간 근무제 위반, 가혹한 노동환경 등으로 사망한 사실이 SBS 취재 결과 드러났다. 민성원 기사가 회사와 체결한 근로계약서를 보면 주 6일 근무임이 명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주 6일 근무에다가 일요일에도 운행에 투입되었다. 동료기사에 따르면 평일 근무 시간도 근로계약서보다 길었고, 일요일에는 이른바 풀탕(첫차부터 막차까지 종일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행하는 방식이었다고 한다. 또 계약서상 5시 30분 첫차인데 실제론 새벽 4시까지 출근을 해야 했다. 영상을 잘 보면 설문동 차고지에 세워진 신일산교통, 신일산운수 소속 차량과 버스 창문에 부착된 기사 모집 안내문을 볼 수 있다. 2021 교통안전 우수회사로 선정된 모범업체이지만, 계열사에서 이러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신촌교통 역시 어두운 그림자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HD버스|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버스|현대 에어로 이코노미 디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H|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매각 후 [[경상남도]] [[김해시]]의 [[태영고속|삼도여객(현. 태영고속)]]에서 운행하였다. 창원권에서 최초로 운행한 전중문형 [[고급좌석버스|고급좌석 차량]].(시외노선이지만 어쨌든 최초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807 디젤]]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동진네오 || 35.61%|| [* 舊 (주)동진씨엔지. 2021년 7월 27일자로 (주)동진네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자사주]] || 20.24%||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강식 || 15.64%||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강호 || 15.63%|| 대표이사 || ||기타(이기훈 외) || 12.88%|| 3인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관외)] == 관련 문서 == * [[신일산교통·신일산운수]] * [[한국brt]]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서울 서대문구의 교통]][[분류:고양시의 교통]][[분류:1961년 설립]][[분류:신촌교통 계열사]]